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 가정과 한국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위험행위, 정신건강 및 건강인식 비교
Comparative Study of Health Risk Behaviors,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and Mono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3 no.2, 2020년, pp.115 - 124  

장인순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health risk behaviors,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monocultural (Korean) famil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basic data for education and policy proposals related to health pro...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최근 발표된 자료를 활용하여 다문화 가정과 한국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위험행위, 정신건강 및 건강인식 정도를 비교하며 한국문화 가정을 기준으로 다문화 가정이 청소년의 건강위험행위, 정신건강 및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증진과 관련된 교육 및 정책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어떤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가? 청소년기는 신체적, 심리적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정서적 불안과 사회적 압력을 느끼는 등 크고 작은 여러 스트레스에 노출될 수 있는데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발달상의 스트레스와 더불어 자신의 이중문화로 인한 적응과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전환되는 시기로, 급격한 신체적 변화와 자아정체감이 형성 되는 정서적 변화와 함께 음주, 흡연 등 건강 위험 행위들이 시작되는 중요한 시기이다[5].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는 어느곳에 활용되고 있는가? 질병관리본부에서는 2005년부터 전국의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이하 청소년 건강행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는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대한 대표성 있는 자료로 국가적으로 청소년들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다문화가족의 출생 비중은 전체 출생건수 중 몇%인가? 2018년 통계청이 집계하고 있는 전국의 다문화가구수는 31만 9천 가구로 전체 가구원 수는 96만 4천명에 추정하여[1] 머지않아 국내 다문화가족의 수는 백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다[2]. 또한 2018년 기준으로 다문화가족의 출생 비중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전체 출생건수 중 5.5%를 차지하여[3] 국내 출생 신생아 100명 중 5명 이상이 다문화자녀라는 사실은 향후 이들 세대의 성장과 함께 우리나라 이주배경을 가진 국민의 비중이 급속히 팽창될 것임을 전망하고 있었다[2]. 또한 전체 학생 수와 학령인구(6~12세)는 감소 추세에 있으나 다문화 학생은 최근 6년간 매년 1만 명 이상 증가하여, 2018년 초중고 다문화 학생은 12만2천명으로 전년보다 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7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8 [cited 2020 April 24]. Available from: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290467 

  2. Choi YJ, Kim LS, Soen BY, Dong JY, Jeong HS, Yang KM, et al. An analysis of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2018. Research Report.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9 January. Report No.: 11-1383000-000384-12. 

  3. Statistics Korea. Multicultural demographic statistics 2018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9 [cited 2020 April 24]. Available from: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5&ved2ahUKEwjr0LKHxoDpAhWhIaYKHTA7D9oQFjAEegQIAxAB&urlhttp%3A%2F%2Fm.kostat.go.kr%2Fboard%2Ffile_dn.jsp%3FaSeq%3D378480%26ord%3D1&usgAOvVaw0QX5y7IrTUK_1vOxYHO-N2. 

  4. Kim SH, Jeon SH. Adaptation to school life according to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2012;10:53-67.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Youth risk behavior surveillance-United States, 2007.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2008;57(SS-4):1-131. 

  6. Shin HS, Jung Y. Predicting and understanding schoolage children's health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846-855. 

  7. Park EO. A comparative study of youth health risk behaviors by region: focused on metropolitan areas, medium sized and small city areas, and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1):14-23. https://doi.org/10.4040/jkan.2010.40.1.14 

  8. Kim YT, Lee HJ, Kim YJ, Jeong SH, Choi JH, Cho HM, et al. 2007 the results of Korea youth risk behavior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08. p. 1-495. 

  9. Kim EG, Yoo HN.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by gender difference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8;31(1):10-17. https://doi.org/10.15434/kssh.2018.31.1.10 

  10. Ko SD, Sohn AR. Correlate of drug experience, drinking behavior, on suicide ideation and attempt among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2015;16(2):111-120. https://doi.org/10.15524/KSAS.2015.16.2.111 

  11. Yim SY, Park MH. Behaviors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to general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3):1641-1651. 

  12. Chae MO. Subjective health status, mental health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to general famil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8;16(12):383-393. https://doi.org/10.14400/JDC.2018.16.12.383 

  13. Lee YS, Kim HS. A comparative study on suicide risk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according to age.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019;46:167-185. https://doi.org/10.20993/jSSW.46.7 

  14. Shin HS. Differences in dietary and health behaviors of Korean adolescents between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using integrated data from 7th to 13th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master's thesis]. Seoul: Myongji University; 2019. p. 1-105. 

  15. Lee SH, Yoo JH, Yun ME, Chun SS. Correlate of the drinking behavior and sexual experience betwee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2015;16(2):45-57. 

  16. Ko EJ.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level and health behavior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master's thesis]. Jeju: Jeju National University; 2019. p. 1-63. 

  17. Baek HJ, Lim HJ, Kim HC, Yoo SR, Sun AR, Kim PH. 2017 youth comprehensive survey. Research Report.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7 December. Report No.:2017-10. 

  18. Kim JY. Health dispariti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outh Korea: an exploratory study. Research Report. Seoul: Child Fund Korea; 2019 December. Report No.: 2019-10. 

  19. Lee HJ, Lee GJ. Suicidal behaviors of culturally diverse adolescents with sexual experience: using date from the 10-12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y Mental Health Nursing. 2019;28(3):205-215. https://doi.org/10.12934/jkpmhn.2019.28.3.205 

  20. Salam RA, Faqqah A, Sajjad N, Lassi ZS, Das JK, Kaufman M, et al. Improving adolescent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 systematic review of potential intervention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16;59(4):S11-S28.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16.05.022 

  21. Ko YG, Kim JY.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mental health and general safety behaviors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6;23(12):303-325. https://doi.org/10.21509/KJYS.2016.12.23.12.303 

  22.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8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8 [cited 2020 April 24].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2/index.board 

  23. Min JW, Chang YS. An experience of personal hygiene education and hand-washing practices among adolescents in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2014;15(1):31-43. 

  24. Kim HS, Kim DS.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differential risks of suicidal behavior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2014;48(2):35-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