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을 대피시설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사서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about the Utilization of Libraries as Evacuation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1 no.2, 2020년, pp.55 - 77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지윤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에서는 도서관의 공식 및 비공식 사회적 안전공간 기능을 추진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대피시설 지정여부 및 관련 서비스 현황, 재난 및 재해 대응 서비스에 대한 사서의 인지도, 인식 및 태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재난 및 재해 대응 서비스의 활성화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제공 주체인 사서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임시 또는 상시 등 공간적 측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재난 및 재해 관련 서비스 모델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도서관의 사회적 안전공간 기능 수행의 실효성을 위해서는 행정부의 지원과 관리가 필수적이다. 다섯째, 사회적 대피처로서 도서관의 역할과 관련 서비스에 대한 가이드라인 개발 시에 개별 도서관과 사서들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이 명시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third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the formal and informal social safety space function of the library is used as a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libraries were designated as evacuation facilities and related service status, and librarians' awareness, percep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서관의 대피시설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인식 확산과 더불어, 재난 및 재해 대응서비스의 활성화라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재난 및 재해 대응서비스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도서관이 대피시설 내지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기능과 역할 강화 및 인식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재난 및 재해 대응 서비스에 대한 도서관 운영자와 사서들의 인식 및 태도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 절차와 연구 체계도는 다음과 같다(<그림 1> 참조).
  • 최근 도서관의 가치에 대한 제고와 함께 미국도서관협회, 제3차 종합발전계획 등에서 재난 및 재해에 대응하는 도서관과 사서의 사회적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피시설로써의 도서관 역할 확대와 관련 계획 수립에 앞서 서비스 제공 주체인 사서의 인식 및 태도를 중심으로 재난 및 재해 대응 서비스에 대한 활성화 방향을 논의하였다. 도서관의 가치가 정보제공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그 가치는 문화적, 사회적 가치로 해석되기도 한다.
  • 한편, 코로나 19로 인하여 각종 재난 및 재해 발생 시 도서관의 대응·역할·관련 서비스가 주목되고 있으나, 그 이전까지 사회적 피난처로서 도서관의 역할을 강조할 뿐 이와 관련된 조사나 연구가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재난 및 재해 관련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사서들의 심층적인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선택한 답변에 대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서술할 수 있는 주관식(서술형) 문항을 제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크게 현황, 인식, 활성화라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객관식으로 도출될 수 있는 현황 파트를 제외한 인식과 활성 파트에 서술형 문항을 추가하였다.
  • 따라서 공공도서관의 재난 및 재해 대응 서비스와 관련한 본격적인 도입방향을 논의하기에 앞서 현재 공공 도서관 현장에 근무하는 사서들이 대피시설과 관련한 사회 서비스에 대해 어떤 인식을 하고 있는 가를 파악하는 작업이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사회적 안전공간 기능 수행과 재난 및 재해 대응 서비스에 대한 사서의 인지도, 인식 및 태도를 조사하여, 재난 및 재해 대응 서비스에 대한 활성화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에서 추진과제로 삼고 있는 것은?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에서는 도서관의 공식 및 비공식 사회적 안전공간 기능을 추진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대피시설 지정여부 및 관련 서비스 현황, 재난 및 재해 대응 서비스에 대한 사서의 인지도, 인식 및 태도를 조사하였다.
도서관이 자연재해 또는 사건사고 발생 시에 지역주민에게 제공할 수 있는 대응 서비스는? 둘째, 각종 대응 서비스 제공한다. 자연재해의 2차적 피해라고 볼 수 있는 정전, 화재, 부상 등을 대비한 시설과 도구, 양식 및 구호물품 등을 갖추고 지역 안정화와 관련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서관이 지역주민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라 볼 수 있는 이유는? 도서관은 생활·사회 간접 자본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지식정보, 문화생활, 그리고 삶의 질이라는 측면에서 지역주민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라 할 수 있다. 도서관의 가치는 지식정보와 평생학습의 장이자, 문화수준의 향상에 이바지한다는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으나, 또 다른 도서관의 가치는 도서관의 사회 서비스 실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Noh, Younghee, and Ji-Yoon Ro. 2019.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Needs Analysis of Community Residents to Reuse Closed Schools as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2): 91-116. 

  2. Lee, Jung-Soo et al. 2016. "Development of a Safety Management Manual for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2): 77-100. 

  3. Ko, Ju-yeon. 2007. A Study on the Fire Prevention Status and Countermeasures of University Librarie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4.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4. Library Preparedness Preparedness.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5. Library Research Institute. 2014. Public Library Standard Operation Regulation Development Research. Seoul: Library Research Institute. 

  6. Kim, Po-Ok. 2006.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Countermeasure Plan for the Disaster Protection in Public Librar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4): 85-110. 

  7. Treasury, N. Z. 2017. Living standards framework: Social cohesion. [cited 2019. 8. 29]. 

  8. Dowdell, L., and C. L Liew. 2019. "More than a shelter: Public libraries and the information needs of people experiencing homelessnes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41(4): 100984. https://doi.org/10.1016/j.lisr.2019.100984 

  9. Kimmelman, M. 2013. Next Time, Libraries Could Be Our Shelters From the Storm. The New York Times, October 2. [cited 2019. 8. 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