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감 잎 추출물의 생리 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sweet persimmon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4, 2020년, pp.363 - 368  

손지영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  안광환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  김은경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  최성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  이동욱 (경남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  박혜원 (경남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  이승철 (경남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단감연구소에서 출하 시기 조절을 위해 육성된 중생종 단감 신품종 홍추와 기존 재배품종 상서조생, 서촌조생, 부유 3품종의 잎 추출물을 제조하여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홍추의 잎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Vit. C 함량,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ADH 활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DH 활성도는 부유의 잎 추출물에서 다른 품종에 비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신품종 단감 홍추의 잎을 이용한 고품질 감잎차의 제조가 가능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everal physiological activities of 4 sweet persimmon cultivar leaf water extracts. One new cultivar ('Hongchu' (HC)]) and three traditional cultivars ('Sangseojosaeng' (UW), Japanese Uenishiwase; 'Seochonjosaeng' (NW), Japanese Nishimurawase; and 'Buyu' (FY), J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yrosinase 저해 정도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종류나 구조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Kim 등, 1997), 폴리페놀 중 catechin류는 tyrosinase의 활성 저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gallocatechin류나 epicatechin류는 tyrosinase 저해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hn 등, 1998). 본 실험에서는 멜라닌 색소 생성에 관여하고 있는 tyrosinase의 활성을 품종별 단감 잎 추출액을 활용하여 저해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Fig.
  • 본 연구에서는 단감연구소에서 육성한 단감 신품종인 홍추의 이용성 증대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단감 잎 추출물을 제조하고 실제 음용조건에서 단감 잎 추출물에 포함된 품종별 유효성분을 비교분석하여 건강차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비교 품종으로는 완전 단감으로 중생종인 상서조생과 만생종인 부유, 그리고 불완전 단감이면서 조생종인 서촌조생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은 어떻게 구분되어지는가? )은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미국, 스페인 등 서양 여러 나라에서도 재배, 생산, 판매되고 있다. 감은 떫은맛 유무에 따라 일반적으로 떫은감과 단감으로 구분되는데, 탈삽 형태에 따라 완전 떫은감, 불완전 떫은감, 완전 단감, 불완전 단감으로 구분되어진다(Yamada, 1993). 우리나라 단감 재배는 중부이남 지역인 경남과 전남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감잎차의 효능은? 감잎에는 비타민 C 함량이 다른 차류에 비해 높으며 특히, 폴리페놀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여러 가지 생리적 활성작용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Chung 등, 1994). 감잎차는 국산 전통차로서 성인병의 예방 및 스트레스 해소, 니코틴 해독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며, 돌연변이 억제, 암 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Kim, 2001; Song 등, 2000).
일반적인 감잎차 제조공정은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가? 본 연구의 단감 잎 추출물 제조를 위해 수확한 단감 잎은 일반적인 감잎차 제조공정에 따라 처리하였다. 단감 잎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하고 상온에서 16시간 건조하고 면보자기에 싸서 5분간 비빈 후 160℃ 팬에서 5분간 1차 덖음 처리하였다. 완전히 식힌 후 1분간 유념 처리하고 160℃ 팬에서 3분간 2차 덖음 처리 후 완전히 식혔다. 그 후 60℃ 팬에서 30분간 수분제거작업을 실시하고 160℃에서 5분간 3차 덖음 처리작업으로 감잎차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감잎차는 −70℃ deep freezer에 보관하면서 시료 제조에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BJ, Bae MJ, Choi C. Chemical structure and isolation of glucosyltransferase inhibitor from the Korean persimmon. Food Sci. Biotechnol. 7: 23-27 (1998) 

  2. Ahn Bj, Bae MJ, Choi HJ, Zang YB, Sung TS, Choi C. Isolation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Korean persimmon (Diospyros kaki L. Folium).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212-217 (2002) 

  3. Bergmeyer HU. Alcohol dehydrogenase. Vol 1, pp. 428-429. In: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Bergmeyer HU (ed). Academic Press, New York, NY (1974) 

  4. Choung SY. Establishment of Functionality Evaluation System for Hangover Settle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KFDA, Seoul, Korea (2003) 

  5. Chung SH, Moon KD, Kim JK, Seong JH, Shon TH.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persimmon leaves during growth for processing persimmon leaves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41-146 (1994) 

  6. Davey MW, Auwerkerken A, Keulemans J. Relationship of apple vitamin C and antioxidant contents to harvest date and postharvest pathogen infection. J. Sci. Food Agr. 87: 802-813 (2007) 

  7. Floegel A, Kim DO, Chung SJ, Koo SI, Chun OK. Comparison of ABTS/DPPH assays to measure antioxidant capacity in popular antioxidant-rich US foods. J. Food Compost. Anal. 24: 1043-1048 (2011) 

  8.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981) 

  9. Hossain A. Effect of pretreatmen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Korean major persimmon leaves.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017) 

  10. Im CY, Jeong ST, Choi HS, Choi JH, Yeo SH, Kang WW. Characteristics of Gammakgeolli added with processed forms of persimmon. Korean J. Food Preserv. 19: 159-166 (2012) 

  11. Jeong SM, Kim SY, Kim DR, Jo SC, Nam KC, Ahn DU, Lee SC. Effect of heat treatment on antioxidant activity of citrus peels. J. Agr. Food Chem. 52: 3389-3393 (2004) 

  12. Jeong HJ, Park SB, Kim S, Kim HK.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ve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extracts depending on ethanol concent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91-1496 (2007) 

  13. Kim OK.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Diospyros kaki Folium against hepatotoxicity in carbon tetrachloride intoxic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7-101 (2001) 

  14. Kim JK, Cha WS, Park JH, Oh SL, Cho YJ, Chun SS, Choi C. Inhibition effect against tyrosinase of condensed tannins from Korean green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73-177 (1997) 

  15. Kim ID, Chae YG, Kim HR, Son JH, Kim BR, Shin DH.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leaf tea solution prepared by processing method. Kor. Food Serv. Ind. J. 9: 7-14 (2013) 

  16. Kim ID, Kim HR, Noh YJ, Shin DH. Antioxidant activity, ascorbic acid and amino acid content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leaf tea solution. Kor. Food Serv. Ind. J. 8: 7-19 (2012a) 

  17. Kim EJ, Choi JY, Yu MR, Kim MY, Lee SH, Lee BH.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2012b) 

  18. Kim HY, Cho EK, Kang SH, Bae JM, Choi YJ. $\alpha$ -Glucosidase,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effects of enzymatic extracts from Ecklonia cava and its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J. Life Sci. 22: 751-759 (2012c) 

  19. Kim SG, Lee YC, Suh KG, Choi HS. Acetaldehyde dehydrogenase activator fro persimmon and its processed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54-958 (2001) 

  20.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ensu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vailable from: http://kosis.kr Accessed May 28, 2020. 

  21. Lee YR, Chung HS, Seong JH, Moon K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with added astringent persimmon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329-333 (2011) 

  22. Lee KD, Kim JS, Bae JO, Yoon HS.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J. Korean Soc. Food Nutr. 21: 17-22 (1992) 

  23. Ma J, Liu XY, Noh KH, Kim MJ, Song YS. Protective effects of persimmon leaf and fruit extracts against acute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Prev. Nutr. Food Sci. 12: 202-208 (2007) 

  24. Muller HE. Detection of hydrogen peroxide produced by microorganism on ABTS-peroxidase medium. ZBL Bakt. Mik. Hyg. 259: 151-158 (1985) 

  25.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Korean Food Table. Available from: http://koreanfood.rda.go.kr Accessed May 20, 2020. 

  26. Park YJ, Kang MH, Kim JI, Park OJ. Change of vitamin C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of persimmon leaf tea by processing method and extraction cond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81-285 (1995) 

  27. Puohan M, Gerjovich. The use of 2,4-dinitrophenylhydrazine for the determination of ascorbic acid. Science 103: 202-203 (1946) 

  28. RDA. Persimmon growing. pp. 37-42. In: Standard agricultural manu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6th ed. Suwon, Korea. (2013) 

  29.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1997) 

  30. Roh YK, Park SH, Jang SH, Sung JJ. Analysis of components and leaves yield by cultivar for persimmon leaf te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99-102 (2000) 

  31. Song HS, Lee HK, Kang MH. Antimutagenic effects of persimmon leaf tea extract (PLTE) in mice using micronucleus induction (MN) tes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881-887 (2000) 

  32. Sugano T, Handler JA, Yoshihara H, Kizaki Z, Thurman RG. Acute and chronic ethanol treatment in vivo increases malate-aspartate shuttle capacity in perfused rat liver. J. Biol. Chem. 265: 21549-21553 (1990) 

  33. Vanni A, Gastaldi D, Giunata G. Kinetic investigation on the double enzymatic activity of the tyrosinase mushroom. Ann. Chim. 80: 35-60 (1990) 

  34. Yamada M. Persimmon breeding in Japan. J. Agr. Res. Quart. 27: 33-37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