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지수를 이용한 협업 필터링 기반 장소 추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lac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Living Index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23 - 31  

이주오 (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이형걸 (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아연 (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허승연 (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박우진 (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안용학 (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 통신과 스마트폰 등의 발달로 인한 편리한 접근성과 다양한 아이템의 종류로 인해 개인 맞춤형 추천의 필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날씨 및 기상환경은 사용자의 장소 및 활동의 의사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날씨 정보를 이용하면 추천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한 생활지수를 활용하여 성향이 유사한 사용자를 구하고 장소에 대한 선호도를 예측하여 장소를 추천함으로써 생활지수를 이용한 협업 필터링 기반 장소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날씨를 분석하고 분류하기 위한 날씨 모듈과 장소 추천을 위한 협업 필터링을 사용하는 추천 모듈, 그리고 사용자의 선호도 및 후기 관리를 위한 관리 모듈로 구성된다. 실험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과 생활지수의 융합 및 개인의 성향을 반영하는 측면에서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ed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 is growing due to convenient access and various types of items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smartphones. Weather and weather condition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decision-making of users' places and activities. This weather info...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상청의 생활지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날씨 환경을 분류하고, 날씨 유형에 따라 분류된 사용자의 선호 점수를 이용하여 유사한 성향을 가지는 사용자들이 선호했던 장소를 추천함으로써 개인의 날씨 성향이 반영된 맞춤형 장소 추천을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기반 협업 필터링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성향을 보인 사용자들이 선호했던 장소를 추천한다.
  • 기존의 장소 추천 시스템은 날씨와 관련된 개인의 선호를 반영하지 않거나 간단한 날씨 정보만을 사용한다. 본 논문은 일반적인 기상정보를 기본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상정보와 관련된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 장소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했다.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협업 필터링 기반 추천 시스템에 생활지수를 활용하여 생활지수에 대한 개인의 성향을 반영하는 추천 시스템을 제안하였고, 두 가지 실험을 통해 생활지수에 대한 개인의 성향 반영의 유효성과 추천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관찰하였다.
  • 본 실험은 최근접 이웃의 개수 변경 실험 및 Top-N 변경 실험을 통해 협업 필터링 기술의 적용 및 전반적인 성능을 확인하는 것이다. PCS(Pearson Correlation Similarity), EBS(Euclidean Distance Similarity), SCS(Spearman Correlation Similarity)은 각각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한 유사도, 유클라디안 거리를 이용한 유사도, 스피어만 상관계수를 이용한 유사도를 뜻한다.
  • 단계 2) 단계 1에서 분류한 사용자의 날씨 유형을 기반으로 User Place Weather DB에 질의하여 추천 모듈에서 사용할 사용자-선호도 데이터 모델을 구성하고 피어슨 상관계수 식을 이용하여 유사한 사용자를 구한다. 이렇게 구한 유사한 사용자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호도를 평가하지 않은 장소에 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예측한다.

가설 설정

  • 협업 필터링은 특정 아이템에 대해 비슷한 성향을 보였던 사용자들은 다른 아이템에 대해서도 비슷한 성향을 보일 것이라는 가정으로 추천을 수행한다[9]. 이 가정을 기반으로 사용자 또는 아이템 간 유사도를 통해 선호도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업 필터링 기법은 무엇인가? 내용 기반 추천 기법은 콘텐츠를 직접 분석하여 아이템과 아이템, 아이템과 사용자 선호도 간의 유사도를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템을 추천해 주는 방법이다[4]. 협업 필터링 기법은 특정 사용자와 비슷한 성향을 나타내는 다른 사용자들을 분석하여 콘텐츠의 선호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5].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행동 패턴을 추측하여 장소를 추천하는 방법의 문제점은? 하지만 사용자의 음식점 메뉴 검색 시스템의 이용 패턴 분석 방법은 음식점 메뉴 검색 시스템의 검색 횟수를 기반으로 패턴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직접적인 선호가 반영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모바일 컨텍스트를 통해 행동 패턴을 추론하여 추천하는 방법은 날씨 정보를 이용하더라도 맑음, 비, 눈 같은 날씨와 계절 같은 간단하고 광범위한 정보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체감하는 구체적인 기상환경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날씨 정보와 협업 필터링을 이용한 음악 추천 시스템은 입력을 통해 각 사용자가 직접 날씨와 음악 간의 관계 정보를 설정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추천 기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이러한 추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추천 기법들은 대표적으로 내용 기반 추천 기법과 협업 필터링 기법으로 구분된다[2,3]. 내용 기반 추천 기법은 콘텐츠를 직접 분석하여 아이템과 아이템, 아이템과 사용자 선호도 간의 유사도를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템을 추천해 주는 방법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 J. Bae & S. W. Lee. (2020). A study on user recognition of personalized recommended service platforms by content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4(3), 5-42. 

  2. G. S. Ko et al. (2017). Contents Recommendation Scheme Considering User Activity in Social Network Environm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2), 404-414. 

  3. S. H. Park, J. W. Kim, D. H. Kim & H. J. Cho. (2019). Music Therapy Counseling Recommendation Model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9), 31-36. DOI: 10.15207/JKCS.2019.10.9.031 

  4. S. J. Lee, T. R. Jeon, G. D. Baek & S. S. Kim. (2009). A Movie Rating Prediction System of User Propensity Analysis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and Fuzzy Syste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19(2), 242-247. 

  5. K. I. Jung, B. I Ahn, J. J. Kim & K. J. Han. (2014). Location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LBS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6), 277-287. DOI: 10.14400/JDC.2014.12.6.277 

  6. C. Y. Cho, G. I. Jung, Y. M. Seo & H. R. Choi. (2017).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Weather and Daytime on Restaurant Menu search System. Smart media journal, 6(2), 50-56. 

  7. B. I. Ahn, K. I. Jung & H. L. Choi. (2017). Mobile Context Based User Behavior Pattern Inference and Restaurant Recommendation Model.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8(3), 535.0-542.0. 

  8. J. W. Roh, K. H. Yoon, J. K. Kim & J. H. Lee. (2008). A Music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and Context Awareness.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Intelligent Systems, 18(2), 76-79. 

  9. J. Byun & D. K. Kim. (2016).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tion Recommending Services using Personal Emotional Information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0(8), 1407-1414. 

  10. J. E. Son, S. B. Kim, H. J. Kim & S. Z. Cho. (2015). Review and Analysis of Recommender System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41(2), 185.0-208.0. 

  11. H. C. Shin & S. B. Cho. (2013). A Location-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er using Quadtree.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19(1), 15-22. 

  12. Y. S. Yoo, J. S. Kim, B. Y. Sohn & J. J. Jung. (2017). Evaluation of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s for Developing Online Music Contents Recommendation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66(7), 1083.0-1091.0. 

  13. H. J. Kwon & K. S. Hong. (2010). Personalization of LBS using Recommender Systems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JICS), 11(6), 1-11. 

  14. S. H. Bae, T. Y. Kim & D. W. Seo. (2017). Design of Emotion Imag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Bio Emotion Information and Collaborative Filtering. Journal of advanced engineering and technology, 10(4), 479-487. 

  15. K. J. Hyun, J. W. Park & H. S Choi. (2015). The Effect of Customers' Experience of Diverse Goods and Selection of Popular Commodity on Recommend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6), 3097-3106. 

  16. J. L. Herlocker, J. A. Konstan, Al Borchers & J. Riedl. (1999). An Algorithmic Framework for Performing Collaborative Filtering, In Proceeding of SIGIR-99, 230-237. 

  17. J. M. Kim. (2018).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s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Social Science, 29(2), 197-2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