$\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간호사의 대인관계 감정관리 전략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Interpersonal Emotion Management Strategies Scal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8, 2017년, pp.324 - 331  

우희영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한정원 (고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Little 등이 개발한 대인관계 감정관리 전략 척도를 한국어로 번역 및 수정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의 4개의 상급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89명을 대상으로 하여 내용 타당도, 구성 타당도, 동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판 대인관계 감정관리 전략 척도는 총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상황조정 3문항, 주의배치 3문항, 인지변화 4문항, 감정적 반응 조정 5문항으로 최종 15문항이 확인되었다. 또한 동시 타탕도 검증 결과 한국어판 대인관계 감정관리 전략 척도는 감성지능 척도의 상관관계에서 r=.60(p<.001)로 나타나 타당도 있는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신뢰도검증 결과는 상황조정 Cronbach's ${\alpha}$ .88, 주의배치 Cronbach's ${\alpha}$ .84, 인지변화 Cronbach's ${\alpha}$ .90, 감정적 반응 조정 Cronbach's ${\alpha}$ .86으로 확인되어 본 연구의 한국어판 도구는 신뢰가 높은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차원에서 임상 간호사들의 부정적인 감정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sisted of methodological research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emotion management (IEM) strategies scale after translating and modifying the scale developed by Little et al. The study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한국은 간호사들의 감정조절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측정 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간호사들의 감정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이를 측정 할 수 있는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Little 등[13]이 개발한 대인관계 감정관리 전략 척도를 한국어판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간호사들의 부정적 감정을 조절,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한국어판 대인관계 감정관리 전략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연구로 최종 분석된 4요인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Litte 등[13]이 개발한 대인관계 감정관리 전략 척도를 한국어로 번역 및 수정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판 대인관계 감정관리 전략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성원의 대인관계 능력이 병원에서 중요한 업무 능력 중 하나로 평가되는 이유는? 또한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조직은 효과적인 인적 관리를 통하여 조직의 성과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2]. 병원은 다양한 직종의 구성원들이 대상자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지속적으로 접촉해야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구성원의 대인관계 능력이 중요한 업무 능력 중에 하나로 강조된다[3]. 특히 병원 인력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간호사들은 다양한 개인적 특성과 문화적 배경을 지닌 대상자들을 24시간 접촉해야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병원 조직에서는 간호사들의 대인관계와 관련된 역량을 중요한 인적관리 전략으로 고려하고 있다[4].
Wong과 Law에 의해 개발된 감성지능을 측정하는 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현재 간호사들의 감정조절 혹은 감정노동과 관련된 측정도구들을 살펴보면, Morris와 Feldman[10]이 개발한 감정노동 측정도구로 구성원이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빈도, 감정표현에 대한 주의 정도, 감정 부조화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Brotheridge와 Lee[11]가 개발한 ELS(emotional labor scale)은 감정 노동의 다양성, 감정노동의 빈도, 감정노동의 강도, 표면 행위, 내면 행위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Wong과 Law[12]는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성을 잘 지각하고 이해하며, 관리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감성지능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는 자기감성 이해, 타인의 감성 이해, 감성 활용, 감성 조절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에서 간호사의 감정조절과 관련된 측정 도구들의 대부분은 Morris와 Feldman[10], Brotheridge와 Lee[11]가 개발한 측정도구들을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감정조절에 대한 측정문항들은 병원을 이용하는 대상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발생되는 부정적인 감정들을 조절하는 내용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원만한 대인관계를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조직의 특징은?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 평생을 다양한 사람들과 끊임없이 관계를 맺고 살아가야 하며, 인간이 사회에 적응하는데 있어서 대인관계는 한 개인이 성장하고 발달하는 중요한 원천이 된다[1]. 또한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조직은 효과적인 인적 관리를 통하여 조직의 성과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2]. 병원은 다양한 직종의 구성원들이 대상자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지속적으로 접촉해야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구성원의 대인관계 능력이 중요한 업무 능력 중에 하나로 강조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W. J. Cho, W. J. Park, "Effect of Symptoms of 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Negative Ideat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5, no. 2, pp. 71-80, 2016. DOI: http://dx.doi.org/10.12934/jkpmhn.2016.25.2.71 

  2. J. E. Lee, "The Structural Modeling for Nurses' Interpersonal Competence within an Organ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1, no. 4, pp. 366-374, 2015.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4.366 

  3. E. Y. Jung, S. Y. Ryu,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from Personal Relationships and Job Satisfaction in Hospitals Employee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10, no. 2, pp. 227-237, Apr. 2016. DOI: http://dx.doi.org/10.21184/jkeia.2016.04.10.2.227 

  4. E. J. Lim, Y. J. Yi, "Comparison of Operating Room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ithin the Medical Te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0, no. 3, pp. 313-321, 2014.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313 

  5. J. H. Kim, J. S. Lee, "The Experience of Clinical Nureses' Interpersonal Conflict", Journal Article published Qualitative Research, vol. 14, no. 1, pp. 70-80, 2013. DOI: http://dx.doi.org/10.22284/qr.2013.14.1.70 

  6. J. J. Gross, "Antecedent- and response-focused emotion regulation: Divergent consequences for experience, expression, and physi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4, no. 1, pp. 224-237, 1998.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74.1.224 

  7. H. W. Kong, B. J. Jeon, H. S. Kim, "The moder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vol. 39, no. 3, pp. 59-85, 2015. 

  8. S. G. Han, "A Study on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Labor in Korea", Korea University Institute for Research on Labor and Employment, vol. 32, no. 4, pp. 5-27, 2016. 

  9. M. H. Sung, W. J. Choi, H. K. Chun, "The Relationship of Negative Emotion, Emotion Sup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8, no. 2, pp. 258-266, 2011. 

  10. J. A. Morris, D. C. Feldman,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1, no. 4, pp. 986-1010, Oct. 1996. DOI: http://dx.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11. C. M. Brotheridge, R. T.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76, no. 3, pp. 365-379, Sep. 2003. DOI: http://dx.doi.org/10.1348/096317903769647229 

  12. C. S. Wong, K. S. Law,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The Leadership Quarterly, vol. 13, no. 3, pp. 243-274, Jun. 2002. DOI: http://dx.doi.org/10.1016/s1048-9843(02)00099-1 

  13. L. M. Little, D. Kluemper, D. L. Nelson, J. Goot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terpersonal Emotion Management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85, no. 2, pp. 407-420, Sep. 2011. DOI: http://dx.doi.org/10.1111/j.2044-8325.2011.02042.x 

  14. L. M. Little, J. Gooty, M. Williams, "The role of leader emotion management in leader-member exchange and follower outcomes", The Leadership Quarterly, vol. 27, no. 1, pp. 85-97, Feb. 2016. DOI: http://dx.doi.org/10.1016/j.leaqua.2015.08.007 

  15. L. M. Little, D. Kluemper, D. L. Nelson, A. Ward, "More Than Happy to Help? Customer-Focused Emotion Management Strategies", Personnel Psycholo gy, vol. 66, no. 1, pp. 261-286, Nov. 2012. DOI: http://dx.doi.org/10.1111/peps.12010 

  16. A. L. Comrey, H. B. Lee, "A First Course in Factor Analysis",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Publishers: Hillsdale, New Jersey, 1992. 

  17. H. W. Jung,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published master thesis, Pusan University, Pusan, 2007. 

  18. S. J. Choe U. C. Kim G. B. Kim, "Maum as the Basis of Trust and Distrus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rom Indigenous and Cultural Perspective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 9, no. 2, pp. 1-17, 2003. 

  19. S. J. Choi, U. C. Kim "Indigenous forrn of lamentation in Korea. Han: Conceptual, philosophical, and empihcal analyse,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vol. 6, no. 1, pp. 185-205, 1993. 

  20. H. J. Jung, B. H. Shim, K. S. Lee, "The Effect of Reality Therapy Group Training on the Human Relations and the Internal Control of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9, no. 1, pp. 147-158,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