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건강관심도, 건강정보지향, 인터넷 건강정보 문해력 및 건강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C시 여성노인 20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건강관심도, 건강정보지향 및 건강행위는 60대 군과 70대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인터넷 건강정보 문해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60대군에서는 건강정보지향으로 나타났으며 14.8%의 설명력이 있었다. 70대군인 경우 거주형태이었으며 6.6%의 설명력이 있었다. 이는 정보화시대에 여성노인의 건강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건강정보, 인터넷 건강정보 문해력 등에 대한 관심을 포함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함의를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alth concern,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e-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and to identify affecting factors of health behavior on elderly women. The subjects consisted of 203 elderly women in the C city. The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health concern,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nd health behavior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60s and 70s. The e-health literacy was significant difference. Factors influencing health behavior in 60s was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nd explanation of health behavior is 14.8%. In 70s was living situation, and explanation of health behavior is 6.6%.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 to improve health behavior for elderly women, and including health concern, e-health literacy in the information era.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건강정보 | 건강정보의 특징은? |
의미 있는 건강행동 변화를 가져오는 하나의 필요조건으로 작용
이에 노인들에게 적절한 건강정보가 필요함이 제기된다. 건강정보는 의미 있는 건강행동 변화를 가져오는 하나의 필요조건으로 작용하며[5] 개인은 질병이나 건강위험을 최소화하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스스로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갖추고 바람직한 건강행위를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6]. 이렇듯 개인이 건강정보를 찾고 수집하려는 건강정보지 향은 개인의 건강관리와 건강증진을 위한 행동을 취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나[7], 노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
여성 노인의 건강에 관심 | 여성 노인의 건강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는? |
65세 이상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많고 기대여명도 남성 노인보다 길지만 주관적 건강인식에서 남성 노인에 비해 자신의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하고 있어[1,2] 여성 노인의 건강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0%를 차지하고 있다[1]. 인구 구성 중 65세 이상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많고 기대여명도 남성 노인보다 길지만 주관적 건강인식에서 남성 노인에 비해 자신의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하고 있어[1,2] 여성 노인의 건강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노인들에게 적절한 건강정보가 필요 | 노인들에게 적절한 건강정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이유는? |
또한 노인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요구도에서 볼 때 보건의료건강관리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다른 서비스 요구도 보다 높았고[4]. 노인들에서 건강 관심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건강행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노년층의 건강관리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질병관리와 예방적 차원의 건강증진이 강화되면서 이를 위한 효율적인 방안으로써 건강정보 제공의 중요성이 점차 인식되고 있다[3]. 또한 노인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요구도에서 볼 때 보건의료건강관리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다른 서비스 요구도 보다 높았고[4]. 노인들에서 건강 관심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건강행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이에 노인들에게 적절한 건강정보가 필요함이 제기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