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e Education Learning Program Using Creative Thinking Method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3 no.2, 2020년, pp.162 - 174  

한신 (고려대학교) ,  김형범 (충북대학교) ,  이창환 (고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사고기법 중 하나인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무선 표집된 6개의 중학교 33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천문'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3차례에 걸쳐 수정, 보완하여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받았으며,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은 블록타임을 포함하여 총 4차시에 걸쳐 현장에 적용하였다. 이에 따른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창의교육 수업만족도 검사와 창의적 사고과정 검사를 실시하였다. 즉 창의교육 수업만족도 검사는 프로그램 처치 후에 창의적 사고과정 검사는 처지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하면서 학생들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창의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창의적 사고기법의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업 전·후에 대한 통계적 검정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p<.05). 즉, 창의교육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사후점수 차에 의한 대응 표본 t검정에서 모두 유의미한 통계적 검정 결과를 나타내어(p <.05),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프로그램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교육 수업 만족도에서는 전체 338명중 101명(30%)이 '매우 그렇다', 137명(41%)가 '대체로 그렇다'로 응답하여 전체적으로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창의교육 수업에 대한 어려운 점에 대해 137명(41%)이 '시간 부족'을 주요 원인으로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 98명(30%)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의 어려움', 73명(22%)이 '친구와의 의견충돌' 및 24명(7%)이 '수업 내용의 어려움'으로 응답하여 향후 창의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점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reative education class program using metaphor, one of the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argeting for randomly sampled 338 students in six middle schools. The creative education class program with the metaphor was develo...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천문’의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창의교육의 현장 적합성을 높이고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의 적용이라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업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과정을 연구의 기본적인 절차에 따라 수업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진행하였다. 즉 창의교육의 이론적 고찰과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의 탐색을 토대로 초기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전문가 검토과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3차에 걸친 델파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천문’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비유 중심의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현장 적용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천문’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창의교육의 현장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의 적용이라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업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과정을 연구의 기본적인 절차에 따라 수업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진행하여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천문’의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창의교육에 대한 창의적 사고과정과 수업만족도를 알아보았다.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천문’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사고기법 중 하나인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무선 표집된 6개의 중학교 33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천문’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사고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둘째,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정 델파이 기법은 어떻게 조사가 진행되는가? 창의교육의 이론적 고찰과 과학과 수업프로그램의 탐색을 기초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수업프로그램의 단계와 하위 학습 과정 등 구인(construct)의 타당화를 위해 3차에 걸쳐 델파이(delphi)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설문지는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해 구안한 내용을 전문가들에게 제시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구하는 수정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였다. 1차, 2차, 3차의 델파이 조사의 회신결과는 100%의 회수율을 나타내었으며, 델파이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의 단계와 하위 학습 과정에 대한 수정·보완이 이루어졌다.
Cropley는 창의성의 정의를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창의성의 정의는 학자들마다 다르게 정의하지만(Keating, 1980), 창의성에 관한 창의교육의 관점에서 Haylock(1987)는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새롭게 조직함으로써 가치 있는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고, Maley와 Kiss(2018)는 개인의 특성으로부터 발현되는 동기유발, 지적 갈등과 같은 내부의 힘이 가치 있는 통찰과 관찰을 자신에게 가지게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Cropley(1999)는 기존의 아이디어를 새로운 방식으로 융합 및 결합하는 능력을, Sternberg와 Lubart(1999), Torrance(1981)는 문제해결 상황에 맞는 아이디어 즉 문제해결안을 이끌어낼 수 있는 능력을 창의성으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창의성은 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창의적 사고기법(Awang & Ramly, 2008) 등을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생성·수정 및 평가하여 문제해결에 대한 답을 찾고, 실제로 문제 상황에 적용해 나가는 고차원적 정신적 사고과정으로(Torrance, 1981), 이러한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것이 창의교육이다.
창의교육이란 무엇인가? 또한 Cropley(1999)는 기존의 아이디어를 새로운 방식으로 융합 및 결합하는 능력을, Sternberg와 Lubart(1999), Torrance(1981)는 문제해결 상황에 맞는 아이디어 즉 문제해결안을 이끌어낼 수 있는 능력을 창의성으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창의성은 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창의적 사고기법(Awang & Ramly, 2008) 등을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생성·수정 및 평가하여 문제해결에 대한 답을 찾고, 실제로 문제 상황에 적용해 나가는 고차원적 정신적 사고과정으로(Torrance, 1981), 이러한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것이 창의교육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규창, 조주필(2020). 기억의 순환 메커니즘을 모델링하기 위한 차원 축소 및 특정값 인코딩 기반 가변형 이미지 표현 방법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45(7), 1293-1305. 

  2.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 세종: 교육부. 

  3. 교육부(2016). 지능정보사회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試案)[교육부 보도자료(2016.12.23.)]. 세종: 교육부. 

  4. 교육부(2017).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계획발표[교육부 보도 자료(2017.11.27.)]. 세종: 교육부. 

  5. 김영민, 이영주, 김영숙(2016). 초?중등학교 관리자들의 창의융합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실과교육연구, 22(4), 85-101. 

  6. 미래창조과학부(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세종: 미래창조과학부. 

  7. 윤창호(2018). 기초학력향상과 학습동기부여를 위한 창의.인성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융합교육연구, 4(1), 83-105. 

  8. 한국과학창의재단(2009). 국내외 수학.과학 및 창의교육 정책동향 및 교육사례 조사 분석. 서울: 한국과학창의창재단. 

  9. 한국과학창의재단(2018). 2017년 융합인재교육(STEAM) 사업 성과분석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0. 한신, 김형범, 김용기, 송하명(2020). 비유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학교 '태양계' 단원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1), 15-28. 

  11. 황석근, 임석훈, 김익표, 김애숙(2004). 창의적 사고기법 적용을 통한 문제해결력 함양, 중등교육연구, 52(1), 383-396. 

  12. Awang, H., & Ramly, I. (2008). Creative thinking skill approach through problem-based learning: Pedagogy and practice in the engineering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s, 3(1), 18-23. 

  13. Cropley, A. J. (1999). Definitions of creativity. Encylopedia of Creativity, 1, 511-524. 

  14. Csikszentmihalyi, M., & Wolfe, R. (2000). New conceptions and research approaches to creativity: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creativity in education. In K. Heller, F. Monks, R. Sternberg, & R.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for research on giftedness and talent (pp. 81-93). Oxford: Pergamon. 

  15.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16). A draft of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Helsinki: National Board of Education. 

  16. Gentner, D., & Stevens, A. L. (1983). Mental model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 Haylock, D. W. (1987). A framework for asses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Education Studies in Mathematics, 18, 59-74. 

  18. Hosgorur, V., & Bilasa, P. (2009). The problem of creative education in information society.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 713-717. 

  19. Jeong, S., & Kim, H. (2014). The effect of a climate change monitoring program on students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STEAM education in Korea.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1(6), 1321-1338. 

  20. Keating, D. P. (1980). Four faces of creativity: The Continuing Plight of the Intellectually Underserved. Gifted Child Quarterly, 24, 56-61. 

  21. Lubart, T. I. (2001). Models of the creative process: Past, present and futur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3-4), 295-308. 

  22. Maley, A., & Kiss, T. (2018). Creativity and English language teaching: From inspiration to implementation. London: Palgrave Macmillan. 

  23. Miller, A. L. (2014). A self-report measure of cognitive processes associated with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6(2), 203-218. 

  24. Ready, D. (2014). Student mathematics performance in the first two years of teach to one: Math.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5. Root-Bernstein, R. S., & Root-Bernstein, M. (1999). Sparks of genius: The thirteen thinking tools of the world's most creative people. New York: Houghton Mifflin. 

  26. Rubinstein, M. F. (1995). Patterns of problem solving (2nd ed). New York: Prentice-hall. 

  27.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9). The concept of creativity: Prospects and paradigms.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15).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Tan, L. T., Goh, B., Subramaniam, S., & Ramanathan, O. (2017). Engag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authentic research projects based on environmental science theme. Singapor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29. Torrance, E. P. (1981). Predicting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1958-1980) and the teacher who "made a difference". Gifted Child Quarterly, 25, 55-62. 

  30. Vihma, L., & Aksela, M. (2014). Inspiration, joy, and support of STEM for children, youth and teachers through the Innovative LUMA Collaboration. Finnish Innovations and Technologies in Schools: A Guide towards New Ecosystems of Learning. Rotterdam, Sense Publisher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