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에틸렌 랩과 에어캡의 적용이 미숙아의 체온 유지에 미치는 효과
Comparison of the Effect of Applying Polyethylene Wrap and Aircap in Maintaining Body Temperature of Preterm Infant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6 no.2, 2020년, pp.232 - 239  

이은숙 (원광대학교병원) ,  이한나 (원광대학교병원) ,  박지현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n quasi-experimental study to compare the effect of applying polyethylene wrap and aircap in maintaining body temperature of preterm infa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51 preterm infants. Aircap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23) and polyethylene wrap was appl...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보온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에어캡이 미숙아 또는 저체중 출생아의 체온 유지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미숙아에게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단순한 폴리에틸렌 랩과 에어캡에 의한 체온 유지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미숙아의 저체온을 예방하는 간호 처치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가설 1. 폴리에텔렌 랩을 적용한 대조군과 에어캡을 적용한 실험군의 체온변화 차이가 없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의 열 교환은 무엇을 통해 이루어져 있는가? 신생아의 열 교환은 신체와 환경 사이의 증발, 대류, 전도, 복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열 손실에는 젖은 피부와 호흡을 통한 증발(evaporation), 주위의 공기 온도가 체온보다 낮을 때 발생하는 대류(convection), 차가운 물체가 몸에 직접 닿을 때 발생하는 전도(conduction), 신생아 주위의 차가운 물체에서의 체열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복사(radiation) 등의 다양한 기전이 작용하게 된다[14].
에어캡의 단열 성능은 어느정도인가? 에어캡은 쿠션 포장을 위해 개발한 제품으로서 두 장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개고 그사이에 규칙적인 공기층을 두고 만들어져 안전한 포장을 위한 용도로 쓰인다[17]. 초기에는 완충 포장재의 용도로 사용되었지만 2009년 농촌진흥청에서 단열재로서 연구가 시행되며, 평균 기온 2℃ 상승, 습도 10.0% 하락으로 단열 성능이 입증되어 단열재로 사용되고 있다[18].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2018년 영국에서 24주 미숙아에게 체온을 안정시키기 위해 에어캡을 이용하였다는 뉴스기사가 보고되었다[19].
출생 초기의 미숙아가 만삭아에 비해 어떤 것들이 떨어지는가? 출생 초기의 미숙아는 재태연령이 어리고 출생 체중이 작을수록 비효율적인 자세와 많은 체액분포, 피하지방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체온 소실의 위험이 만삭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 더욱이 비전율성 열 생산 기전이 특징인 미숙아는 열을 생산할 때 많은 양의 산소를 소모하게 된다[3]. 또한 미숙아의 저체온은 태아에서 출생 후 순환으로의 전환을 지연시키며, 산소요구도를 증가시켜, 호흡부전 및 저혈당, 대사성 산증의 원인으로 미숙아의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4] 미숙아 출생 후 적절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은 미숙아의 생존을 위한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arques LF, Ribeiro RV, Rocha CR, Carreiro MA, Santiago LC. Care to the extreme premature: Minimum handling and humanization. Revista de Pesquisa: Cuidado e Fundamental Online. 2017;9(4):926-930. https://doi.org/10.9789/2175-5361.2017.v9i4.926-630 

  2. Shafie H, Syed Zakaria SZ, Adli A, Shareena I, Rohana J. Polyethylene versus cotton cap as an adjunct to body wrap in preterm infants. Pediatrics International. 2017;59(7):776-780. https://doi.org/10.1111/ped.13285 

  3. Ha YS, Lee JH, Kim SH, Kim SH, Kim SJ, Kim YY, et al. Child and adolescent nursing. Seoul: Shinkwang Publisher; 2019. p. 25-51. 

  4. Biban P, Filipovic-Grcic B, Biarent D, Manzoni P. New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lines 2010: Managing the newly born in delivery room. Early Human Development. 2011;87(Suppl 1):S9-S11. https://doi.org/10.1016/j.earlhumdev.2011.01.002 

  5.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and newborn care: A guide for essential practice. 3r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6. Chitty H, Wyllie J. Importance of maintaining the newly born temperature in the normal range from delivery to admission. Seminars in Fetal Neonatal Medicine. 2013;18(6):362-368. 

  7.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Manual of neonatal care. 3rd ed. Seoul: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2014. p. 58-59. 

  8. Ahn YM, Sohn M, Kim NH, Kang NR, Kang SY, Jung EM. Hypothermia and related factors in high-risk infa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7;23(4):505-514. https://doi.org/10.4094/chnr.2017.23.4.505 

  9. de Almeida MF, Guinsburg R, Sancho GA, Rosa IR, Lamy ZC, Martinez FE, et al. Hypothermia and early neonatal mortality in preterm infants. Journal of Pediatrics. 2014;164(2):271-275. https://doi.org/10.1016/j.jpeds.2013.09.049 

  10. Laptook AR, Salhab W, Bhaskar B. Admission temperature of low birth weight infants: Predictors and associated morbidities. Pediatrics. 2007;119(3):e643-e649. https://doi.org/10.1542/peds.2006-0943 

  11. Knobel RB, Holditch-Davis D, Schwartz TA. Optimal body temperature in transitional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using heart rate and temperature as indicator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10;39(1):3-14. https://doi.org/10.1111/j.1552-6909.2009.01087.x 

  12. Vohra S, Reilly M, Rac VE, Bhaloo Z, Zayack D, Wimmer J, et al. Study protocol for multicent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HeLP(Heat Loss Prevention) in the delivery room. Contemporary Clinical Trials. 2013;36(1):54-60. 

  13. Miller SS, Lee HC, Gould JB. Hypothermia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Distribution, risk factors and outcomes. Journal of Perinatology. 2011;31(Suppl 1):S49-S56. https://doi.org/10.1038/jp.2010.177 

  14. Aylott M. The neonatal energy triangle part 1: Metabolic adaptation. Paediatric Nursing. 2006;18(6):38-42. https://doi.org/10.7748/paed.18.6.38.s30 

  15. Li S, Guo P, Zou Q, He F, Xu F, Tan L. Efficacy and safety of plastic wrap for prevention of hypothermia after birth and during NICU in preterm infa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One. 2016;11(6):e0156960.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56960 

  16. Oatley HK, Blencowe H, Lawn JE. The effect of coverings, including plastic bags and wraps, on mortality and morbidity in preterm and full-term neonates. Journal of Perinatology. 2016;36:S83-S89. https://doi.org/10.1038/jp.2016.35 

  17.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The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Seoul: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2009. p. 31-59. 

  18. Kim YB, Lee SY, Jeong BR. Analysis of the insulation effectiveness of the thermal insulator by the installation methods. Journal of Bio-environment. 2009:18(4):332-340. 

  19. Doctor who saved his life with 'aircap'... born in 24 weeks [Internet]. Seoul: Insight; c2019 [cited 2019 Oct 02]. Available from: https://www.insight.co.kr/news/248826. 

  20. Preterm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c2016 [cited 2016 Dec 28]. Available from: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 /View.do?idx3170. 

  21.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2. Hansen AR, Eichenwald EC, Stark AR, Martin CR. Cloherty and Stark's manual of neonatal care. 8th ed. Philadelphia(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7. p. 158-171. 

  23. Bailey J, Rose P. Axillary and tympanic membrane temperature recording in the preterm neonate: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1;34(4):465-474.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1.01775.x 

  24. Bissinger RL, Annibale DJ. Thermoregulation in very low-birth-weight infants during the golden hour: Results and implications. Advances in Neonatal Care. 2010;10(5):230-238. https://doi.org/10.1097/ANC.0b013e3181f0ae63 

  25. Talakoub S, Shahbazifard Z, Armanian AM, Ghazavi Z. Effect of two polyethylene covers in prevention of hypothermia among premature neonates.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2015;20(3):322-326. 

  26. Thomassen O, Færevik H, Osteras O, Sunde GA, Zakariassen E, Sandsund M. et al.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prehospital wrapping methods for preventing hypothermia: A crossover study in humans. Scandinavian Journal of Trauma, Resuscitation and Emergency Medicine. 2011;19(1):41. https://doi.org/10.1186/1757-7241-19-41 

  27. Sakata H, Walsh V, Chambers JP, Bridges J, Sano H. Effect of insulation with bubble wrap and an absorbent pad on heat loss in anaesthetised cats. New Zealand Veterinary Journal. 2020. Forthcoming https://doi.org/10.1080/00480169.2020.1776649 

  28. Freeman S, Nelson M. The use of bubble wrap for the management of pre-hospital hypothermia. British Paramedic Journal. 2017;2(3):3-5. https://doi.org/10.29045/14784726.2017.2.3.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