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과정(LCA) 온실가스 평가를 고려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 산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REC) weight considering the life cycle assessment(LCA) of greenhouse gas emiss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173 - 182  

백훈 (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학과) ,  김태성 (금오공과대학교 산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는 RPS제도를 지속해서 개선하지만, 온실가스 저감효과 증대를 위해 환경적인 측면을 더 고려해야 한다는 비판이 있다. 공급인증서 가중치는 신재생 에너지원별로 차등화되어 있다. 공급인증서 가중치 결정 요소의 하나인 온실가스 저감효과 항목 값은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결정된다. 이번 연구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전과정 평가를 고려하였다. 전과정 평가는 연료 생산, 수송부터 발전소 건설, 운영, 폐지까지의 전과정에서 발생 되는 온실가스를 정확하게 산출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기존 정성적 방법에서 정량적 방법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평가한다. 그 결과, 평가 점수는 바뀌는데, 점수를 등급화하는 구간이 커서 REC 가중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공급인증서 가중치에 직접 반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vernment continuously improves the RPS system to expand the supply of renewable energy, but there has been criticism that more environmental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to reduce GHG emission. REC weights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renewable energy sources. Greenhouse gas emission is one...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는 태양광 설비 제품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 에너지원을 통해 생산되는 전기에 LCA 평가를 도입하여 REC 가중치를 산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는 연료나 설비 제품 생산, 수송부터 발전소 건설, 운영, 폐지까지의 전 과정에서 발생 되는 온실가스를 정확하게 산출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환경 비용을 검토하는 과정을 LCA 평가를 RPS에 적용하여 보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표적인 신재생 에너지원인 태양광, 풍력, 수력, 바이오매스의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 평가를 반영한 REC 가중치를 산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온실가스 저감 목표에 도달하는 RPS 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살펴본다.
  • RPS 제도는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기대하며 설계되었지만, 정성적인 판단으로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설정하며 실질적으로 온실가스 저감에 미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LCA 평가를 적용하여 REC 가중치 산정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해외연구의 태양광, 풍력, 수력, 바이오매스 LCA 평가를 반영하여 계산한 결과, REC 가중치의 ⑶온실가스 저감효과 지표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런 실정을 개선할 방안으로 LCA 평가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적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한 REC 가중치를 산정하고 정부 목표와 부합하는 방향으로 RPS 제도를 개선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국내연구 사례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비교 평가한 사례는 없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LCA 평가 사례를 참고하여 비교 평가를 진행하고, 이를 반영하여 친환경 에너지원이 RPS 제도에서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REC 가중치 산정 방식의 필요성에 관해 얘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환경 비용을 검토하는 과정을 LCA 평가를 RPS에 적용하여 보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표적인 신재생 에너지원인 태양광, 풍력, 수력, 바이오매스의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 평가를 반영한 REC 가중치를 산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온실가스 저감 목표에 도달하는 RPS 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살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급인증서 가중치는 무엇 별로 차등화 되어 있는가?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는 RPS제도를 지속해서 개선하지만, 온실가스 저감효과 증대를 위해 환경적인 측면을 더 고려해야 한다는 비판이 있다. 공급인증서 가중치는 신재생 에너지원별로 차등화되어 있다. 공급인증서 가중치 결정 요소의 하나인 온실가스 저감효과 항목 값은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결정된다.
RPS 제도에서 실질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이루어지기 보기 어려운 이유는? RPS 제도에서는 ‘④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미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온실가스 관련 항목을 REC 가중치 계산시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정성적인 평가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이루어진다고 보기 어렵다. 김민정은 2018년, 정부의 무리한 신재생에너지 공급 목표 설정으로 전력생산 기업들이 타당성 없는 사업을 추진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나기에 RPS 제도의 효과가 미미하다고 주장하였다[2].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제도의 목적은 무엇인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제도의 목적은 국제사회에서 정해진 온실가스 감축 의무량을 달성하는 것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정책 목표를 설정하고 제도를 시행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 J. Kim & G. L. Cho. (2010). Economic impacts of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on domestic industry.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19(4), 805-828. UCI : G704-000752.2010.19.4.008 

  2. M. J. Kim. (2018). A study of efficient new and renewable energy policy through new and renewable energy policy analysis. Seoul : BAI Korea. 

  3. S. B. Ahn, K. H. Kim, S. B. Kim, J. H. Lee & M. S. Han. (2018). Analysis of macroeconomic effects of structural changes in international energy markets. Sejong : KIEP. 

  4. S. J. Kim. (2019). Yonhap News Agency. 'Renewable energy only in patterns?' Biomass ranked first in subsidy for 5 years. http://www.yna.co.kr 

  5. C. G. Ji & W. S. Chung. (2006). A Comparative Study on the LCA Cases for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8(4), 249-265. UCI : G704-001460.2006.8.4.017 

  6. T. W. Kim, S. H. Kim, W. S. Chung, J. J. Ha, K. R. Min & S. H. Ko. (2004). Life Cycle Assessment for National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s. Korean Society for Energy Symposium (pp. 353-358). Seoul : Korean Energy Society. 

  7. S. B. Oh, C. Y. Lee & K. H. Kim. (2017). The effect of increasing supply obligations on employment in RPS system. Sejong : KLI. 

  8. KERI. (2007). A study on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system in Korea. Changwon : KERI. 

  9. C. H. Lee. (2016). A study on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multiplier for remote island in Korea. Changwon : KERI. 

  10. C. H. Lee. (2014). A study on the REC weight applied in 2014. Changwon : KERI. 

  11. KPMG. (2018). A study on the status of RPS technology economics and system improvement by energy source. Seoul : KPMG. 

  12. K. W. Kim & B. H. Kim. (2014).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REC Multiplier for ESS Introduction.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23(4), 106-111. UCI : G704-001268.2014.23.4.032 

  13. R. Dones, T. Heck & S. Hirschberg. (2003).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energy systems: comparison and overview.. Villigen : PSI. 

  14. WEC. (2004). Comparison of energy systems using life cycle assessment. London : WEC. 

  15. D. Weisser. (2006). A guide to life-cycle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from electric supply technologies. Energy, 32(9), 1543-1559. DOI : 10.1016/j.energy.2007.01.008 

  16. F. Barnaby & J. Kemp. (2007). Secure energy?. London : Oxford Research Group. 

  17. Varun, I. K. Bhat & R. Prakash. (2009).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 Renewable Energy Review, 2009(13), 1067-1073 . 

  18. CRIEPI. (2016). Comprehensive evaluation of life cycle $CO_{2}$ emissions of power generation technology in Japan. Tokyo : CRIEPI. 

  19. M. Silva & H. L. Raadal. (2019). Life cycle GHG emissions of renewable and non-reneweable electricity generation technologies. Krakeroy : Ostfoldforskn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