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 소비자의 건강관심도에 따른 식품선택 동기 분석: 미국 및 일본 소비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ood choice motivation according to health consciousness of overseas consumers: focus on American and Japanese consumer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4, 2020년, pp.431 - 444  

이서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재윤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민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일본을 타깃시장으로 선정하여 건강관심도에 따른 인구 통계학적 분석과 식품선택 동기를 파악함으로써 소비자 니즈를 반영하여 마케팅 전략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해당 국가의 소비자들의 건강하고 올바른 식품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미국 115명, 일본 120명의 현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ver.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전체 소비자의 군집별 미국과 일본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건강관심도에 따른 인구 통계학적 분석과 식품선택 동기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강관심도에 따라 '건강한 식습관 지향 집단', '영양 균형 지향 집단', '건강 무관심 집단'으로 군집을 나누었으며, 건강관심도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분석은 국가, 성별, 연령, 교육 수준의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건강관심도 집단별 식품선택 동기의 결과로는 건강 무관심 집단은 다른 집단과 비교했을 때 건강, 효율성, 가치, 기분 4가지 요인 모두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되었으며, 군집에 따라 점수의 차이는 있지만 세 집단 모두 자신이 투자한 시간에 대비하여 맛이나 조리시간 등의 효율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생활양식이 변화하면서 식품선택 동기가 변화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소비자들이 식품 소비에 있어 투자한 시간이나 자산대비 더 높은 만족감을 얻고자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미국과 일본 소비자의 건강하고 올바른 식품 선택을 기반으로 하는 해당 국가의 외식시장 진입전략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소비자의 니즈가 반영된 제품개발 방향을 제시하여 미국과 일본 소비자의 건강하고 올바른 식품 선택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health interest of consumer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thus understand the motivation of food choice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country's strategy based on healthy and correct food choices in the future. Methods: A cu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미국과 일본에 거주하는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건강관심도에 따른 식품선택 동기를 분석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국가의 소비트렌드를 파악하여 향후 시장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소비자의 건강하고 올바른 식품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분류된 식품선택 동기는 크게 건강, 효율성, 가치, 기분 네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는데, 초기 선행 연구에서 Steptoe 등 [3]은 건강, 기분, 편의성, 감각, 천연 식품, 가격, 체중 조절, 친숙성, 윤리적 관심 등 9개의 식품선택 동기 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는 시대적, 문화적, 환경적, 세대적 차이에 기인하여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요인이 추출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8].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일본을 타깃시장으로 선정하여 건강관심도에 따른 인구 통계학적 분석과 식품선택 동기를 파악함으로써 소비자 니즈를 반영하여 마케팅 전략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해당 국가의 소비자들의 건강하고 올바른 식품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미국 115명, 일본 120명의 현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ver.
  • 스페인 소비자 대상의 연구에서는 천연 성분과 건강 요인 2개의 요인이 1개 요인으로 나타났고 [23], 세르비아 소비자는 기존의 9개 요인 중 편의성이 준비 편의성과 구입 가능성으로 세분화되는 결과를 보여 주기도 하였다 [19]. 이처럼 식품선택 동기는 각 문화별 선호하는 요인과 요인의 특성이 다르게 분류되기 때문에 특정 국가에 대한 식품 구매 행동과 소비자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적합한 도구로 여겨지고 있다 [24].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특히 채식주의자 등 건강식품에 대한 니즈가 세분화되어 있는 미국과 평균 수명이 높은 대표적 국가 중의 하나인 일본 시장을 타깃 소비자 그룹으로 선정하여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식품선택 동기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건강하고 올바른 식품 선택을 기반으로 하는 해당 국가의 외식시장 진입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의 건강관심도를 측정하는 것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점은? 이에 따라 소비자의 건강관심도를 측정하는 것은 건강에 대한 사고방식과 행동을 예측함과 동시에 식습관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건강한 생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할 수 있어 그 중요성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현대인들의 건강한 생활 향상 및 개인과 사회의 건강 수준을 높일 수 있어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는데 기본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9-11].
미국과 일본을 타깃시장으로 선정하여 건강관심도에 따른 인구 통계학적 분석과 식품선택 동기를 파악함으로써 소비자 니즈를 반영하여 마케팅 전략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해당 국가의 소비자들의 건강하고 올바른 식품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는? 전체 소비자의 군집별 미국과 일본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건강관심도에 따른 인구 통계학적 분석과 식품선택 동기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강관심도에 따라 '건강한 식습관 지향 집단', '영양 균형 지향 집단', '건강 무관심 집단'으로 군집을 나누었으며, 건강관심도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분석은 국가, 성별, 연령, 교육 수준의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건강관심도 집단별 식품선택 동기의 결과로는 건강 무관심 집단은 다른 집단과 비교했을 때 건강, 효율성, 가치, 기분 4가지 요인 모두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되었으며, 군집에 따라 점수의 차이는 있지만 세 집단 모두 자신이 투자한 시간에 대비하여 맛이나 조리시간 등의 효율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생활양식이 변화하면서 식품선택 동기가 변화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소비자들이 식품 소비에 있어 투자한 시간이나 자산대비 더 높은 만족감을 얻고자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미국과 일본 소비자의 건강하고 올바른 식품 선택을 기반으로 하는 해당 국가의 외식시장 진입전략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소비자의 니즈가 반영된 제품개발 방향을 제시하여 미국과 일본 소비자의 건강하고 올바른 식품 선택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최근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는 어떤 식품의 선호로 이어지는가? 최근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는 식품시장 전반에 걸쳐 보존제나 색소 등의 인공 첨가물 사용 감소와 유기농 식품, 그리고 식물성 원료를 사용한 식품의 선호로 이어지고 있으며, 동시에 이러한 흐름은 저나트륨과 저칼로리 식품, 비건 식품 등의 프리미엄 식품군이 새롭게 형성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im HR, Kim SU. Dietary guidelines for the WHO, the US and Japan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Health Welf Policy Forum 2016; (234): 81-93. 

  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R). Status of the market for each processed food item: source market. Sejong: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8. 

  3. Steptoe A, Pollard TM, Wardle J. Development of a measure of the motives underlying the selection of food: the food choice questionnaire. Appetite 1995; 25(3): 267-284. 

  4. Shepherd R. Social determinants of food choice. Proc Nutr Soc 1999; 58(4): 807-812. 

  5. Park SJ, You SY. A study of the effect of health motivation and environmental concern on choosing organic food. J Consum Cult 2007; 10(4): 107-126. 

  6. Cha MH, Kim YK.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s of organic foods in relation to the perceived health concerns, healthy eating practices and attitudes, and food choice motive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3): 286-294. 

  7. Kim DK, Kim SJ, Lee KH. The effect of food choice motive on attitude and intention of purchasing organic food. Korean J Food Cult 2011; 26(5): 506-512. 

  8. Kim SA, Hong WS. The effect of food choice motive on consumption attitude,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r traditional fermented foods in the twenties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and satisfa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9; 48(4): 482-493. 

  9. Becker MH, Maiman LA, Kirscht JP, Haefner DP, Drachman RH.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rediction of dietary compliance: a field experiment. J Health Soc Behav 1977; 18(4): 348-366. 

  10. Pender NJ, Murdaugh CL, Parsons MA.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6th edition. Hoboken (NJ): Pearson; 2011. 

  11. Noh JH. Difference in health concerns,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habits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dissertation]. Seoul: Konkuk University; 2009. 

  12. Lee SY, Kim IH, Jang J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 and purchase behavior of the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Local Gov Adm Stud 2011; 25(1): 77-100. 

  13. Roininen K, Lahteenmaki L, Tuorila H. Quantification of consumer attitudes to health and hedonic characteristics of foods. Appetite 1999; 33(1): 71-88. 

  14. Wedel M, Kamakura WA. Market segmentation: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s. New York: Springer US; 2000. 

  15. Hughner RS, McDonagh P, Prothero A, Shultz CJ, Stanton J. Who are organic food consumers? A compilation and review of why people purchase organic food. J Consum Behav 2007; 6(2-3): 94-110. 

  16. Michaelidou N, Hassan LM. The role of health consciousness, food safety concern and ethical identity on attitudes and intentions towards organic food. Int J Consum Stud 2008; 32(2): 163-170. 

  17. Tarkiainen A, Sundqvist S. Subjective norms, attitudes and intentions of Finnish consumers in buying organic food. Br Food J 2005; 107(11): 808-822. 

  18. Tobler C, Visschers VH, Siegrist M. Eating green. Consumers' willingness to adopt ecological food consumption behaviors. Appetite 2011; 57(3): 674-682. 

  19. Gagic S, Jovicic A, Tesanovic D, Kalenjuk B. Motives for food choice among Serbian consumers. Econ Agric 2014; 61(1): 41-51. 

  20. Januszewska R, Pieniak Z, Verbeke W. Food choice questionnaire revisited in four countries. Does it still measure the same? Appetite 2011; 57(1): 94-98. 

  21. Lindeman M, Vaananen M. Measurement of ethical food choice motives. Appetite 2000; 34(1): 55-59. 

  22. Markovina J, Stewart-Knox BJ, Rankin A, Gibney M, de Almeida MD, Fischer A, et al. Food4Me stud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food choice questionnaire in 9 European countries. Food Qual Prefer 2015; 45: 26-32. 

  23. Jauregui-Lobera I, Bolanos Rios P. What motivates the consumer's food choice? Nutr Hosp 2011; 26(6): 1313-1321. 

  24. Eertmans A, Victoir A, Notelaers G, Vansant G, Van den Bergh O. The food choice questionnaire: factorial invariant over western urban populations? Food Qual Prefer 2006; 17(5): 344-352. 

  25. Kwon MW, Rhee KC. Variables affecting on the rationality of consumption behavior of adolescent consumers. J Korean Home Manage Assoc 2000; 18(2): 175-190. 

  26. Chen MF.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relation to organic foods in Taiwan: moderating effects of food-related personality traits. Food Qual Prefer 2007; 18(7): 1008-1021. 

  27. Yoo JN, Jeong HS. Consumer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in restaurants according to level of health consciousness. Korean J Food Nutr 2011; 24(3): 282-290. 

  28. Choi MK. An analysis of groups with diet problems associated with dining out. Korean J Food Nutr 2008; 21(4): 536-544. 

  29. Newsom JT, McFarland BH, Kaplan MS, Huguet N, Zani B. The health consciousness myth: implications of the near independence of major health behaviors in the North American population. Soc Sci Med 2005; 60(2): 433-437. 

  30. Sun YH. Health concern, food choice motives, and attitudes toward healthy eating: the mediating role of food choice motives. Appetite 2008; 51(1): 42-49. 

  31. Park SH, Yoon HJ, Cho SH, Haugtvedt CP. Assessing the provision of nutritional information on quick service restaurant menu item choices for college students. J Foodserv Bus Res 2013; 16(4): 329-346. 

  32. DiPietro RB, Remar D, Parsa HG. Health consciousness, menu information,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an empirical investigation. J Foodserv Bus Res 2016; 19(5): 497-513. 

  33. Mai R, Hoffmann S. How to combat the unhealthy tasty intuition: the influencing role of health consciousness. J Public Policy Mark 2015; 34(1): 63-83. 

  34. Furnham A. Are modern health worries, personality and attitudes to science associated with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r J Health Psychol 2007; 12(2): 229-243. 

  35. Kaptein AA, Helder DI, Kleijn WC, Rief W, Moss-Morris R, Petrie KJ. Modern health worries in medical students. J Psychosom Res 2005; 58(5): 453-457. 

  36. Petrie KJ, Sivertsen B, Hysing M, Broadbent E, Moss-Morris R, Eriksen HR, et al. Thoroughly modern worries: the relationship of worries about modernity to reported symptoms, health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J Psychosom Res 2001; 51(1): 395-401. 

  37. Petrie KJ, Broadbent EA, Kley N, Moss-Morris R, Horne R, Rief W. Worries about modernity predict symptom complaints after environmental pesticide spraying. Psychosom Med 2005; 67(5): 778-78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