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온 데이터 초해상화를 위한 Super-Resolut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모델 구축
Construction of Super-Resolut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 for Super-Resolution of Temperature Dat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7 - 13  

김용훈 (광운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임효혁 ((주)한국해양기상기술) ,  하지훈 ((주)한국해양기상기술 IT본부) ,  박건우 ((주)한국해양기상기술 IT본부) ,  김용혁 (광운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상과 기후는 인간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특히 고해상도 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밀한 연구나 실생활에 유용한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고해상도 기상·기후 데이터를 생산해야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고해상도 기상 데이터는 적절한 보간법에 따라 데이터를 생산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SRCNN을 이용하여 기온 데이터를 초해상화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기온 데이터 초해상화에 가장 적절한 SRCNN 모델을 구축하고, 기온 데이터를 초해상화 한다. 결과 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해 역거리 가중법을 이용하여 비 관측 지점에 대한 기온을 구하고,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기온 데이터와 보간법을 이용한 기온 데이터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기온 데이터를 초해상화하기 위한 적절한 SRCNN 모델을 구축하였고, 제안한 방법이 보간법을 이용한 방법보다 약 10.8% 더 높은 예측 성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teorology and climate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By using high-resolution weather data, services that are useful for real-life are available, and the need to produce high-resolution weather data is increasing. We propose a method for super-resolution temperature data using SRCNN. To evalu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를 초해상화 하는 SRCNN[13,14]기법을 활용하여 이미지가 아닌 기온 데이터를 초해상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는 이미지가 아닌 데이터를 초해상화 하는 시도를 통해 비 관측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를 초해상화 하는 기법 중의 하나인 SRCNN을 활용하여 기온 데이터를 초해상화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실험을 통해 기온 데이터를 이미지화하고 초해상화하기 위한 적절한 SRCNN 모델을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RCNN을 이용할 수 있도록 기온 데이터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본 이유는? 기존 SRCNN에 기온 데이터를 그대로 입력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SRCNN을 이용할 수 있도록 기온 데이터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SRCNN과 같은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비 관측 지점에 대한 기상 데이터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 이유는? 현실적으로 모든 지점에 대한 기온을 관측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SRCNN과 같은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비 관측 지점에 대한 기상 데이터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고해상도 기상·기후 데이터를 생산해야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본 이유는? 기상과 기후는 인간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특히 고해상도 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밀한 연구나 실생활에 유용한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고해상도 기상·기후 데이터를 생산해야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고해상도 기상 데이터는 적절한 보간법에 따라 데이터를 생산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SRCNN을 이용하여 기온 데이터를 초해상화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 C. Yoo, K. H. Lee & H. G. Kang. (2009). Basic research on the building energy load depending on the climate chang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29(3), 66-72. 

  2. B. M. Seo, C. H. Jeon, H. S. Jeon, S. Y. An & H. J. Park. (2019). Implementation of query model of CQRS pattern using weather dat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3(6), 645-651. 

  3. H. S. Hwang, Y. W. Seo, T. G. Jeon & C. S. Kim. (2018).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urban safety service system using realtime weather and atmosphere data.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21(5), 599-608. 

  4. E. Y. Kim & H. J. Jun. (2011). A study on applicability through comparison of weather data based on micro-climate with existing weather data for building performative desig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1(6), 101-108. 

  5. Y. W. Kim et al. (2017).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lood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realtime weather big dat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 351-362. 

  6. J. H. Ha, Y. H. Lee & Y. H. Kim. (2016). Forecasting the precipitation of the next day using deep learning.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26(2), 93-98. DOI : 10.5391/JKIIS.2016.26.2.093 

  7. J. H. Ha, Y. H. Kim, H. H. Im, N. Y. Kim. S. J. Sim & Y. R. Yoon. (2018). Error correction of meteorological data obtained with mini-AWSs based on machine learning. Advances in Meteorology, 2018. DOI : 10.1155/2018/7210137 

  8. H. S. Tark, T. Y. Kim, H. G. Cho & H. J. Kim. (2017). A new prediction model for power consumption with local weather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1), 488-498. DOI : 10.5392/JKCA.2016.16.11.488 

  9. S. B. Park. (2004). A study on the increase of city temperature in Gwangju by using the of meteorological data. Journal of the Korea Solar Energy Society, 24(3), 65-71. 

  10. S. H. Moon, Y. H. Kim, Y. H. Lee & B. R. Moon. (2019).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o an early warning system for very short-term heavy rainfall. Journal of Hydrology, 568, 1042-1054. DOI : 10.1016/j.jhydrol.2018.11.060 

  11. J. M. Kim, J. H. Cho & B. Kim. (2016).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hospital power consump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457-466. DOI : 10.14400/JDC.2016.14.6.457 

  12. S. O. Chung. (2011). Projecting future paddy irrigation demands in Korea using high-resolution climate simula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3), 169-177. DOI : 10.3741/JKWRA.2011.44.3.169 

  13. C. Dong, C. C. Loy, K. He & X. Tang. (2015). Image super-resolution using deep convolutional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38(2), 295-307. DOI : 10.1109/TPAMI.2015.2439281 

  14. C. Dong, C. C. Loy & X. Tang. (2016). Accelerating the super-resolut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n Europe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pp. 391-407). Springer, Cham. DOI : 10.1007/978-3-319-46475-6_25 

  15. D. Shepard. (1968). A two-dimensional interpolation function for irregularly-spaced data. In Proceedings of the 23rd ACM national conference. (pp. 517-524). DOI : 10.1145/800186.810616 

  16. A. Hore & D. Ziou. (2010). Image quality metrics: PSNR vs. SSI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ttern recognition. (2366-2369). IEEE. DOI : 10.1109/ICPR.2010.5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