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 메모리 제공과 개인-직무, 개인-조직 적합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흡수역량을 매개로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Memory Affordance and Person-Job, Person-Organization Fi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s : Mediating Absorption Capac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8, 2020년, pp.274 - 284  

권재현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  서영욱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 산업 혁명 시대에는 데이터의 효율적인 활용 수준이 그 기업의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조직 메모리 제공이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의 수준에 따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흡수역량이 매개로 했을 때의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재직자 317명을 대상으로 설문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조직 메모리 제공이 충분한 조직은 개인-직무 및 개인-조직 적합성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흡수역량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조직 메모리 제공은 개인-조직 적합성을 매개할 '때 흡수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은 조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흡수역량을 매개할 경우는 개인-조직 적합만이 긍정적인 영향 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흡수역량의 선행 요인으로 조직 IT 구축환경과 구성원들의 조직과 직무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실증함으로써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level of data-efficient utilization great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enterprise.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absorption capacity as a mediate, depending on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직의 메모리 제공이 흡수역량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개인의 직무 적합성과 조직 적합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 개인의 직무와 조직 적합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흡수역량을 매개로 했을 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그림 1]과 같은 연구 모형을 설정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매출액과 업력을 통제 변수로 설정하여 조직성과를 통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다양한 기업 규모를 표본을 대상으로 기업의 IT 인프라 수준인 조직 메모리 제공과 개인의 적합성이 흡수역량을 매개했을 때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을 통해 아래와 같은 학문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조직의 메모리 제공이 개인-직무 적합과 개인조직 적합에 미치는 영향과 흡수역량을 매개로 했을 때 조직성과에 대해서 실증 분석하였다. 각 가설로 제시한 경로에 대한 분석은 아래와 같다.
  • 본 연구는 조직의 메모리 제공이 흡수역량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개인의 직무 적합성과 조직 적합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 개인의 직무와 조직 적합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흡수역량을 매개로 했을 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그림 1]과 같은 연구 모형을 설정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매출액과 업력을 통제 변수로 설정하여 조직성과를 통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조직의 오랜 경험, 지식, 전문성을 축적하고 있는 지식 저장소인 조직 메모리의 제공이 구성원의 직무와 조직의 적합성에 따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흡수역량의 매개 효과와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조직 메모리는 기업 내부의 지식관리 능력뿐만 아니라 외부의 지식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도입, 분석하여 조직 흡수역량의 강화시키고 조직성과 향상된다는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14], 조직 메모리 제공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조직의 오랜 경험, 지식, 전문성을 축적하고 있는 지식 저장소인 조직 메모리의 제공이 구성원의 직무와 조직의 적합성에 따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흡수역량의 매개 효과와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조직 메모리는 기업 내부의 지식관리 능력뿐만 아니라 외부의 지식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도입, 분석하여 조직 흡수역량의 강화시키고 조직성과 향상된다는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14], 조직 메모리 제공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 조직 메모리 제공은 개인-직무 적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조직 메모리 제공은 개인-조직 적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조직 메모리 제공은 흡수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 개인-직무 적합성은 흡수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 개인-조직 적합성은 흡수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 개인-직무 적합성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 : 개인-조직 적합성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8 : 흡수역량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본 연구는 지식관리 핵심요소인 조직의 메모리 제공이 개인-조직 및 개인-직무 적합성과 흡수역량에 영향을 분석을 위해 아래 가설1 ∼ 가설3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T 기반 구축의 방향은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기업은 시장환경과 기업 내부의 경영상황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제된 정보를 관리, 적용, 활용함으로써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더욱 유연하게 대처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4]. IT 기반 구축의 방향은 기업의 전략적 목표 초점을 맞춰야 하며, 그렇게 되었을 때 기업의 IT 인프라는 전략 실행 효율성을 높이는데 이바지한다[5]. IT 인프라 중 지식관리 시스템은 조직의 지식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경영의 전략적 능력을 강화를 가능하게 하여 경영자원으로서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6].
기업의 정보화는 어떠한 수단인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IT(정보기술, Information Technology;이하 IT로 표기)를 기반으로 한 경영은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기업의 정보화는 효율적인 경영 활동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IT 인프라, 자산, 정보화 경험 등은 지식과 결합하여 기업의 생산, 판매, 제조, 인력관리등 자원을 효과적이고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 되고 있다[1]. 2018년 IS(정보시스템, Information System;이하 IS로 표기) 도입률은 ERP 93.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재직자 317명을 대상으로, 조직 메모리 제공이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의 수준에 따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조직 메모리 제공이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의 수준에 따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흡수역량이 매개로 했을 때의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재직자 317명을 대상으로 설문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조직 메모리 제공이 충분한 조직은 개인-직무 및 개인-조직 적합성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흡수역량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조직 메모리 제공은 개인-조직 적합성을 매개할 '때 흡수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은 조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흡수역량을 매개할 경우는 개인-조직 적합만이 긍정적인 영향 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흡수역량의 선행 요인으로 조직 IT 구축환경과 구성원들의 조직과 직무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실증함으로써 연구의 의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강대경, "기업의 정보화 수준.환경 불확실성.시장 지향성 성과 간의 관계 분석," e-비즈니스 연구, 제9권, 제4호, pp.47-67, 2008. 

  2.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8년 국내기업 IT.SW 활용조사 보고서,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8. 

  3. P. Heltzel, 2020년 비즈니스 지형을 뒤흔들 8가지 기술, IT 전망보고서-IDG Deep Dive, IDG Korea, 2020. 

  4. Anandhi S. Bharadwaj, "A Resource-Based Perspective on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An Empirical Investigation," MIS Quarterly, Vol.24, No.1, pp.169-196, 2000. 

  5. 임춘성, 유은정, 문형준, "KPI 기반의 정보화 수준 진단 방법론 개발 및 적용,"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제5권, 제2호, pp.21-32, 2006. 

  6. M. M. Wasko and S. Faraj, "Why should I share? Examining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contribution in electronic networks of practice," MIS quarterly, Vol.29, No.1, pp.35-57, 2005. 

  7. 조영삼, 박지환, "변화지향 리더십과 직무 열의 및 직무 만족의 관계 연구 : IT인프라 관리 역량의 조절 효과," 인터넷 전자상거래연구, 제20권, 제1호, pp.31-46, 2020. 

  8. J. P. Walsh and G. R. Ungson, "Organizational memor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6, No.1, pp.57-91, 1991. 

  9. C. Moorman and A. S. Miner,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memory on new product performance and creativ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4, No.1, pp.91-106, 1997. 

  10. R. R. Nelson and S. G. Winter, "The Schumpeterian tradeoff revisited,"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72, No.1, pp.114-132, 1982. 

  11. R. Kmieciak, "Improving SME performance through organizational memory," Journal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2019. 

  12. K. Lee and Y. Kim and K. Joshi, "Organizational memory an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vestigating the role of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120, pp.117-129, 2017. 

  13. J. Q. Chen, T. E. Lee, R. Zhang, and Y. J. Zhang, "Systems requirements for organizational learn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46, No.12, pp.73-78, 2003. 

  14. T. Connolly and B. K. Thorn, Discretionary databases: Theory, data, and implications, in Organization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age Publications, 1990. 

  15. D. T. Croasdell, "IT's role in organizational memory and learning,"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Vol.18, No.1, pp.8-11, 2001. 

  16. G. C. Kane and M. Alavi, "Information technology and organizational learning: An investigation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processes," Organization Science, Vol.18, No.5, pp.796-812, 2007. 

  17. G. S. Day, "The capabilities of market-driven organiza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58, No.4, pp.37-52, 1994. 

  18. 최수정, 신선진, "전자적 지식 저장소 내의 조직 메모리를 활용한 서비스 품질 향상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9호, pp.3511-3531, 2012. 

  19. G. P. Huber, "A theory of the effects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ies on organizational design, intelligence, and decision making,"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5, No.1, pp.47-71, 1990. 

  20. E. W. Stein and V. Zwass, "Actualizing organizational memory with information system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6, No.2, pp.85-117, 1995. 

  21. M. Abel, "Competencies management and learning organizational memory,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Vol.12, No.6, pp.15-30, 2008. 

  22. P. M. Leonardi, "Social media,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Toward a theory of communication visibilit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25, No.4, pp.796-816, 2014. 

  23. P. S. W. Fong, and S. K. Y. Choi, "The processes of knowledge management in professional services fir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critical assessment of both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Vol.13, No.2, pp.110-126, 2009. 

  24. C. Zhang, D. Li, Y. Zhaiand, and Y. Yang, "Multigranulation rough set model in hesitant fuzzy information systems and its application in person-job fit," International Journal of Machine Learning and Cybernetics, Vol.10, No.4, pp.717-729, 2017. 

  25. V. Ramachandran, R. Agarwal, and A. Mishra, Business strategy and IT-enabled business capabilities fits, misfits, and firm performance, University of Maryland, Working Paper, 2006. 

  26. S. Liao, W. Fei, and C. Chen, "Knowledge sharing,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capability: an empirical study of Taiwan's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Vol.33, No.3, pp.340-359, 2007. 

  27. J. R. Edwards and A. J. Shipp,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 and outcomes: An integrative theoretical framew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007. 

  28. 주효진, "개인과 상사, 개인과 직무, 개인과 조직 적합성이 조직몰입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들을 대상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6권, 제4호, pp.429-448, 2012. 

  29. 정연화, 홍아정, "개인-환경 적합성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직업교육연구, 제34권, 제4호, pp.1-24, 2015. 

  30. A. L. Kristof-Brown, "Perceived Applicant Fit: Distinguishing between Recruiters Perceptions of Person Job and Person Organizaion Fit," Personnel Psychology, Vol.53, No.3, pp.643-671, 2000. 

  31. A. L. Kristof-Brown, R. D. Zimmerman, and E. C. Johnson, "Consequences of Individuals' Fit at Work: A Meta­Analysis of Person-Job, Person-Organization, Person-Group, and Person-Supervior Fit," Personnel Psychology, Vol.58, No.2, pp.281-342, 2005. 

  32. A. L. Kristof-Brown, "Person­organization fit: An integrative review of its conceptualizations,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Personnel Psychology, Vol.49, No.1, pp.1-49, 1996. 

  33. 최보인, 장철희, 권석균,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직무 적합성의 효과성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5권, 제1호, pp.199-232, 2011. 

  34. 강영순, "개인-환경적합성과 직무수행간의 차별적 영향관계와 일가치감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9권, 제4호, pp.75-98, 2012. 

  35. 이지율, 김명옥, "개인-환경(조직, 직무, 상사)적합성이 혁신 행동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서.사무경영연구, 제25권, 제2호, pp.133-156, 2016. 

  36. 우하린, 문국경, "공공조직에서 개인-직무 및 개인-조직 적합성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진성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제33권, 제3호, pp.299-319, 2019. 

  37. D. C. Mowery and J. E. Oxley, "Inward technology transfer and competitiveness: the role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Vol.19, No.1, pp.67-93, 1995. 

  38. A. Malhotra, S. Gosain, and O. A. E. Sawy, "Absorptive Capacity Configurations in Supply Chains: Gearing for Partner-Enabled Market Knowledge Creation," MIS Quarterly, Vol.29, No.1, pp.145-187, 2005. 

  39. P. J. Lane, B. R. Koka, and S. Pathak, "The reification of absorptive capacity: A critical review and rejuvenation of the construc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1, No.4, pp.833-863, 2006. 

  40. C. M. Ringle, S. Wende, and J. M. Becker, "SmartPLS 3," Boenningstedt: SmartPLS GmbH, 2015. 

  41. W.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Vol.295, No.2, pp.295-336, 1998. 

  42. S. Chatterjee, G. Moody, P. B. Lowry, S. Chakraborty, and A. Hardin, "Strategic relevance of organizational virtues enabled by information technology in organizational innovation,"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32, No.3, pp.158-196, 2015. 

  43. P. A. Pavlou and O. A. El Sawy, "From IT Leveraging Competence to Competitive Advantage in Turbulent Environments: The Case of New Product Developmen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7, No.3, pp.198-227, 2006. 

  44. V. Venkatesh, J. B. Windeler, K. M. Bartol, and I. O. Williamson, "Person-organization and person-job fit perceptions of new IT employees: Work outcomes and gender differences," MIS Quarterly, Vol.41, No.2, pp.525-558, 2017. 

  45. J. J. P. Jansen, F. A. J. V. D. Bosch, and H. W. Volberda, "Managing Potential and Realized Absorptive Capacity: How Do Organizational Antecedents Matter?,"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8, No.6, pp.999-1015, 2005. 

  46. 유원종, "비재무적 성과측정 활용과 재무적 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회계연구, 제6권, 제1호, pp.111-139, 2001. 

  47. J. F. Hair, C. M. Ringle, and M. Sarstedt, "PLS-SEM: Indeed a silver bullet,"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Vol.19, No.2, pp.139-152, 2011. 

  48. 한은수, 정범구, 이상빈, 성을현, "기업가정신의 적용수준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기업가지향성을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제36권, 제2호, pp.157-185, 2017. 

  49. A. Abecker and S. Decker, "Building, maintaining and using organizational memories," Proceedings of the 1st Workshop, OM-98, August, pp.24-25, 1998. 

  50. W. S. Chow and L. S. Chan, "Social network, social trust and shared goals in organizational knowledge sharing," Information&management, Vol.45, No.7, pp.458-465, 2008. 

  51. C. Moorman and A. S. Miner,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memory on new product performance and creativ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4, No.1, pp.91-106, 1997. 

  52. 이태식, 강기두, 김동욱, 오명문, "조직의 서비스풍토와 종업원의 조직몰입 및 서비스제공 능력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2권, 제1호, pp.499-524, 2009. 

  53. 김수연, 정강옥, "중소기업 흡수역량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 기업가지향성, 팀다양성, 자기초월가치, 여유자원, 환경불확실성을 중심으로 -," 지역산업연구, 제40권, 제1호, pp.95-123, 2017. 

  54. 이명기, 서영욱, "제품개발 프로젝트에서 참여자 개인역량과 프로젝트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와 공급업체 흡수역량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7권, 제10호, pp.209-221, 2019. 

  55. J. E. Scott, "Facilitating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with information technology,"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7, No.2, pp.81-113, 2000. 

  56. A. C. Boynton, R. W. Zmud, and G. C. Jacobs, "The Influence of IT Management Practice on IT Use in Large Organizations," MIS Quarterly, Vol.18, No.3, pp.299-318,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