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iddle-aged People's Retirement Preparation on Successful Aging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원문보기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산업진흥연구, v.8 no.3, 2023년, pp.69 - 78  

정승권 (안양대학교 글로벌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박현승 (한국복지상담경영학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늘어난 노년기를 대비하여 다양한 영역의 통합적인 노후 준비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노후 준비와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민 노후 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 Income Study: KReIS)의 제3차 조사, 제4차 조사 그리고 제5차 부가 조사에 모두 응답한 50세 이상 64세 미만의 남녀 1,037명을 분석하였다. 중고령자의 노후 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IBM SPSS 26 Process Macro Model 4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매개변수에 미치는 유의성 검증 결과, 노후 준비는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독립변수인 노후 준비와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가 종속변수인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인 노후 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도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를 통해 성공적 노화를 위한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노후 준비를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여 성공적 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ntegrated retirement preparation in various areas is needed in preparation for increased old ag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retirement preparation of middle-aged people and reveal the relationship with successful aging. In addition, i...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39)

  1. 통계청(2021). 국민의 삶의 질 2021 

  2. OECD(2022). 「OECD 보건통계 (Health Statistics) 2022」 

  3. Rowe, J.W., and R. L. Kahn(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87 Books. 

  4. 이경준.송희경 (2016). 중고령자의 노후 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4): 757-769. 

  5. Araujo, Ribeiro, Teixeira, & Paul(2016). Successful aging at 100 years: the relevance of subjectivity and psychological resource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8(2). 179-88. 

  6. Flood, M.(2002). Successful aging: A concept analysis. The Journal of Theory Construction and Testing, 6(2), 105-108. 

  7. Baltes, P.R., Baltes, M.M.,(1990).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Cosco, T. D., Prina, A. M., Perales, J., Stephan, B. C., & Brayne, C.(2014). Operational definitions of successful aging: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6(3), 373-381. 

  9. 김수영?모선희?원영희?최희경 (2010). 「노년사회학」, 서울:학지사. 

  10. Crawfford, E.L.(1999)."A Relationships among Coping Stategies, Perceived Control and Successful Aging",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Section B: the Science & Engineering,59:6485. 

  11. Chou, K, & Chi,I.(2002)."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and oldest-ol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4(1):1-14. 

  12. 법제처(2022). 노후 준비 지원법, 제2조 

  13. 박창제(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 준비와 결정 요인." 「한국사회복지학」 23.1 : 207-75. 

  14. 김미령(2013). "노후연령인식 여부에 따른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 차이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65.1: 227-245. 

  15. 신수민(2013). "과거 노후 준비가 노년기의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 44.3 : 57-83. 

  16. 홍영준?이정훈(2014). 노후 준비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생산적 활동 매개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4), 91-110. 

  17. 배문조(2009). "중년기 성인이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3 : 1107-1122. 

  18. 신근영(2016).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노후 준비를 매개효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20(1), 65-91. 

  19. 손덕화(2017). "은퇴세대의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간의 인과구조."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 송기영(2018). "노인의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73.1 : 469-503. 

  21. 이명희 (2020). 「베이비 부머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학원. 

  22. 윤형준 (2010)."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인식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Fisher.. B. J. & Specht, D. K. "Successful aging and creativity in later life." The Journal of Aging Studies 13.4 (1999): 457-472. 

  24. 조은혜(2017). "베이비 부머의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25. 김미혜, 신경림(2005).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2), 35-52. 

  26. Cassel, J.(1974). Psychological processes and stress" Theoretical formulation. International Jourunal of Health Service 4,: 471-482 

  27. Caplan, G., & Killilea, M.(1976). Support systems and mutual aid. New York, NY: Grune & Stratton. 

  28. Antonucci, T. C. (2001). Social relations: An examination of social networks,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ntrol. In J. E. Birren & K.W. Schaie (Eds.),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pp.427-453). San Diego, CA, US: Academic Press. 

  29. 이은혜(2015). 중장년층 경력단절 여성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직업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인식의 매개효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김미령(2013). "노후연령인식 여부에 따른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 차이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65.1 : 227-245. 

  31. 이현진(2009).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준비 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Cobb, S,(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33.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김정희, 박지영(2015). 노인의 노화 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210-222. 

  35. 김효신 (2008). 노후 준비와 우울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3(4): 117-128. 

  36. 홍영준.이정훈 (2014). 노후 준비도가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생산적 활동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4): 91-110. 

  37. 신근영 (2016) 노인의 라이프 스타일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노후 준비를 매개효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20(1): 65-91. 

  38. 송기영(2018). "노인의 노후 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73.1 : 469-503. 

  39. 이지모(2021). "중.고령자의 노후 준비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국내박사학위논문 칼빈대학교 대학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