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With the observation of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self-reported happiness, self-reported stress and suicidal attempt, this study compared and evaluated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monocultural families in Korea. Methods : This study compare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가정 청소년과의 비교를 통해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고, 우울감 경험, 주관적 행복감, 스트레스 정도, 자살 시도와 같은 정신 건강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과 한국 가정 청소년과의 비교를 통해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고, 우울감 경험, 주관적 행복감, 스트레스 정도, 자살 시도와 같은 정신 건강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다문화 가정과 한국 가정 청소년의 정신 건강 상태 간에는큰 차이가 없었고, 학업 성적, 경제력, 가족 형태가 청소년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다문화 가정과 한국 가정 간에 다르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가정 청소년과의 비교를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고, 정신 건강 상태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우울 경험은 학업 성적이 높고, 경제 상태가 좋거나 폭력 경험이 적을수록, 또 한부모가정보다 일반 가정의 청소년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가설 설정

  • 선행 연구에서 고3 청소년들의 학업 스트레스가 정신 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19)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에 부분 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20)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감이 더 높다는 결과가 있었다.21) 본 연구 대상자 중 한국 가정에서 고등학생, 특히 고3의 비율이 높았던 것이 본 연구에서 한국 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높게 나온 이유 중 하나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과 한국 가정의 학년별 비교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 청소년의 우울 경험, 주관적 행복감, 스트레스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변수로 학업 성적, 경제력, 폭력 경험, 가족 형태를 설정하고, 자살 시도의 경우 독립 변수로 스트레스, 수면시간, 주관적 행복감, 폭력 경험, 우울 경험을 설정하였고 조절변수로 다문화 가정을 설정하였다. 변수 코딩은 가족 형태의 경우 한부모 가정은 0, 일반 가정은 1로 하였고, 다문화 가정의 경우 다문화 가정은 0, 한국 가정은 1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 가정이란 무엇인가? 9%인 207,693명이다.1) ‘2014년도 다문화 가정 학생 현황’ 통계에 따르면 다문화 가정이란 국제결혼 가정과 외국인 가정을 합한 것으로, 다문화 가정 학생 수는 2010년 31,788명에서 2014년 67,806명으로 증가하였고 전체 학생 중 다문화 가정 학생 비율은 0.44%에서 1.
청소년의 우울 경험이 낮은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 본 연구에서는 한국 가정 청소년과의 비교를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고, 정신 건강 상태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우울 경험은 학업 성적이 높고, 경제 상태가 좋거나 폭력 경험이 적을수록, 또 한부모가정보다 일반 가정의 청소년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청소년의 우울 경험에는 폭력 경험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왔으며, 특히 다문화 가정이 한국 가정보다 그 영향력이 유의하게 컸다.
다문화 가정과 한국 가정 청소년의 특성을 비교한 것 중, 성관계 경험은 어떠하였는가? 3%로 다문화 가정의 흡연 경험이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성관계 경험은 다문화 가정의 경우 이성과의 성관계는 6.3%, 동성과의 성관계는 5.1%였고, 한국 가정의 경우 이성과는 4.4%, 동성의 경우 0.9%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 비율이 높았다. 음주 후 성관계는 다문화가정 50.0%, 한국 가정 33.2%, 임신 경험은 다문화 가정 23.5%, 한국 가정 6.6%, 성병 경험은 다문화 가정 38.7%, 한국 가정 8.5%로 세 가지 모두 다문화 가정이 한국 가정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았다. 약물 경험은 다문화 가정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the Interior. Statistics on foreign residents by local governments in 2015. Seoul: Ministry of the Interior;2015. 

  2. Ministry of Education. Statistic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Sejong: Ministry of Education;2014. 

  3. Choi YE, Kang YJ, Lee HR. Major health related problems among adolescents in Seoul area. J Korean Acad Fam Med 2000;21:175-185. 

  4. Kim SG.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self-esteem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in Korea. Korean J Youth Stud 2012;19:109-128. 

  5. Munroe-Blum H, Boyle MH, Offord DR, Kates N. Immigrant children: psychiatric disorder, school performance, and service utilization. Am J Orthopsychiatry 1989;59:510-519. 

  6. Kirmayer LJ, Narasiah L, Munoz M, Rashid M, Ryder AG, Guzder J, et al. Common mental health problems in immigrants and refugees: general approach in primary care. CMAJ 2011;183:E959-E967. 

  7. Byun EJ, Sim HS. Effect of ego-resilience and family support on multi-cultural primary school student' school adjustment. Korean J Couns 2010;11:1753-1765. 

  8. An HJ. A study on schoo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 rural city.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8;17:383-391. 

  9. Kim YS, Shin CK, Kim HJ. The Effects of the potential abilities and personal relationships of multicultural families students on their adjustment to school: the case of elementary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J Elementary Educ 2012;25:161-185. 

  10. Yoo BN, Park KO, Choi JY. Association between self-esteem and health behavior of the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J Korean Soc Sch Health Educ 2010;11:41-55. 

  11. Ahn KS. A pla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healthy upbringing. Korean J Youth Stud 2009;16:99-126. 

  12. Yoo IY, Lee JA.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y environments.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2013;20:699-707. 

  13. Kim HS, Han JS. A study on the sorts and causes of teenagers' problem behavio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 a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J Future Educ 2014;4:61-83. 

  14. Park JI. A study on the trait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delinquent juveniles under the protective disposition - focusing on the comparation of environmental system factors between multicultural families delinquent juveniles and homogeneous -. Korean J Probat 2014;14: 209-270. 

  15. Park GY, Che YR, Kim BR.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in a multicultural family-based on the 2012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Korean J Health Serv Manage 2013;7:155-165. 

  16. Lee SH, Lee SH. Children's mental health in multicultural family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3;24:124-131. 

  17.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t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4. 

  18. Baek HJ, Kil EB, Yoon IJ, Lee YR. A study on psychologic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in South Korea. Stud Korean Youth 2007;18:183-211. 

  19. Jung CS. How study stress of high school seniors affects their mental health: validation of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J Youth Res 2011;18:1-18. 

  20. Kang MH, Lee SY.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and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J Youth Stud 2013;20:265-293. 

  21. Kim HS.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to adolescents' depression. Korean J Youth Stud 2014;21:409-437. 

  22. Lee J, Kang J, Rhie S, Chae KY. Impact of sleep duration on emotional status in adolescents. J Korean Child Neurol Soc 2013;21:100-110. 

  23. Oh SY, Kim HB. A study on the cause and strategies of the schoolviolence to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Crim Psychol Rev 2013;9:71-95. 

  24. Sohn BD. Adolescent's depression and delinquent aggressive behavior : the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and perceiving meaning of life. J Korean Counc Child Rights 2008;12:449-471. 

  25. Lee HB. The influence of domestic violence and child abuse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 J Welf Couns Educ 2014;3:55-79. 

  26. Park JS, Moon JW.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Health Soc Sci 2010;27:105-131. 

  27. Park HJ. Effect of sleep duration on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J Korean Soc Sch Health 2015;28:1-9. 

  28. Park HS, Yu JH, Park BY. The relationship b etween s 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J Korea Inst Electron Commun Sci 2013;8:771-777. 

  29. Lee JH. Association between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c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analyses of 2012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Seoul: The Catholic Univ.;2014. 

  30. Kim HS, Kim DS.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differential risks of suicidal behaviors. Korean J Sociol 2014;48:35-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