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DLS 검색행태 분석을 통한 학교도서관 자료 접근성 향상 방안 고찰
A Study on Improving of Access to School Library Collection through High School Students' DLS Search Behavior Analysi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1 no.2, 2020년, pp.355 - 379  

정영미 (동의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강봉숙 (대구 다사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DLS)은 학교도서관 자료에 대한 핵심적 접근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DLS에서의 학생들의 정보검색행태 분석을 통해 학교도서관 자료 접근성 향상 방안을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이에 학교도서관에서 DLS 검색을 시도하는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DLS 검색과정을 녹화하고 정보요구 전반에 대한 검색-전 질문지와 검색과정과 결과에 대한 검색-후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평소 DLS 이용의 주목적이 단순 여가 독서인 경우, 정보요구가 상대적으로 모호한 경우, 그리고 검색과정에서 복잡한 상황을 겪는 경우 등에서 검색 성공률과 검색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검색 만족도는 검색시간 충분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검색 결과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타 의견으로 정보 통합 검색, 관련 자료추천, 소장 위치 출력, 모바일 앱을 통한 음성 인식, 검색 실수 자동 교정 기능 등 요구가 있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첫째, 진학 및 진로정보 제공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DLS 역시 진학 및 진로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보완해야 한다. 둘째, 일반적 정보 검색 시스템 수준으로의 DLS 기능 개선이 필수적이다. 셋째, 학교도서관 현장 인력과 DLS 관리 당국 간 긴밀한 협력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gital Library System(DLS) for the school library is a key access tool for school library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materials through analysis of student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in DL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ecording of 42 pa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웹 검색엔진들 특징은? 웹 검색엔진들은 사용자 편의의 측면에서 이용자에게는 최대한 단순한 작업을 요구함과 동시에 내부의 복잡하고 고도화된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의 검색 결과를 돌려주기 위해 무장해 왔다. 정보 검색에 있어 고도화된 검색엔진에 익숙해진 이용자들의 발길을 도서관으로 돌리기 위해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전문도서관 등의 검색시스템도 사용자 맞춤형을 지향하며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왔다.
고도화된 검색엔진에 익숙해진 이용자들의 발길을 도서관으로 돌리기 위한 도서관들의 노력은? 웹 검색엔진들은 사용자 편의의 측면에서 이용자에게는 최대한 단순한 작업을 요구함과 동시에 내부의 복잡하고 고도화된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의 검색 결과를 돌려주기 위해 무장해 왔다. 정보 검색에 있어 고도화된 검색엔진에 익숙해진 이용자들의 발길을 도서관으로 돌리기 위해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전문도서관 등의 검색시스템도 사용자 맞춤형을 지향하며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왔다. 그동안 학교도서관의 검색시스템 개선을 위한 노력은 어떠했는지 반추해볼 필요가 있다.
제안된 DLS 자료 접근성 향상 방안은? 첫째, 진학 및 진로정보 제공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DLS 역시 진학 및 진로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고등학생의 진학 및 진로정보에 대한 정보요구가 높다는 선행연구 결과에 비해,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고등학생이 실제로 행하는 DLS 검색 목적에서 진로 정보탐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DLS가 해당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을 방증한다. 이에 DLS 서지 데이터에 진학 및 진로에 관한 주제 색인어 추가입력 지침을 마련하는 것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진학 및 진로 분야 시소러스를 구축하고 KDC 분류기호를 기반으로 진로 진학 분야 자동 분류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학교도서관 관종 특수성에 걸맞게 교과별 시소러스나 KDC 분류기호와 교과 간 자동 분류 체계로도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DLS 상에서 카테고리별 브라우징 검색을 제공하고, 패싯 네비게이션을 통해 시각화해서 보여 줄 수 있는 검색 시스템의 도입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학령기 이용자의 검색행태를 고려하고, 자료 접근성 향상을 돕기 위해 최소한 일반적인 정보 검색 시스템 수준으로의 DLS 기능 개선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DLS는 현재 자관 소장여부만을 직관적으로 검색하는 기능만을 지니고 있다. 자관 소장여부를 넘어 해당 책과 관련된 서지정보, 함께 읽으면 좋은 다른 책을 추천하는 기능, 외부 도서관 소장여부 통합 검색, 그리고 띄어쓰기 등 이용자의 검색 실수에 대한 자동 교정 기능 등을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모바일 앱을 통한 검색, 음성인식을 통한 검색 등 타 검색도구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DLS에 서도 제공해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또 공공도서관이나 서점에서 제공하듯 청구기호 외에 소장 위치를 이미지로 제시해주거나 해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DLS에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어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하는 검색 시스템인데 일반적인 타 검색 도구가 제공하는 기능조차 부재한 상황이다. 정확한 서지사항을 입력해 완벽한 검색을 수행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 이용자 집단을 고려하여 오류의 자동 수정 기능과 유사 자료 추천 기능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검색 기능에 필수적인 검색 결과의 정제 등 재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도 추가되어야 한다. 그리고 시스템 자체의 오류도 일어나지 않도록 무결성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도서관 현장 인력과 DLS 관리 당국 간 긴밀한 협력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 DLS의 자료 접근성 확대를 위해서는 DLS 관리 당국은 물론 학교도서관 현장 담당인력의 실질적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용자와 자료를 연결시킬 수 있는 풍부한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해 DLS 목록의 서지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다만, 1인 도서관 체제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개별 학교도서관의 인력이 자관의 DLS 목록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수정하는 방식만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 학교도서관 현장 인력에게는 진학 및 진로정보 분야 정보 검색을 돕는 시스템화, 그리고 교과 연계 정보 검색을 돕는 시스템화와 같이 학교도서관 이용자 요구를 반영한 DLS 시스템 기능 개선에 대한 요구 인식과 문제해결능력은 필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용자의 요구를 시스템 개선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관리 당국에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관철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DLS 관리 당국 역시 현장의 의견을 시스템 개선에 적극 반영하고 시스템을 주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하겠다. 어린 이용자들이 학교도서관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그들의 검색시간을 줄여주고, 적절한 추천 기능과 함께 검색 실수까지도 바로잡아주는 검색 시스템의 구현은 발달하는 정보 사회에 걸맞게 성장하는 유기체로의 학교도서관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밝혀진 내용을 바탕으로 DLS를 관리하는 당국은 DLS의 자료 접근성 향상을 위한 검색 기능 개선에 다방면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와 병행하여 현장의 학교도서관 전담 인력 역시 DLS가 풍부한 자료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을 경주하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ang, Bong-Suk and Youngmi Jung. 2019. "Discussions on the Accessibility of School Library DLS Catalogue Record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4): 539-559. 

  2. Kwon, Hyun-Jin. 2003. Information Need and Use of Junior High Students. M. A.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3. Noh, Jin-Young, Woo-Yeol Byun, and Mihwa Lee. 2014. "A Study on the Amendment of DLS Cataloging Rul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2): 5-23. 

  4. Byun, Woo Yeoul and Mihwa Lee. 201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brary System for Schoo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1): 31-50. 

  5. Sakong, Bok-Hee and Mi-Bong Jung. 2008. "A Study on Children's Searching Behaviour Using Internet Search Engin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2): 375-405. 

  6. Oh, Soo-Yeon. 2010. A Study on User Needs for Vocational High School Library: the Case of Technical High Schools. M. A.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7. Lee, Byeong-Ki. 2005.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User Groups of the Digital Library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3): 129-145. 

  8. Lee, Byeong-Ki. 2009. "Study on the Expansion of School Library Catalog Considering Educational Context."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4): 85-100. 

  9. Lee, Bo Eun and Jee Yeon Lee. 2019. "A Study on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Usage of Foreign Language Queries in Scholarly Information Retriev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6(1): 95-116. 

  10. Lee, Seung Ah and Heesop Kim. 2010. "Evaluation of Digital Library System using a User Satisfaction Index." Social Science Discussion and Policy, 3(1): 123-145. 

  11. Lee, Yeon-Ok. 2007. "School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for Satisfying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formation Need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107-134. 

  12. Jung, Young-Mi. 2009. "Interactive Searching Behavior with Elements-Based on XML Documents Retrieval Syste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4): 159-176. 

  13. Jung, Young-Mi. 2012. "Influences of Enneagram Personality Types on OPAC Searching and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3): 169-186. 

  14. Chung, EunKyung. 2012.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n Multimedia Information Needs and Search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3): 251-270. 

  15. Cho, Ae Soon. 2007. A Study on the Information Needs and U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M. A.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6. Hwang, Hyejeong and Giyeong Kim. 2015.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in User's Cognition and Needs for Secondary Schoo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1): 245-26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