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활사업 실무자들이 경험한 자활사업의 맥락과 패턴: 지역자활센터 실무자들과 관련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Context and Pattern of Self-Sufficiency Program Based on the Experiences of Self-Sufficiency Program Practitioners: focusing on local self-sufficiency center workers and related public offic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8, 2020년, pp.232 - 250  

권지성 (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조준용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정선욱 (덕성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  장연진 (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 실무자들의 관점에서 자활사업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접근 중 하나인 맥락-패턴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진이 수집한 면접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활사업의 맥락은 '시장경제', '사회서비스 체계', '자활제도', '자활사업', '자활 대상자들', '자활사업 과정경험' '자활사업의 성과', '자활의 의미' 라는 하위맥락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자활사업의 패턴의 경우 '자활제도의 활력 저하', '서비스 흐름', '자활로 가는 여정', '작은 성공들로 이어지는 시퀀스' 등 자활사업에서 형성되는 다양한 수준에서의 패턴들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자활제도와 자활사업, 자활실무를 발전시키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실천적 함의,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text and pattern of Korea's self-sufficiency program based on the experiences of self-sufficiency program practitioner.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the context-pattern analysis method, which was known a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

주제어

표/그림 (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 자활사업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이유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는 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의 탈수급과 탈빈곤을 유도하기 위해, 직업능력을 배양하고, 기능습득을 지원하며, 근로기회를 제공하는 자활사업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2018년 12월 기준 자활사업 참여자는 총 189,960명이고, 이중 고용노동부의 취업성공패키지 참여자는 20,702명, 보건복지부의 자산형성사업 참여자는 126,927명, 지역자활센터를 통한 자활근로 참여자는 39,114명, 자활기업 참여자는 3,217명으로 나타났다[1].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는 무엇을 제공하고 있는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는 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의 탈수급과 탈빈곤을 유도하기 위해, 직업능력을 배양하고, 기능습득을 지원하며, 근로기회를 제공하는 자활사업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2018년 12월 기준 자활사업 참여자는 총 189,960명이고, 이중 고용노동부의 취업성공패키지 참여자는 20,702명, 보건복지부의 자산형성사업 참여자는 126,927명, 지역자활센터를 통한 자활근로 참여자는 39,114명, 자활기업 참여자는 3,217명으로 나타났다[1].
지역자활센터의 자활사업의 참여자들은 어떤 사업에 참여하게 되는가? 특히 지역자활센터의 자활사업은 1996년 시범사업을 거쳐 2000년 제도화된 이후, 보건복지부의 가장 대표적인 자활사업이다. 이 사업의 참여자들은 자활사례관리, 자활근로사업, 자활기업 등의 사업에 참여하는데, 이를 위해 지역자활센터는 자활의욕 고취를 위한 교육, 자활을 위한 정보제공, 상담, 직업교육 및 취업알선, 생업을 위한 자금융자 알선, 자영 창업 지원 및 기술ㆍ경영 지도, 자활기업의 설립ㆍ운영 지원, 그 밖에 자활을 위한 각종 사업을 실시하게 된다[1]. 한편 지역자활센터 실무자들은 사회복지 현장에서 자활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전문가이며, 시·군·구 자활고용팀의 자활담당공무원은 조건부 수급자 상담을 통한 자활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자활사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자활사업을 지정하는 등의 업무 수행 과정에서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면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보건복지부, 2018 보건복지백서, 보건복지부, 2019a. 

  2. 보건복지부, 자활성공률 사전정보공표, 보건복지부, 2019b. 

  3. 백학영, 구인회, 김경휘, 조성은, 안서연, "자활사업 성과관리에 대한 비판적 접근,"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2호, pp.3-35, 2011. 

  4. 조준용, 김경휘, 김자옥, 자활사업 질적.양적 성과병합을 위한 성과지표 개선방안 연구, 2018 

  5. 정수남, "빈민통치와 '자활'의 후기자본주의적 논리," 구술사연구, 제10권, 제2호, pp.59-103, 2019a. 

  6. 정수남, "탈빈곤 실천의 체계적 모순과 빈민의 하비투스: 자활사업 참여자의 주관적 경험을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제10권, 제1호, pp.189-246, 2019b. 

  7. 보건복지부, 자활사업 활성화를 위한 지침 개정, 보건복지부, 2019c. 

  8. 권지성,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으로서 맥락-패턴 분석방법: 은밀한 맥락을 찾아서, 학지사, 2018. 

  9. E. Thaden and R. Jill, "Staff Narratives: Promising to Change 'Welfare as We Know It'," Qualitative Social Work, Vol.11, No.1, pp.23-41, 2012. 

  10. 이상록, 진재문, "자활사회 탈빈곤 정책의 효과분석: 경남. 전북지역 자활후견기관 운영의 성과 및 한계 분석과 개선방안 모색," 한국사회복지학, 제52권, pp.241-272, 2003. 

  11. 이형하, 조원탁, "한국 자활사업이 자활효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20권, pp.217-244, 2004. 

  12. 정원오, 김진구, "자활 사업에 대한 참여자들의 주관적 평가와 자립전망: 경기지역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28권, pp.35-67, 2005. 

  13. 임진섭, 장용언, 공정석,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이 자활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활사업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1권, 제3호, pp.271-297, 2010. 

  14. 엄태영, "자활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자활 장벽요인에 대한 정서적 자활의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2호, pp.229-248, 2010. 

  15. 이은정,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과 사회적 자활의 영향요인 연구: 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2호, pp.539-548, 2014. 

  16. 이상록, "자활사업에 대한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인식과 태도가 자활사업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21권, pp.105-136, 2003. 

  17. 최상미, 홍영표, 김한성, "한국형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시행과 효과성 평가-경기지역 지역자활센터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57권, pp.179-199, 2017. 

  18. 최상미, "이용자 중심적 접근에 기반한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 II 증거기반실천과 효과성,"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60권, pp.161-184, 2018a. 

  19. 엄태영, 주은수, "취약계층의 경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희망리본사업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3호, pp.225-250, 2016. 

  20. 신영신,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립 의지와 인지된 고용장벽이 경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영리연구, 제15권, 제2호, pp.19-38, 2016. 

  21. 이충희, 자활사업에 참여하는 기초생활수급자의 탈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울특별시 강서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22. 김인숙, "자활 개념의 재구성에 대한 탐색-성매매여성자활현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22권, pp.95-129, 2008. 

  23. 중앙자활센터, 2017년-18년 지역자활센터 성과평가안내서, 중앙자활센터, 2017. 

  24. 엄태영, 주은수,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 영향요인 연구: 서울. 경인지역 장애아동 통합교육보조원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제12권, 제2호, pp.169-187, 2011. 

  25. 백학영, 김경휘, "지역자활센터 사례관리 특성이 자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 제15권, 제4호, pp.26-60, 2013. 

  26. 김용득, 강상경, 금현섭, 이상균, 이용표, 최원석, 지역개발형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연구, 보건복지가족부, 성공회대학교 산학협력단, 2009. 

  27. 백학영, 구인회, 김경휘, 조성은, 안서연, "자활사업 성과관리에 대한 비판적 접근,"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2호, pp.3-35, 2011. 

  28. 이현주, "빈곤층의 근로 동기에 대한 탐색: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사회복지정책, 제39권, 제4호, pp.31-57, 2012. 

  29. 백학영, 조성은,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경로와 자활과정에서의 전략적 선택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편,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2. 

  30. 조준용, "자활제도 참여자의 자활 경험과 전망에 대한 종단적 질적연구-근거이론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313-324, 2013. 

  31. 김소형, 김경호, "20대 빈곤청년의 자활사업 참여 경험연구," 사회복지정책, 제45권, 제3호, pp.5-37, 2018. 

  32. 하승범, 신원식, "농촌 자활사업의 방향성: 참여자들의 자활사업에 대한 인식유형," 사회복지정책, 제46권, 제3호, pp.93-119, 2019. 

  33. 송승숙, 장승옥, "빈곤여성가장의 자활의지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7호, 제4권, pp.345-368, 2013. 

  34. 정혜숙, "빈곤 여성 한부모 자활 경험의 재구성," 한국사회복지학, 제67권, 제4호, pp.251-277, 2015. 

  35. 김현옥, "빈곤여성의 자활근로 참여과정과 참여경험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52권, pp.199-239, 2016. 

  36. 지규옥, "빈곤 여성 가구주의 자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사회적협동조합 경험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제26권, 제4호, pp.207-231, 2018. 

  37. 백학영, 한경훈, 이승호, 조성은, "근로빈곤층의 자활근로사업 참여유인과 걸림돌에 대한 질적연구," 사회복지정책, 제43권, 제2호, pp.241-275, 2016. 

  38. 김자옥, 유태균. "자활사업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자활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9권, 제2호, pp.39-64., 2018. 

  39. 김미라, 이현숙, 이정희, "자활 게이트웨이과정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공공정책연구, 제35권, 제2호, pp.145-168, 2019. 

  40. 최상미, 홍송이, "현장의 시각으로부터 구조화된 자활개념 탐색 연구: 자활사업 실무자의 이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9권, 제3호, pp.5-33, 2018. 

  41. 최상미, "이용자중심적 관점으로부터의 자활에 대한 재개념화: 지역자활센터 사업 참여자의 시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1호, pp.98-124, 2018b. 

  42. 조준용, "사회정책이론의 확산에 대한 연구: 한국의 생산적 복지 사례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4호, pp.541-575,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