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성향
Subjective Health Status, Mental Health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to General Famili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2, 2018년, pp.383 - 393  

채명옥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가정과 비교하여 다문화가정이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 및 인터넷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2017년 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해 복합표본분석을 하였다. 대상자는 일반가정 61,320명(98.5%), 다문화가정 956명(1.5%)이었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보다 건강하지 못한 편, 불행한 편, 우울 경험, 자살생각, 주중과 주말 스마트폰 과의존, 친구나 선후배 관계에서 스마트폰 관련 문제적 경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에 비해 자살생각 1.270배, 주중과 주말 스마트폰 과의존 각각 1.359배, 1.297배, 친구나 선후배 관계에서 스마트폰 관련 문제 경험이 1.60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인터넷 중독 성향을 개선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mpact of multi-cultural family on subjective health status, mental health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compared to general family in Korean adolescent. The data were derived from the 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7 in Korea and analyz...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7년 교육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가 조사한 자료인 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19]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이며,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성향을 비교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교육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가 공동으로 실시한 2017년 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19]를 이용하여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성향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 및 인터넷 중독 성향은 주관적 건강상태, 행복감, 우울, 자살생각, 스마트폰 사용, 주중과 주말 스마트폰 과의존, 친구 관계와 학업 수행 시 스마트폰 관련 문제적 경험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에 비해 자살생각, 주중과 주말 스마트폰 과의존과 친구나 선후배 관계에서 스마트폰 관련 문제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교육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2017년 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19]를 2차 분석하여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성향을 비교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적응과 발달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틀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 인터넷 중독 성향을 융복합적으로 비교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표본크기가 크고, 우리나라 청소년에 대한 대표성이 확보되는 자료인 제 13차(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19] 분석을 통해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 인터넷 중독 성향 차이를 파악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우리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잘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신체적 ·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고, 인터넷중독 성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청소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맞춤형 지원시설 프로그램의 보완이 시급한 이유는 무엇인가? 7% 더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는데[12], 다문화가정 학생의 인터넷 중독률이 높은 원인으로는 방과 후 혼자 방치되는 상황과 언어와 문화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이라는 결과가 보고되었다[13]. 이렇듯 방과 후 방치되거나 언어와 문화 차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해 학교 내 방과 후 교실, 공부방,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청소년지원시설 등의 다양한 지원시설이 운영되고 있기는 하나, 학령기 아동에서 청소년기로 성장할수록 대부분의 지원시설 이용률이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었다[3].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 스트레스 등의 정신건강, 인터넷 중독을 관리할 수 있는 맞춤형 지원시설 프로그램의 보완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기란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도기 단계로, 아동 또는 성인의 어떤 편에도 속하지 않은 상황에서 신체적․정신적으로 큰 변화를 겪으며 심한 갈등과 혼란을 경험하는 ‘질풍노도의 시기’이다[4]. 특히,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과 달리 문화가 다른 부모의 양육환경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문화적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혼란과 부적응 행동의 현상인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5], 이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6].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도기 단계로, 아동 또는 성인의 어떤 편에도 속하지 않은 상황에서 신체적․정신적으로 큰 변화를 겪으며 심한 갈등과 혼란을 경험하는 ‘질풍노도의 시기’이다[4]. 특히,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과 달리 문화가 다른 부모의 양육환경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문화적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혼란과 부적응 행동의 현상인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5], 이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6]. 더구나,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영향을 주어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다문화가정 아동의 불안, 우울, 위축, 신체증상, 규칙위반, 공격행동의 정서행동문제 수준이 높아지게 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7). 2017 Youth Statistics.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 bmoderead&aSeq360039. 

  2. Statistics Korea,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8). 2018 Youth Statistics.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 d?bmoderead&aSeq367381. 

  3.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6). An Analysis of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2015. 

  4. T. I. Kim, H. S. Kim, Y. H. Shin, M. K. Shim & W. O. Oh. (2016). Growth Development and Health. 3rd ed. Paju : Gyomoon Press. 

  5. S. K. Un. (2010).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Bicultural Children: Focused on Family Functio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3, 37-74. 

  6. K. R. Choi & J. Y. Hong.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 The Mediating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Studies on Korean Youth, 29(1), 347-374. DOI : 10.14816/sky.2018.29.1.347 

  7. J. Y. Rhee & J. Y. Lee. (2016). The Influence of Stress for Cultural Adaptation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Counseling Psychology Education Welfare, 3(2), 19-27. DOI : 10.20496/cpew.2016.3.2.19 

  8. S. Y. Yim & M. H. Park. (2014). Behaviors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to General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3), 1641-1651. 

  9. H. S. Kim. (2016). Differential Risks of Juvenile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50(1), 41-74. 

  10. H. J. Kim & K. T. Park. (2010).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Welfare Need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Youth : A Comparative Analysis with Normal Family Youth. Journal of Social Science, 49(1), 93-128. 

  11. R. H. Lee & H. L. Chang. (2017).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Victimizat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Happin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Youth Welfare, 19(3), 109-132. DOI : 10.19034/KAYW.2017.19.3.05 

  12.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2). Internet addiction survey in 2012. 

  13. C. H. Lee & S. K. Han. (2011). Mentor'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Game Addiction of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7(4), 291-312. 

  14. K. S. Jun. (2008).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Normal Family in Gyeonggi Prefecture-Based on School Life and Family Life-.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6(1), 167-185. 

  15. S. H. Park & Y. S. Jeon. (2017). Moderators of the Effects of Delinquent Factors on Delinquency for Multi-Cultural Youth in South Korea.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11(3), 55-76. 

  16. J. H. Yu & S. Y. Hwang. (2016).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 Comparison with Those from General Families. Social Work Practice & Research, 13(1), 115-146. 

  17. S. J. Nam. (2015). Differences in Sexual Experiences between General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 Verifying Regulation Effects of Fathers" Education and Sex Educatio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ciation, 27(1), 1-12. DOI : 10.19031/jkheea.2015.03.27.1.1 

  18. S. H. Lee, J. H. Yoo, M. E. Yun & S. S. Chun. (2015). Correlate of the Drinking Behavior and Sexual Experience betwee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6(2), 45-57. 

  19.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The 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 Ministry of Science and ICT,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7). The Survey on Smart Phone Overdependence. 

  21. J. H. Yu & S. Y. Hwang. (2016).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 Comparison with Those from General Families. Social Work Practice & Research, 13(1), 115-146. 

  22. G. Y. Park, Y. R. Che & B. R. Kim. (2013).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in a Multicultural Family - Based on the 2012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7(1), 155-165. DOI : 10.12811/kshsm.2013.7.1.155 

  23. M. K. Kim. (2018). A Convergent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Mental Health of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189-197. DOI : 10.15207/JKCS.2018.9.1.189 

  24. O. S. Cho & H. S. Bang. (2018). The Effects of Daily Life Stress on the Learning Care Style of Multicultural Paren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arent Efficac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4), 173-180. DOI : 10.22156/CS4SMB.2018.8.4.173 

  25. H. S. Kim & D. S. Kim. (2014).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Differential Risks of Suicidal Behavior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8(2), 35-66. 

  26. R. H. Lee & H. L. Chang. (2018). The Influences of Closeness with Parents and Awareness of Internet Policies on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13-25. DOI : 10.14400/JDC.2018.16.3.013 

  27. J. M. Park, M. W. Kim, E. K. Kim & H. Y. Kim. (2012). Related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of Korean Adolescence: Using the 5th Korean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4), 2067-2080. 

  28. G. Y. Lee & D. Y. Lee. (2017). Influencing Factors on Violent Victimization Experience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3(6(B)), 453-469. DOI : 10.24159/joec.2017.23.6.453 

  29. J. Y. Kim, A. Y. Song & J. H. Lee. (2008). A Study of Victimization from School Violence, Adolescent Internet Gam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Mental Health & Social Work, 29, 150-176. 

  30. M. K. Kim. (2016).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tress, Depression, Family Resilienc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1), 205-210. DOI : 10.15207/JKCS.2016.7.1.2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