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가 성공적인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Condition and Preparation for Old Age of University Students on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4 no.2, 2020년, pp.198 - 210  

하은호 (중원대학교 간호학과) ,  이영미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effect of current health conditions and preparation for old age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Methods: Totally, 273 university students, based across several cities in South Korea, were enrolled for the study. Data col...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급속한 고령화가 이행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성공적인 노화 수준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대학생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거시적 관점에서 젊은 세대가 미래에 성공적 노화를 이루기 위해 준비해 나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구체적 실천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건강상태, 노후준비와 성공적인 노화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성공적인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는 성공적인 노화인식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노후준비, 전공, 건강상태 등이 성공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전국 일부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 성공적인 노화인식 등을 확인하고 대학생들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가 성공적인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건강상태, 노후준비, 성공적인 노화인식의 수준을 확인하고 대학생의 건강상태, 노후준비가 성공적인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고령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인생의 후반이 쇠락과 의존의 삶이기보다는 길어지는 노년의 시기를 지혜와 경험이 충만한 자립적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새로운 노년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른 시기부터의 노후 준비는 성공적 노화로의 근접을 기대할 수 있으나 세대에 따라 성공적 노화를 위한 요소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미래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게 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인식과 관련된 요인을 탐색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현재의 젊은 세대와 노년 세대는 서로 다른 사회와 문화를 경험하면서 생활해 왔으므로 세대 간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은 다를 수밖에 없고, 젊은 세대는 성공적 노화에 있어서도 기성세대와는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급속한 고령화가 이행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성공적인 노화 수준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대학생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거시적 관점에서 젊은 세대가 미래에 성공적 노화를 이루기 위해 준비해 나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구체적 실천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owe와 Kahn이 말한 성공적 노화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 성공적 노화는 우리보다 앞서 고령화가 이루어진 국가들에서 제기된 개념으로 초기에는 신체적 건강 상태에 초점을 두었으나 Rowe와 Kahn (1997)은 질병이나 장애의 부재, 높은 인지 수준과 신체기능, 적극적인 삶의 영위를 성공적 노화의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제시하여 단편적 접근보다 폭넓은 영역으로 시각이 확대되어야 함을 강조하였고, 이후 지혜와 회복력을 구성 요소로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Rowe & Kahn, 2000). 그 밖에도 다양한 연령층에서 지혜, 건강, 경제적 안정, 활동적인 삶, 참살이(well-being) 등을 성공적 노화를 위한 공통적 요소로 언급하고 있다(Kelly & Lazarus, 2015).
성공적 노화를 이룰 수 있는 과정이자 계획인 노후준비를 바라보는 1980년에서 2000년 사이에 출생한 젊은 세대의 견해에는 무엇이 있는가? 노후준비는 노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영역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행동으로(Kim & Lee, 2019), 성공적 노화를 이룰 수 있는 과정이자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1980년에서 2000년 사이에 출생한 젊은 세대는 노후준비에 대해 몇 가지 유형의 주관적 인식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건강, 삶의 질, 저축, 가족 부양, 정서적 준비 등 통합적 준비를 지향하고 있는 유형, 현재를 잘 보내면 노후의 삶의 질이 높아질 것으로 보는 유형, 본인 스스로 주도적 노후준비를 대비하고자 하는 유형, 경제적 준비를 가장 중요시 하는 유형 등 다양한 견해를 보이고 있다(Kim & Lee, 2019).
미래에 젊은 세대의 고령층 부양부담 증가가 초래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생의 주기에서 대학생은 청소년에서 성인으로 전환 되는 시기로 가정과 학교의 보호 아래 성장·발달해 온 고등학교까지의 생활에서 벗어나 보다 자율적이고 개방적인 생활을 경험하게 된다(Moon, 2018). 최근 대학생을 포함한 청년기 특징은 핵가족화된 가정에서 성장하여 개인주의적 가치관을 지니며 부모 세대에 의존하는 경향이 뚜렷한데, 이는 성인기 이행의 장기화, 사회로의 취업시기 지연 및 그로 인한 불안정한 일자리 등을 야기하여 향후 급증하는 젊은 세대의 고령층 부양부담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Kim & Lee, 2019). 청년층은 이삼십 대부터 노후준비를 시작해야 한다는 인식은 있지만(Kim, 2009), 실천 가능성에 대한 우려, 노후준비에 대한 부담감과 막연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데(Kim & Lee, 2019),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은 현재의 삶의 태도와 그에 따른 노후를 대비하는 양상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Kang & Ha, 2013)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문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e, E. (2019). Meaning of preparation for old ag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key words of previous studie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0(5). 355-368. http://dx.doi.org/10.22143/HSS21.10.5.26 

  2. Choi, J. C. (2006). Image about old man and relation between awareness about successful aging which college students recognize. Korean Journal of Care Work, 2(2), 70-87. 

  3. Choi, S. H. (2014). Validation of implicit theory of successful aging for university student and adult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Seoul. 

  4. Chu, H. S., Tak, Y. R., & Kim, S. H. (2018). Factors influencing psychosocial well-being in family caregivers of people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8(4), 454-464. https://doi.org/10.4040/jkan.2018.48. 4.454 

  5. Dourado, M. B., de Oliveira, A. L. B., & Menezes, T. M. O. (2015). Perception of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s on self-aging. Revista Brasileira de Enfermagem, 68(2), 252-257. http://dx.doi.org/10.1590/0034-7167.2015680213i 

  6.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https://doi.org/10.3758/BRM.41. 4.1149 

  7. Ferrario, C. G., Freeman, F. J., Nellett, G., & Scheel, J. (2008). Changing nursing students’ attitudes about aging: An argument for the successful aging paradigm. Educational Gerontology, 34(1), 51-66. https://doi.org/10.1080/03601270701763969 

  8. Han, M. R. (2009).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nurses about the preparation and successful life for old 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9. Han, S. Y. (2018).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pplication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8), 781-801. http://dx.doi.org/10.22251/jlcci.2018.18.8.781 

  10. Hong, S. H.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78-86.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1.78 

  11. In, E. Y., & Kim, C. W. (2015). The effects of perceived successful aging of the lower-income middle-aged on preparation for later time of their liv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44, 25-52. http://dx.doi.org/10. 17997/SWRY.44.1.2 

  12. Jang, E. J. (2017). Effect of aging awareness and health of middle-aged and elderly persons on quality of 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any University. Daegu. 

  13. Jopp, D. S., Jung, S., Damarin, A. K., Mirpuri, S., & Spini, D. (2017). Who Is your successful aging role model?.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72(2), 237-247. https://doi.org/10.1093/geronb/gbw138 

  14. Kang, S. O., & Ha, K. S. (2013). Relations between the middle aged’s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their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2), 121-144.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2.121 

  15. Kelly, G. A., & Lazarus, J. (2015).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Intergenerational voices value well-be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80(3) 233-247. https://doi.org/10.1177/0091415015591678 

  16. Kim, H. J., & Lee, Y. S. (2019). A study on subjective recognition about retirement preparation of millennial gener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46, 27-50. 

  17. Kim, J. I. (2009). About superannuation recognition of 20 youth layer resear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kje Theological University & Seminary. Seoul. 

  18. Kim, W. (2014). The effect of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on anxiety about ag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6), 421-442. 

  19.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 Estimated future population. Retrieved August 15, 2019,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 

  20. Kwon, K. J. (2015). A study on the successful aging for middle-aged people. Hallym Journal of Aging Studies, 3(1), 1-15. 

  21. Lee, C. S. (2007).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successful ageing between adolescents and old adult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2(3), 85-107. 

  22. Lee, W. J., & Chang, S. H. (2013). The perception of aging and self-description:Through research based-photo voice. Global Social Welfare Review, 3(2), 25-46. 

  23. Moon, J. E. (2018). A convergence study on factors affecting physical-health statu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31-39. https://doi.org/10. 15207/JKCS.2018.9.1.031 

  24. Paik, J. E., & Choi, H. K. (2005).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Korean elderly: The definition, types, and predicting variab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3), 1-16. 

  25. Park, J. Y., & Kim, N. H. (2013).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ctivity,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153-165.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1.153 

  26. Park, M. J., Moon, H. K., & Oh, D. N. (2017). Effects of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dementia on social distance from senile dementia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1(3), 554-566. http://dx.doi.org/10.5932/JKPHN.2017.31.3.554 

  27. Rowe, J. W., & Kahn, R. L.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28. Rowe, J. W., & Kahn, R. L. (2000). Successful aging and disease prevention. Advances In Renal Replacement Therapy, 7(1), 70-77. https://doi.org/10.1016/S1073-4449(00)70008-2 

  29. Schafer, M. H., & Ferraro, K. F. (2012). Childhood misfortune as a threat to successful aging: Avoiding disease. The Gerontologist, 52(1), 111-120. https://doi.org/10.1093/geront/gnr071 

  30. Seo, Y. M. & Choi, W. H. (2019).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ness and participation in exercise by younger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1(3), 183-189. https://doi.org/10.17079/jkgn.2019.21.3.18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