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대차 교통사고에 대한 상해 심각도 예측 연구
A Study on Injury Severity Prediction for Car-to-Car Traffic Accidents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9 no.4, 2020년, pp.13 - 29  

고창완 (전남대학교 산업공학과) ,  김현민 (전남대학교 산업공학과) ,  정영선 (전남대학교 산업공학과) ,  김재희 (전북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동차는 우리의 일상에 필수재가 된 지 오래지만 자동차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국가 예산의 9%를 넘을 정도로 심각하여 이에 대한 국가적인 예방 및 대응 체계 구축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차대차 교통사고의 상해 심각도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거 3년간의 전국교통사고 발생 데이터를 토대로, K-최근접 이웃, 로지스틱 회귀분석, 나이브베이즈, 의사결정나무, 앙상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각 모델의 상해 심각도 분류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각 상해 심각도 수준 간의 데이터 수에 차이가 있음에 주목하여 표본수가 많은 그룹에 대해서는 과소표본추출을 시행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분류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고, 분산 분석을 통해 모델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utomobiles have long been an essential part of daily life, but the social costs of car traffic accidents exceed 9% of the national budget of Korea. He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evention and response system for car traffic accidents. In order to present a model that can classify and predi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통사고에 초점을 맞추고 국내 전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우리의 교통현실을 충분히 반영하고, 상해 심각도 수준과 사실상 대동소이한 변수들을 제외하여 예측 모델로서의 가치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성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제 교통사고 환경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인 상해 심각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가 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은 2015년부터 2017년 동안 발생한 약 67만 건의 전국 교통사고 데이터를 이용해 국내 교통사고 현실을 반영한 상해 심각도 예측 모델 개발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그럼에도 몇 가지 한계점이 있는데, 첫째, 상해 심각도 간의 구분이 모호해 다섯 가지 상해 심각도 분류 문제를 세 가지로 바꾸어 진행하였기 때문에 보다 세심한 분류 예측을 못했다는 점이다.
  • 민감도는 실제 값이 참(True)인 경우에 대해서 참이라고 예측한 경우의 비율을 나타내며 특이도는 실제 값이 거짓(False)인 경우에 대해 거짓으로 예측한 경우의 비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범주의 중요도가 다르다는 점에 집중하여 모델성능의 비교분석 시 민감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민감도는 식 (13), 특이도는 식 (14)을 통해 계산된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의 일환으로 확보된 도로교통공단과 교통안전정보관리시스템의 방대한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교통사고, 그 중 차량과 차량 간의 사고 데이터를 이용해 상해 심각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각 상해 심각도 수준 간의 데이터 수에 차이가 있음에 주목하여 표본수가 많은 그룹에 대해서는 과소표본추출(Under-sampling)을 시행한 가운데, 교통사고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5가지 상해심각도 수준으로 분류된 데이터를 3가지 분류 체계로 변경하여 문제를 재정의한 결과, 예측 정확도의 뚜렷한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들을 통해 교통사고의 심각도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로교통공단(Korea Road Traffic Authority)과 교통안전정보관리시스템(Traffic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Complex System; TMACS)에서 제공받은 2015년부터 2017년 사이에 발생한 전국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기법 중 분류(Classification) 문제에 주로 사용되는 K-최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 KNN),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 LR), 나이브베이즈(Naive Bayes; NB),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DT), 앙상블(Ensembl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해 심각도 예측 모델을 학습하고 각 알고리즘별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의 연구들은 국내 자동차 사고 전반을 반영할 수 있는 데이터의 부재 또는 모형의 한계로 인해 현 시점에서 국내 자동차 교통사고 심각도 예측에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통사고에 초점을 맞추고 국내 전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우리의 교통현실을 충분히 반영하고, 상해 심각도 수준과 사실상 대동소이한 변수들을 제외하여 예측 모델로서의 가치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성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제 교통사고 환경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인 상해 심각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실제 교통사고로 인한 응급상황 발생 시 상해 심각도를 세분화하여 낮은 정확도로 예측하는 것보다 소수의 범주를 높은 정확도로 예측하고 그에 따른 신속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기존의 5가지 상해심각도 수준을 3가지로 분류하기 위해 기존의 데이터 집합을 재구성하고 보다 현실에 적용 가능한 상해 심각도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도로교통공단(Korea Road Traffic Authority)과 교통안전정보관리시스템(Traffic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Complex System; TMACS)에서 제공받은 2015년부터 2017년 사이에 발생한 전국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기법 중 분류(Classification) 문제에 주로 사용되는 K-최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 KNN),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 LR), 나이브베이즈(Naive Bayes; NB),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DT), 앙상블(Ensembl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해 심각도 예측 모델을 학습하고 각 알고리즘별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각 상해 심각도 수준 간의 데이터 수에 차이가 있음에 주목하여 표본수가 많은 그룹에 대해서는 과소표본추출을 시행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분류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제시된 방법을 통해 각종 요인 변수를 토대로 사고 후에 예상되는 피해 정도를 추정하고, 나아가 응급조치 수행 시 사고피해자의 2차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랜덤포레스트의 기본 개념은 [Fig. 2]와 같이 전체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N개의 부분집합 Θ1,...,ΘN을 생성하며 독립이면서 동일한 분포(Independent and Identically Distributed; i.i.d.)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최근접 이웃 분류 모형이란? K-최근접 이웃 분류 모형은 1968년 Cover and Hart(1967)에 의해 제안된 알고리즘으로 새로운 한 개체에 대하여 훈련 데이터 집합 안에 있는 K개의 가장 가까운 개체와 유사도를 비교하고, 가장 높은 빈도의 그룹으로 개체를 분류하는 방법이다. 유사도는 일반적으로 거리 개념을 이용하며 본 연구에서는 거리 개념 중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이용하였다.
사회적 비용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7%에 이르는 규모이다. 사회적 비용은 크게 인적피해 비용, 물적피해 비용, 사회기관 비용으로 구분되며 그 중 인적피해 비용이 12조 553억 원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인적 피해 비용은 심각도에 따라 달리 책정되는데 사고로 인한 1인당 평균 인적 피해 비용은 사망 4억 4,517만원, 중상 6,292만원, 경상 424만원, 부상신고 204만원으로 보고되어 있다(Korea Road and Traffic Authority, 2018).
나이브베이즈의 종속변수의 범주가 학습에 사용되지 않은 경우 0의 확률을 가지게 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나이브베이즈는 개념이 단순하고 계산이 효율적이며 좋은 성능을 보이는 장점이 있으나 좋은 성능을 위해 많은 수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며 종속변수의 범주가 학습에 사용되지 않은 경우 0의 확률을 가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Laplace 평활화(smoothing)를 적용하여 0의 확률을 갖지 않도록 0보다 큰 값을 설정하여 계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eiman L.(2001), "Random forest," Machine Learning, vol. 45, pp.5-32. 

  2. Breiman L., Friedman J. H., Olshen R. A. and Stone C. G.(1984),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hapman & Hall, pp.3-4. 

  3. Cover T. M. and Hart P.(1967), "The nearest neighbor decision rule,"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vol. 13, no. 1, pp.21-27. 

  4. Dietterich T. G.(1997), "Machine learning research: four current directions," AI Magazine, vol. 18, no. 4, pp.97-136. 

  5. Gentle J. E. and Hadle W.(2012), Handbook of Computational Statistics: Concepts and Methods, pp.985-1022. 

  6. Hahn D. W., Park K. S. and Shin Y. K.(2002), "A Research on Regional Differences in Traffic environments and Driver's Behavior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 8, no. 1, pp.17-40. 

  7. Hastie T., Tibshirani R. and Friedman J.(2009), The Elements of Statistical Learning, Springer, pp.307-310. 

  8. Hong S. E., Lee G. Y. and Kim H. J.(2015), "A Study on Traffic Accident Injury severity Prediction Model Based on Public Data," Journal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vergence, vol. 13, no. 5, pp.109-118. 

  9. Isaac J. and Harikumar S.(2016), "Logistic regression within DBMS,"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emporary Computing and Informatics (IC3I), pp.661-666. 

  10. Jeong H. J., Jang Y. C., Bowman P. J. and Masoud N.(2018), "Classification or motor vehicle crash injury severity: A hybrid approach for imbalanced data,"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120, pp.250-261. 

  11. Jeong H. R., Kim H. H., Park S. M., Han E., Kim K. H. and Yun I. S.(2017), "Prediction of Severities of Rental Car Traffic Accidents using Naive Bayes Big Data Classifier,"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vol. 16, no. 4, pp.1-12. 

  12. Jung Y. H., Eo S. H., Moon H. S. and Cho H. J.(2010), "A Study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ata Mining Using Ensemble Techniques,"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vol. 17, no. 4, pp.561-574. 

  13. Kang P. and Cho S.(2006), "EUS SVMs: Ensemble of Under sampled SVMs for Data Imbalance Problem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ol. 4232, pp.837-846. 

  14. Kass G.(1980), "An exploratory technique for investigating large quantities of categorical data," Applied Statistics, vol. 29 no. 2, pp.119-127. 

  15. Korea Road and Traffic Authority(2014), Estimation of Traffic Accident Costs by region. 

  16. Korea Road and Traffic Authority(2018),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Traffic Accident Costs. 

  17. Korea Road and Traffic Authority(2019), Comparison of Traffic Accident of OECD Members States. 

  18. Lee J. S. and Heo G.(2011), "Injury Severity Prediction of Traffic Accident using Data Mining," Proceedings of the 2011 Fall Conference of Korean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Society, pp.199-206. 

  19. Lee J. S. and Lee E. J.(2009),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using Decision Tree Ensemble Model," Proceedings of the 2009 Fall Conference of Korean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Society, pp.211-218. 

  20. Lee J. Y. and Lee Y. J.(2018), "Exploration of the Factors Determining the Lecture Education of Liberal Arts Courses Utilizing the Decision Tree Analysi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12, no. 6, pp.67-93. 

  21. Quinlan J. R.(1993), C4.5 : Programs for machine learning, Morgan Kaufmann, San Mateo. 

  22. Sohn S. Y. and Shin H. W.(1998), "Data Mining for Road Traffic Accident Type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pp.542-549. 

  23. Uddin M. and Huynh N.(2020), "Injury severity analysis of truck-involved crashes under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141. 

  24. Yoo J. E.(2015), "Random forests, an alternative data mining technique to decision tree,"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vol. 28, no. 2, pp.427-44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