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랜드 사랑 구성개념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oncepts on the Brand Lov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8, 2020년, pp.315 - 326  

민귀홍 (홍익대학교 대학원 광고홍보커뮤니케이션학과) ,  박범순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력한 브랜드 구축을 위해 최근 브랜드 사랑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브랜드 사랑이 다차원적 구성개념이라는 것과 그것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개발에 대한 일관성 있는 연구결과는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Churchill(1979)과 DeVellis(1991)의 방법적 연구디자인을 기반으로 브랜드 사랑 속성을 탐구하여 '감성(emotion)'과 '관계(relationship)'의 두 가지 차원으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측정항목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개방형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 등의 사전조사와 단계별 요인분석이 진행된 본 조사 과정 등 총 8단계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사랑은 감성과 관계의 두 차원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감성 차원은 19개 항목으로 구성된 5개 하위요소(자존심, 따뜻함, 흥미, 책임감, 즐거움)로 관계 차원은 11개 항목으로 구성된 3개 하위요소(불변, 공유/지지, 이해) 로 구성되었다. 브랜드 사랑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은 신뢰도, 수렴 및 판별타당도, 이해타당도를 갖춘 최종 30항목이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브랜드 사랑 구성개념 간의 유기적 상호작용 결과 모델을 제시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브랜드 사랑 강도(strength) 4유형'을 제안하여 브랜드 사랑 관련 연구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rporate efforts to build strong brands have made consumers interested in brand love. In the field of brand love, however,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concept of brand love and on the scale development to measure it. Thus, based on the methodological res...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선정된 브랜드 사랑의 다차원적 구성개념과 이에 해당되는 신뢰성 및 내용 타당성이 검증된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브랜드가 소비자와 강하게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따뜻함, 흥미로움, 즐거움이라는 감성적 요소와 함께 마치 결혼과 같은 특별한 관계적 요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 셋째, 브랜드 사랑 구성개념 간의 상호작용 모델인 ‘브랜드 사랑 강도 유형을 구분하여 추가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브랜드 사랑의 강도(strength) 유형을 분류하여 향후 브랜드 사랑 관련 연구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브랜드 사랑이 단일차원이기보다는 다차원에 대한 가능성과 그에 따른 브랜드 사랑 다차원성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해 독특한 감성과 관계 사이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특성을 탐구하여 브랜드 사랑의 강도에 따른 4유형 설정 가능성을[그림 3]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 현재까지 브랜드 사랑의 다차원적 구성개념을 제안하고 구성개념 간의 상호작용 모델을 주장하는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다. 이에 브랜드 사랑을 좀 더 이해하기 위해 감성과 관계 차원은 서로 다른 강도(strength)로 상호작용한다는 차별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특히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특별한 감정을 [그림 2]와 같이 변화적 사랑, 열정적 사랑, 관계적 사랑, 안정적 사랑으로 브랜드 사랑 상호작용 결과 모델을 제안하였다.
  • 첫째, 본 연구는 브랜드 사랑 개념을 새로운 차원으로 연구하여 이에 대한 구성개념 및 하위요소를 탐색적으로 탐구하고 측정척도를 구체화한 연구라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특히, 브랜드 사랑에 대한 국내 연구는 소비자 중심의 체계적인 연구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랜드 사랑이란? 브랜드 사랑은 특정 브랜드에 대해 만족한 소비자가 느끼는 열정적이고 정서적인 애착(passionate emotional attachment)의 정도이며[1], 장기적 관계에서 경험하는 긍정적인 평가 및 감정 반응, 그리고 사랑 선언 등이 포함된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1-3]. 기존 연구들은 소비자와 브랜드 간에 맺는 최상의 관계로서 대인관계(interpersonal relationship)와 같은 사랑을 제시하였으며[4][5], 구성개념으로 흥분, 열정, 집착을 포함하고 있다[26].
브랜드 몰입이란? 소비자는 브랜드와의 사랑이라는 관계를 지속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몰입에 도달하게 된다. 브랜드 몰입은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에 갖는 심리적, 정서적인 애착의 총합이라 할 수 있으며, 브랜드 사랑의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7]. 자아일치성 이론(self-congruity theory)에 따르면 소비자는 브랜드가 자신과 동일한 이미지라고 느낄 때 보다 호의적으로 반응하고 정서적인 애착도 만든다.
브랜드 사랑의 구성 개념에는 무엇이 있는가? 브랜드 사랑은 특정 브랜드에 대해 만족한 소비자가 느끼는 열정적이고 정서적인 애착(passionate emotional attachment)의 정도이며[1], 장기적 관계에서 경험하는 긍정적인 평가 및 감정 반응, 그리고 사랑 선언 등이 포함된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1-3]. 기존 연구들은 소비자와 브랜드 간에 맺는 최상의 관계로서 대인관계(interpersonal relationship)와 같은 사랑을 제시하였으며[4][5], 구성개념으로 흥분, 열정, 집착을 포함하고 있다[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 A. Carroll and A. C. Ahuvia, "Som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brand love," Marketing letters, Vol.17, No.2, pp.79-89, 2006. 

  2. A. C. Ahuvia, "Beyond the extended self: Loved objects and consumers' identity narrativ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32, No.1, pp.171-184, 2005. 

  3. R. Batra, A. Ahuvia, and R. P. Bagozzi, "Brand love," Journal of Marketing, Vol.76, No.2, pp.1-16, 2012. 

  4. 최순화, "소비자의 브랜드 사랑: 스턴버그의 삼각이론을 통해 본 소비자-브랜드 관계," 마케팅논집, 제15권, 제4호, pp.129-156, 2007. 

  5. 최원주, 최준환, "브랜드 사랑, 그 개념적 요인과 합의," 주관성연구, 제17권, pp.45-66, 2008. 

  6. S. M. C. Loureiro, K. H. Ruediger, and V. Demetris, "Brand Emotional Connection and Loyalty," Journal of Brand Management, Vol.20, No.1, pp.13-27, 2012. 

  7. M. Thomson, D. J. MacInnis, and C. W. Park, "The ties that bind: Measuring the strength of consumers' emotional attachments to brand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15, No.1, pp.77-91, 2005. 

  8. 안광호, 이재환, "스포츠스타 브랜드이미지-소비자 자아 일치성과 스포츠스타 속성이스포츠스타브랜드에 대한 사랑과 소비자 행복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28권, 제1호, pp.151-175, 2017. 

  9. 성영신, 이진용, 유창조, 박은아, 신은희, 백인기, "소비활동이 행복에 기여할 수 있을까?," 마케팅연구, 제28권, 제6호, pp.185-217, 2013. 

  10. 전홍식, 김대영, "브랜드 사랑, 브랜드 충성도 및 구전이 브랜드 경영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제12권, 제2호, pp.199-227, 2011. 

  11. D. M. Lawson, "Love attitude and marital adjustment in the family life cycle," Sociological Spectrum, Vol.8, No.4, pp.391-406, 1988. 

  12. K. Roberts, "Lovemarks. El futuro de las marcas," Barcelona: Urano, 2005. 

  13. D. A. Aaker, "Measuring brand equity across products and market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38, No.3, p.102, 1996. 

  14. E. J. Park and S. J. Ha, "의류제품의 쾌락적 구매 동기에 관한 연구,"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7, No.1, pp.303-320, 2001. 

  15. 이유재, 이지영,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감정, 브랜드 로열티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간의 비교," 광고연구, Vol.65, pp.101-125, 2004. 

  16. A. Chaudhuri and M. B. Holbrook,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Vol.65, No.2, pp.81-93, 2001. 

  17. N. Albert, D. Merunka, and P. Valette-Florence, "Brand pas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6, No.7, pp.904-909, 2013. 

  18. 김은진, 박재진, "조절초점 이론과 TAM 모델의 결합을 통한 해외직구 소비자 행동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4호, pp.47-66, 2006. 

  19. J. L. Lastovicka and N. J. Sirianni, "Truly, madly, deeply: Consumers in the throes of material possession lo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38, No.2, pp.323-342, 2011. 

  20. R. J. Sternberg, "A triangular theory of love," Psychological review, Vol.93, No.2, p.119, 1986. 

  21. T. A. Shimp and T. J. Madden, "Consumer-object relations: A conceptual framework based analogously on Sternberg's triangular theory of love," ACR North American Advances, 1988. 

  22. 박영근, 박재진, "Brand Love 의 측정에 관한 비교 연구," 마케팅논집, 제22권, 제3호, pp.173-195, 2014. 

  23. J. M. De Villiers and M. L. Jackson, "Aluminous Chlorite Origin of pH-Dependent Cation Exchange Capacity Variations 1,"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Vol.31, No.5, pp.614-619, 1967. 

  24. G. A. Churchill Jr,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6, No.1, pp.64-73, 1979. 

  25. S. Fournier, "Consumers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4, N0.4, pp.343-373, 1998. 

  26. N. Albert, D. Merunka, and P. Valette-Florence, "When consumers love their brands: Exploring the concept and its dimens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1, No.10, pp.1062-1075, 2008. 

  27. K. Roberts, Lovemark, Seodole Pub,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