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조에서 참여로: 관객참여가 미적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From Contemplation to Participation: Empirical Study on Effect of Audience Participation on Aesthetic Experienc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287 - 296  

장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예술학협동과정) ,  엄명용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관객의 참여수준에 따른 미적경험의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미적경험을 대변하는 변수로써 몰입경험과 미적거리가 활용되었다. 총 70명의 학부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몰입경험의 측면에서, 적극적 참여집단은 관조집단 및 소극적 참여집단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몰입경험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조집단과 소극적 참여집단 사이에 몰입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심리적 거리를 의미하는 미적거리의 측면에서, 적극적 참여집단의 사람들은 관조집단과 소극적 참여집단에 비하여 예술작품과 심리적으로 더 가까운 거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극적 참여집단에 속한 사람들은 관조집단 보다 더 가까운 심리적 거리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술가 및 예술조직에게 작품의 완성도뿐만 아니라 관객 유인력을 높이기 위한 함의를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a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audience participation. Flow experience and aesthetic distance were utilized as proxies for aesthetic experience. A total of 70 undergraduat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of this study. In t...

주제어

표/그림 (8)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적경험을 대변하는 변수로 활용된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관객의 참여수준에 따른 미적경험의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미적경험을 대변하는 변수로써 몰입경험과 미적거리가 활용되었다. 총 70명의 학부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관조집단과 소극적 참여집단 사이의 몰입경험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몰입경험의 측면에서, 적극적 참여집단은 관조집단 및 소극적 참여집단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몰입경험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조집단과 소극적 참여집단 사이에 몰입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심리적 거리를 의미하는 미적거리의 측면에서, 적극적 참여집단의 사람들은 관조집단과 소극적 참여집단에 비하여 예술작품과 심리적으로 더 가까운 거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객참여는 무엇에 영향을 주는가? 근대 이래로 현대에 이르기까지 관객참여(audience participation)에 대한 이슈는 미술을 포함한 다양한 예술분야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많은 연구들이 관객참여가 만족도(satisfaction)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예술가와 예술조직(art organization)에게도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의미 있는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1]. 그러나 관객참여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지속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참여 예술의 이론적 측면에 다소 편중된 경향을 보여 왔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 Courchesne & P. Ravanas. (2015). How to engage audiences with increasingly eclectic tastes: the experience of TOHU, a Montreal Circus Arts Presenter.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 18(1), 78-87. 

  2. C. Zhang & M. Y. Um. (2018). Arts and Audience Participations: Focusing on the Circularity of the Role Transition Audiences undergo. Journal of Korea Culture Industry, 18(1), 11-20. DOI : 10.35174/JKCI.2018.03.18.1.11 

  3. S. H. Chung & H. J. Lee. (2013). Participatory Performance Video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1960-70s' Video & Performance Ar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a and Arts, 11(2), 127-144. 

  4. M. H. Hong. (2016).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op Art shown in Nam June Paik's Media Art Focused on 'Media Extension' and 'Audience Participation'. Cartoon & Animation Studies, 42, 195-212. DOI : 10.7230/KOSCAS.2016.42.195 

  5. J. Radbourne, K. Johanson, H. Glow & H. White. (2009). The audience experience: Measuring quality in the performing art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 11(3), 16-29. DOI : 10.1080/09548963.2010.515005 

  6. S. R. Kim. (2016). A Stud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reator-Audience in Dance Based on the Phenomenology of Merleau-Ponty. The Korean Journal of Dance, 74(1), 1-14. 

  7. Y. E. Yang & B. Rhee. (2015). A Study of the Interactive Exhibition Contents as Expansion of Art Experience-Based on John Dewey's Experience Theo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13(4), 5-21. DOI : 10.14728/KCP.2015.13.04.005 

  8. S. M. Jeon. (2017). Analysis on the Role of Audience in Postdramatic Theatre. Performing Arts Research, 4, 21-40. 

  9. S. Dinkla. (1996). From Participation to Interaction: Toward the Origins of Interactive Art, in Hershman, Leeson (Ed). Clicking In: Hot Links to a Digital Culture, Seattle, Bay Press. 

  10. C. Zhang & M. Y. Um. (2019).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logy: Based on E.A.T.'s Periodic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Work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4), 477-489. DOI : 10.5392/JKCA.2019.19.04.477 

  11. K. N. Kim. (2016). A 'Study on 'Convergent Media Art Information Visualization' from the Creative Approach toward and Usability Perspective on Social Issues(Focusing on Cas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4), 155-162. DOI : 10.15207/JKCS.2020.11.2.127 

  12. C. Chen & J. H. Cho. (2020). A Survey Research on Tourists' Satisfaction with Digital Technology-based Special Exhibitions: Focused o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2), 127-137. DOI : 10.15207/JKCS.2020.11.2.127 

  13. Y. J. Lee & J. S. Kang. (2018). User Experience and Flow on Smart-Phone -Focused on Galaxy S8.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199-204. DOI : 10.15207/JKCS.2018.9.1.199 

  14. B. A. Rhee, S. M. Choi & Y. S. Hong. (2017). A Study on Differences of Aesthetic Experience in the Exhibition of Artworks and the Remediated Exhibition of Artwork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5), 153-164. DOI : 10.5392/JKCA.2017.17.05.153 

  15. Y. H. Kim. (2014). John Dewey's aesthetics on the perspective of aesthetic education. Mihak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78, 67-106. 

  16. H. N. Lee. (2012). Study on Aesthetic Engagement and Performative Aspects of Dance-Based on Arnold Berleant's Aesthetic Notions. Korean Aesthetics, 11(2), 51-79. 

  17. Y. S. Park. (2007). A Critique of the Aesthetic Disinterestedness Based on the John Dewey' Concept of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04, 119-136. 

  18. K. G. Jeon. (2010). Aesthetic Experience in Digital Era. Wonkwang Journal of Humanities, 11(2), 167-191. DOI : 10.22845/wjoh.2010.11.2.008 

  19. Y. J. Baik. (2010). The Performativity of Contemporary Art and Participatory Environment-Based on Arnold Berleant's Notion of Engagement.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1(1), 193-208. 

  20. W. H. Ahn. (1998). A Critical Consideration on Arnold Berleant's. The Arts and Modern Culture Research Journal, 2, 71-85. 

  21. H. Hagtvedt, R. Hagtvedt & V. Patrick. (2008). Th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Visual Art. Empirical Studies of the Arts, 26(2), 197-218. DOI : 10.2190/EM.26.2.d 

  22. M. Apter. (1984). Reversal theory, cognitive synergy and the arts. In W. R. Crozier & A. J. Chapman (Eds.), Cognitive processes in the perception of art, 411-426. 

  23. S. Markovic. (2012). Components of aesthetic experience: aesthetic fascination, aesthetic appraisal, and aesthetic emotion. i-Perception, 3(1), 1-17. DOI : 10.1068/i0450aap 

  24. M. Csikszentmihalyi.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25. T. Novak, D. Hoffman & Y. Yung. (2000). Measuring the Customer. Experience in Online Environments: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Marketing Science, 19(1), 22-42. 

  26. S. Jackson & H. Marsh. (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18(1), 17-35. DOI : 10.1123/jsep.18.1.17 

  27. J. Drake & E. Winner. (2012). Confronting sadness through art-making: Distraction is more beneficial than venting.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6(3), 255-261. DOI : 10.1037/a0026909 

  28. J. Jucker & J. Barrett. (2011). Cognitive constraints on the visual arts; An empirical study of the role of perceived intentions in appreciation judgement. Journal of Cognition and Culture, 11(1), 115-136. DOI : 10.1163/156853711X568716 

  29. J. Frois & C. Silva. (2014). A Research into Meaning Making Strategies in Encounters with Artworks. Empirical Studies of the Arts, 32(1), 43-73. DOI : 10.2190/EM.32.1.EOV.5 

  30. A. Bullough. (1912). Psychic Distance' as a Factor in Art and as an Aesthetic Principle.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5, 87-117. 

  31. P. Alex, T. Brogan & F. Warnke. (1993). The new Princeton encyclopedia of poetry and poetics, Princeton: Princeton UP. 

  32. W. Tschacher, C. Bergomi & T. Martin. (2015). The Art Affinity Index (AAI): An Instrument to Assess Art Relation and Art Knowledge. Empirical Studies of the Arts, 33(2), 161-174. DOI : 10.1177/02762374155947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