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니어 대상 창업교육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 행동이론과 자기결정 이론의 통합모델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Seniors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Integra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5 no.4, 2020년, pp.69 - 81  

정찬영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정보경영학과) ,  이소영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정보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자기결정 이론통합모델을 활용하여 40대와 50대 시니어들의 창업 동기가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를 거쳐서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시니어 대상 창업 교육이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40대, 50대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총 284개의 설문 응답 중 243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분석은 SPSS 24, AMOS 23 구조방정식, 조절효과 분석을 위한 Hayes 교수의 Process 3.4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내적 동기는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 동기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는 창업에 대한 태도가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창업에 대한 주관적 규범이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창업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가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퇴직한 시니어들이 창업에 뛰어들고 있는데, 창업을 하고자 하는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를 진단함으로써 창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창업 지원 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시니어 대상 아웃플레이스먼트 프로그램에 재취업 교육뿐 아니라 창업 교육을 병행함으로써, 시니어들의 퇴직 이후의 인생 이모작 기회를 넓혀주는데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niors in their 40s and 50s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rough attitude on entrepreneurship,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y utilizing the integrated model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Also,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시니어들의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그리고 자기결정 이론을 중심으로 시니어들의 창업에 대한 내적 동기(Autonomous Motivation)가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영향을 미치지만, 외적 동기(Controlled Motivation)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둘째, 시니어에 특화된 연구를 통하여 시니어 창업의 성공을 높일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만드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반면에 가족이나 주변사람들로부터 창업을 하도록 압력을 받아서, 혹은 창업 외에 다른 대안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창업을 하고자 하는 외적 동기(Controlled Motivation)를 가진 경우와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인지 이론적 검증을 통해서 살펴본 연구들이 충분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실증적 검증을 통해서, 계획된 행동이론과 자기결정 이론의 통합모델이 창업 동기가 창업 의도로 이행되는 과정에 대한 보완적인 설명을 제공한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창업 의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창업 동기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기여하고, 내적 동기가 창업 의도를 거쳐서 어떻게 창업 기업의 생존과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시니어들의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교육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결정 이론을 중심으로 시니어들의 창업에 대한 내적 동기가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영향을 미치지만, 외적 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또한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업교육이 조절 역할을 한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림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시니어들의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교육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결정 이론을 중심으로 시니어들의 창업에 대한 내적 동기가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영향을 미치지만, 외적 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통하여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업하는 것을 포함하여 사람들의 다양한 행동을 예측할수 있고, 자기결정 이론을 통하여 내적 동기가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거쳐서 창업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 셋째, 시니어 대상 창업교육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역할을 확인하여, 퇴직예정자와 퇴직자들을 위한 효과적이고 차별화된 교육 정책 수립 및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데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첫째, 창업 분야에서 연구의 초기 단계라 할 수 있는 계획된 행동이론과 자기결정 이론의 통합모델을 적용하여, 건강 분야 등 다른 학문분야에서 검증된 이론이 창업 분야에서도 유의함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H1-1: 내적 동기는 창업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내적 동기는 주관적 규범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내적 동기는 지각된 행동통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외적 동기는 창업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외적 동기는 주관적 규범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3: 외적 동기는 지각된 행동통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창업 태도는 창업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주관적 규범은 창업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1: 창업교육은 창업 태도와 창업 의도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 H6-2: 창업교육은 주관적 규범과 창업 의도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 H6-3: 창업교육은 지각된 행동통제와 창업 의도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 계획된 행동이론에서는 의도가 인간 행동을 예측한다고 가정한다(Ajzen, 1991). 여기서 의도는 사람이 그 행동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려는 정도이다(Entrialgo & Iglesias, 2016).
  • 그리고 창업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모두 창업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가설 H3, H4, H5는 채택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는 <표 6>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9년 12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기준 기업생멸 행정통계’에 따르면 창업기업의 5년 생존율은 어떠한가? 최근 몇 년동안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에서 근무했던 40대, 50대 시니어들이 직장에서 퇴직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이들이 창업에 관심을 가지면서 시니어 창업이 활발해지고 있다. 퇴직한 시니어들이 창업에 뛰어들고 있는데, 2019년 12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기준 기업생멸 행정통계’에 따르면 창업기업의 5년 생존율은 30%정도에 그칠 정도로 창업의 성공확률이 높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시니어들의 창업 실패로 인한 개인적, 사회적 손실을 줄이기 위해 창업 성공을 높일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창업을 하고자 하는 잠재적 창업군의 창업 의도를 반영한 연구 방향이다.
계획된 행동이론만으로는 왜 창업 행동을 추구하는지에 대한 동기를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창업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설명한 선행연구에 한계점이 있는데, 이렇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 2000; Tkachev & Kolvereid, 1999)에 한계점이 있는데, 계획된 행동이론만으로는 왜 창업 행동을 추구하는지 그 동기를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Deci & Ryan, 2000). 이것은 계획된 행동이론이 자유 의지와 진정한 자아를 추구하는 내적 동기(Autonomous Motivation)에 의한 의도와 행동과, 의무감이나 주변 사람들의 압력을 받아서 하게 되는 외적 동기(Controlled Motivation)에 의한 의도와 행동을 구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Fayolle & Liñán(Fayolle et al.
시니어 창업이 활발해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몇 년동안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에서 근무했던 40대, 50대 시니어들이 직장에서 퇴직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이들이 창업에 관심을 가지면서 시니어 창업이 활발해지고 있다. 퇴직한 시니어들이 창업에 뛰어들고 있는데, 2019년 12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기준 기업생멸 행정통계’에 따르면 창업기업의 5년 생존율은 30%정도에 그칠 정도로 창업의 성공확률이 높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jzen, I.(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2. Ajzen, I.(2002).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2(4), 665-683. 

  3. Al-Jubari, I., Hassan, A., & Linan, F.(2019).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Malaysia: integrating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15(4), 1323-1342. 

  4. Almobaireek, W. N., & Manolova, T. S.(2012). Who wants to be an entrepreneur?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ong Saudi university students. Afric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6(11), 4029-4040. 

  5. Andersen, S. M., Chen, S., & Carter, C.(2000). Fundamental human needs: Making social cognition relevant. Psychological inquiry, 11(4), 269-275. 

  6. Asghar, M. Z., Gul, F., Hakkarainen, P. S., & Tasdemir, M. Z.(2019). Valida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Questionnaire to Assess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gitim ve Bilim, 44(197). 

  7. Autio, E., H. Keeley, R., Klofsten, M., GC Parker, G., & Hay, M.(2001). Entrepreneurial intent among students in Scandinavia and in the USA. Enterprise and Innovation Management Studies, 2(2), 145-160. 

  8.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9. Bandura, A.(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 

  10. Bird, B., & Jelinek, M.(1989). The operation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3(2), 21-30. 

  11. Deci, E. L., & Ryan, R. M.(2000). The "what" and"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8. 

  12. do Paco, A. M. F., Ferreira, J. M., Raposo, M., Rodrigues, R. G., & Dinis, A.(2011). Behaviour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Empirical findings about secondary students. Journal of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9(1), 20-38. 

  13. Douglas, E. J.(2013). Reconstru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to identify predisposition for growth.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8(5), 633-651. 

  14. Douglas, E. J., & Fitzsimmons, J. R.(2013). Intrapreneurial intentions versus entrepreneurial intentions: distinct constructs with different antecedents. Small business economics, 41(1), 115-132. 

  15. Entrialgo, M., & Iglesias, V.(2016). The moderating rol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12(4), 1209-1232. 

  16. Fayolle, A., Gailly, B., & Lassas­Clerc, N.(2006a). Assessing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mes: a new methodology.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17. Fayolle, A., & Linan, F.(2014). The future of research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7(5), 663-666. 

  18. Fayolle, A., Linan, F., & Moriano, J. A.(2014). Beyo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values and motivations in entrepreneurship.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10(4), 679-689. 

  19. Fernandez-Perez, V., Montes-Merino, A., Rodriguez-Ariza, L., & Galicia, P. E. A.(2019). Emotional competencies and cognitive antecedents in shaping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moderating rol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15(1), 281-305. 

  20. Fitzsimmons, J. R., & Douglas, E. J.(2011). Interaction between feasibility and desirability in the formation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6(4), 431-440. 

  21. France, C. R., France, J. L., Carlson, B. W., Himawan, L. K., Kessler, D. A., Rebosa, M., & Slepian, P. M.(2017). A motivational interview promotes retention of blood donors with high internal motivation. Transfusion, 57(10), 2433-2439. 

  22. Garcia-Rodriguez, F. J., Gil-Soto, E., Ruiz-Rosa, I., & Sene, P. M.(2015).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diverse development contexts: A cross-cultural comparison between Senegal and Spain.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11(3), 511-527. 

  23. Hagger, M. S., & Chatzisarantis, N. L.(2009). Integra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in health behaviour: A meta­analysis.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2), 275-302. 

  24. Hagger, M. S., Chatzisarantis, N. L., & Harris, J.(2006). From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to intentional behavior: Testing a motivational sequence in two behavioral context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2(2), 131-148. 

  25. Han, S. J., & Lee, J. K.(2017). Moderating Rol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bjective Norm,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 503-511. 

  26. Hayes, A. F.(2017).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27. Hessels, J., van Gelderen, M., & Thurik, R.(2008). Drivers of entrepreneurial aspirations at the country level: the role of start-up motivations and social security.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4(4), 401-417. 

  28. Kim, J. H., Lee, S. B. & Lee, S. W.(2019). Start-up Intention through the Integration of Self-determination and Goal-oriented Theory. Journal of Food 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22, 163-184. 

  29. Kim, S. H., & Byun, S. H.(2018). The Effect of Pre-entrepreneur's Individual Norm and Start-up Preparation Level on a Start-up Intention: Focusing on a Moderation Effect in Start-up Edu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3(1), 11-21. 

  30. Kautonen, T., Van Gelderen, M., & Tornikoski, E. T.(2013). Predicting entrepreneurial behaviour: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pplied Economics, 45(6), 697-707. 

  31. Kim, M. S., Lee, J. H., & Ko, J. W.(2013). The Effectiveness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r Seniors and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3), 233-241. 

  32. Kolvereid, L.(1996a). Organizational employment versus self-employment: Reasons for career choice inten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0(3), 23-31. 

  33. Krueger Jr, N. F., Reilly, M. D., & Carsrud, A. L.(2000). Competing model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5(5-6), 411-432. 

  34. Lee, A. S., Yung, P. S.-H., Mok, K.-M., Hagger, M. S., & Chan, D. K.(2020). Psychological processes of ACL-patients' post-surgery rehabilitation: A prospective test of an integrated theoretical model. Social Science & Medicine, 244, 112646. 

  35. Li, C., & Wu, Y.(2019). Understanding voluntary intentions within the theories of self-determination and planned behavior. Journal of Nonprofit & Public Sector Marketing, 31(4), 378-389. 

  36. Li, C., Wu, Y., & Kee, Y. H.(2016). Validation of the Volunteer Motivation Scale and its relations with work climate and intention among Chinese volunteers.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9(2), 124-133. 

  37. Liao, J. J., & Gartner, W. B.(2007). The influence of pre-venture planning on new venture creation. Journal of small business strategy, 18(2), 1-22. 

  38. Linan, F., & Chen, Y. W.(2009). Development and cross- cultural application of a specific instrument to measure entrepreneurial inten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3(3), 593-617. 

  39. Linan, F., & Fayolle, A.(2015).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citation, thematic analyses, and research agenda.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 Management Journal, 11(4), 907-933. 

  40. Linan, F., Urbano, D., & Guerrero, M.(2011). Regional variations in entrepreneurial cognitions: Start-up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in Spain. Entrepreneurship and Regional Development, 23(3-4), 187-215. 

  41. Luqman, A., Masood, A., & Ali, A.(2018). An SDT and TPB-based integrated approach to explore the role of autonomous and controlled motivations in "SNS discontinuance inten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85, 298-307. 

  42. Moriano, J. A., Gorgievski, M., Laguna, M., Stephan, U., & Zarafshani, K.(2012). A cross-cultural approach to understand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9(2), 162-185. 

  43. Nabi, G., Linan, F., Iakovleva, T., Kolvereid, L., & Stephan, U.(2011).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Education+Training. 

  44. Naktiyok, A., Karabey, C. N., & Gulluce, A. C.(2010).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Turkish case.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6(4), 419-435. 

  45. Park, S. H.(20100514). [Policy Catch] Policy to Support Senior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Start-up Management Newspaper, Retrieved from http://sbiznews.com/news/?actionview&menuid44&no23093. 

  46. Rauch, A., & Hulsink, W.(2015). Put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ere the intention to act lies: An investigation into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behavior.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14(2), 187-204. 

  47. Shah, I. A., Amjed, S., & Jaboob, S.(2020). The moderating rol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shap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Economic Structures, 9(1), 1-15. 

  48. Shook, C. L., & Bratianu, C.(2010). Entrepreneurial intent in a transitional economy: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Romanian students.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6(3), 231-247. 

  49. Souitaris, V., Zerbinati, S., & Al-Laham, A.(2007). Do entrepreneurship programmes rais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he effect of learning, inspiration and resourc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2(4), 566-591. 

  50. Tkachev, A., & Kolvereid, L.(1999). Self-employment intentions among Russian students. Entrepreneurship & Regional Development, 11(3), 269-280. 

  51. Wilson, F., Kickul, J., & Marlino, D.(2007). Gende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s: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1(3), 387-406. 

  52. Wilson, P. M., Rodgers, W. M., Blanchard, C. M., & Gessell, J.(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Needs, Self­Determined Motivation, Exercise Attitudes, and Physical Fitness 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3(11), 2373-2392. 

  53. Woo, J. P.(2012). Concepts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