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머신러닝 오픈소스 플랫폼을 활용한 쇄파 예측
Prediction of Wave Breaking Using Machine Learning Open Source Platform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32 no.4, 2020년, pp.262 - 272  

이광호 (가톨릭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탁겸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에너지환경융합학과) ,  김도삼 (한국해양대학교 건설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금까지 연안에서 발생하는 쇄파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그에 따른 많은 실험자료가 축적되어 왔다. 또한, 다양한 실험자료로부터 공학적인 적용을 위한 쇄파 정보를 정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에 기반한 다양한 경험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쇄파는 내재하고 있는 변동성이 있으므로 선형 회귀분석과 같은 선형적 통계접근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쇄파파고 및 쇄파수심을 예측하기 위하여 기계학습 중 하나인 신경망을 사용하는 비선형 방법을 제안하였다. 신경망은 구글에서 배포하고 있는 머신러닝 오픈소스 플랫폼인 텐서플로(Tensorflow)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신경망 모델은 수집된 실험자료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학습하였으며, 학습에 이용하지 않은 자료를 사용하여 학습된 신경망을 평가하였다. 학습된 신경망에 의해 예측된 쇄파파고와 쇄파수심에 대한 예측결과는 기존의 경험식에 의한 계산결과에 비해 높은 예측성능을 보였으며, 이는 충분히 학습된 신경망은 쇄파파고 및 수심을 예측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arge number of studies on wave breaking have been carried out, and many experimental data have been documented. Moreover, on the basis of various experimental data set, many empirical or semi-empirical formulas based primarily on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proposed to quantitatively estimat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을 위해 구글이 개발하고 배포한 오픈소스 플랫폼인 텐서플로(Tensorflow, https://www.tensorflow.org)를 이용하여 천수변형에 의해 경사면에서 발생하는 쇄파지표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 모형을 구축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쇄파지표 예측을 위해 구축된 모형의 학습(training)과 예측(prediction)에 적용된 입력자료는 불투과 및 모래로 구성된 사면에서 수행된 780개의 기존 수리모형실험결과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머신러닝 기법 중 신경망이란 무엇이며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가? 최근 들어 전통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만든 자료의 처리규칙 대신에 컴퓨터가 입출력 자료로부터 통계적 구조를 찾아서 자동으로 규칙을 생산하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인 블랙박스 형태의 머신러닝 시스템이 재조명을 받고 있다. 특히,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 중에서 신경망(Neural Network, 이하 NN)은 인공의 소자(노드)를 이용하여 생체의 뉴런의 특정한 기능의 작용방식을 추출하여 모의하는 공학적 모델로써 다양한 비선형성의 취급이 가능하다는 특징으로 인해 분야에 관계없이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비선형 근사기법으로써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해안공학분야에 있어서도 NN 모형을 이용한 연구 예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쇄파현상이 해안공학에 있어서 매우 주요한 물리현상인 이유는? 천수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쇄파현상은 해안구조물에 충격 파압과 같은 높은 외력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쇄파대에서 연안류를 촉진시킴과 동시에 종단표사의 주요한 외력으로도 작용하는 등 해안공학에 있어서 매우 주요한 물리현상 중의 하나이다. 특히, 쇄파 파고와 쇄파 수심은 해안구조물의 설계시에 매우 중요한 설계 인자임에도 불구하고 해저 경사면에서 발생하는 쇄파는 발생기구의 복잡성으로 인해 이론적으로 완벽하게 설명하기가 곤란하다.
쇄파파고와 쇄파수심이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이유는? 천수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쇄파현상은 해안구조물에 충격 파압과 같은 높은 외력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쇄파대에서 연안류를 촉진시킴과 동시에 종단표사의 주요한 외력으로도 작용하는 등 해안공학에 있어서 매우 주요한 물리현상 중의 하나이다. 특히, 쇄파 파고와 쇄파 수심은 해안구조물의 설계시에 매우 중요한 설계 인자임에도 불구하고 해저 경사면에서 발생하는 쇄파는 발생기구의 복잡성으로 인해 이론적으로 완벽하게 설명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쇄파파고와 쇄파수심을 예측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리모형실험이 수행되어 왔으며, 수리실험의 결과로부터 회귀적으로 정리된 경험식이나 산정도가 자주 활용되고 있다(Miche, 1944; Goda, 1970, 197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badi, M., Agarwal, A., Barham, P., Brevdo, E., Chen, Z., Citro, C., Corrado, G.S., Davis, A., Dean, J., Devin, M., Ghemawat, S., Goodfellow, I., Harp, A., Irving, G., Isard, M., Jia, Y., Jozefowicz, R., Kaiser, L., Kudlur, M., Levenberg, J., Mane, D., Monga, R., Moore, S., Murray, D., Olah, C., Schuster, M., Shlens, J., Steiner, B., Sutskever, I., Talwar, K., Tucker, P., Vanhoucke, V., Vasudevan, V., Viegas, F., Vinyals, O., Warden, P., Wattenberg, M., Wicke, M., Yu, Y. and Zheng, X. (2015). Large-scale machine learning on heterogeneous distributed systems. Preliminary White Paper, Google Research. 

  2. Abadi, M., Agarwal, A., Barham, P., Brevdo, E., Chen, Z., Citro, C., Corrado, G.S., Davis, A., Dean, J., Devin, M., Ghemawat, S., Goodfellow, I., Harp, A., Irving, G., Isard, M., Jia, Y., Jozefowicz, R., Kaiser, L., Kudlur, M., Levenberg, J., Mane, D., Monga, R., Moore, S., Murray, D., Olah, C., Schuster, M., Shlens, J., Steiner, B., Sutskever, I., Talwar, K., Tucker, P., Vanhoucke, V., Vasudevan, V., Viegas, F., Vinyals, O., Warden, P., Wattenberg, M., Wicke, M., Yu, Y. and Zheng, X. (2016). Tensorflow:Large-scale machine learning on heterogeneous distributed systems. Proceedings of the 12th USENIX Symposium on Operating Systems Design and Implementation, USENIX Association. 

  3. Deo, M.C. and Jagdale, S.S. (2003). Prediction of breaking waves with neural networks. Ocean Engineering, 30, 1163-1178. 

  4. Goda, Y. (1970). A synthesis of breaker indices. Transactions of the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2), 39-40 (in Japanese). 

  5. Goda, Y. (1973). A new method of wave pressure calculation for the design of composite breakwaters. Report of the Port and Harbour Research Institute, 14(3), 59-106 (in Japanese). 

  6. Goda, Y. (2010). Reanalysis of regular and random breaking wave statistics. Coastal Engineering Journal, 52(1), 71-106. 

  7. Hinton, G.E., Osindero, S. and Teh, Y. (2006). A fast learning algorithm for deep belief nets. Neural Computation, 18, 1527-1554. 

  8. Kim, D.H., Kim, Y.J., Hur, D.S., Jeon, H.S. and Lee, C. (2010). Calculating expected damage of breakwater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wave height calc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2(2), 126-132 (in Korean). 

  9. Kim, D.H. and Park, W.S. (2005). Neural network for design and reliability analysis of rubble mound breakwaters. Ocean Engineering, 32, 1332-1349. 

  10. Kim, S.W. and Suh, K.D. (2011). Prediction of stability number for tetrapod armour block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M5' model tre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3(1), 109-117 (in Korean). 

  11. Komar, P.D. and Gaughan, M.K. (1972). Airy wave theory and breaker height prediction. Proceedings of 13th 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ing, Vancouver, Canada, 405-418. 

  12. Lara, J.L., Losada, I.J. and Liu, P.L.F. (2006). Breaking waves over mild gravel slope: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1, 1-26. 

  13. Le Mehaute, B. and Koh, R.C.Y. (1967). On the breaking of waves arriving at an angle to shore.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5, 67-88. 

  14. Le Roux, J.P. (2007). A simple method to determine breaking height and depth for different wave height/length ratios and floor slope. Coastal Engineering, 54, 271-277. 

  15. Liu, Y., Niu, X. and Yu, X. (2011). A new predictive formula for inception of regular wave breaking. Coastal Engineering, 58, 877-889. 

  16. Miche, R. (1944). Mouvements ondulatoires de la mer en profondeur constante ou decroissante. Annles de Ponts et Chaussees, 19, 370-406 (in French). 

  17. Michell, J.H. (1893). On the highest wave in water. Philosophical Magazine, Edinburgh, Series 5(36), 430-435. 

  18. Nakamura, M., Shiraishi, H. and Sasaki, Y. (1966). Study on wave breaking. Proceedings of 13th Japanese 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ing, JSCE, 71-75 (in Japanese). 

  19. Ostendorf, D.W. and Madsen, O.S. (1979). An analysis of longshore current and associated sediment transport in the surf zone. Report No. 241,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MIT, 1165-1178. 

  20. Sunamura, T. and Horikawa, K. (1974). Two-demensional beach transformation due to waves. Proceedings of 13th 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ing, Copenhagen, Denmark, 920-938. 

  21. Rattanapitikon, W. and Shibayama, T. (2000). Verification and modification of breaker height formulas. Coastal Engineering Journal, 42(4), 389-406. 

  22. Rattanapitikon, W. and Shibayama, T. (2006). Braking wave formulas for breaking depth and orbital to phase velocity ratio. Coastal Engineering Journal, 48(4), 395-416. 

  23. Rattanapitikon, W., Vivattanasirisak, T. and Shibayama, T. (2003). A proposal of new breaking height formula. Coastal Engineering Journal, 45(1), 28-48. 

  24. Smith, E.R. and Kraus, N.C. (1990). Laboratory study on macrofeatures of wave breaking over bars and artificial reefs. U.S. Army Corps of Engineers Technical Report CREC-90-12, WES, 232p. 

  25. Tieleman, T. and Hinton, G.E. (2012). Lecture 6.5-rmsprop: Divide the gradient by a running average of its recent magnitude, In Coursera: Neural Networks for Machine Learning. 

  26. Xie, W., Shibayama, T. and Esteban, M. (2019). A semi-empirical formula for calculating the breaking depth of plunging waves. Coastal Engineering Journal, 61(2), 199-209. 

  27. Yagci, O., Mercan, D.E., Gigizoglu, H.K. and Kabdasli, M.S. (2005).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in breakwater damage ratio estimation. Ocean Engineering, 32, 2088-2106. 

  28. Yi, J.K., Ryu, K.H., Baek, W.D. and Jeong, W.M. (2017). Wave height and downtime event forecasting in harbour with complex topography using auto-regressive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mode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9(4), 180-18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