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한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의 가용화와 유화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ubilizing and Emulsifying Action of Tocopheryl Acetate using Plant Surfactan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4, 2020년, pp.893 - 905  

김인영 ((주)바이오뷰텍 기업부설연구소) ,  배보현 ((주)바이오뷰텍 기업부설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의 가용화와 유화력에 관한 연구이다. 고순도의 폴리글리세릴-10이소스테아레이트와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를 혼합하여 우수한 가용화력과 유화력을 가진 식물성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다. 이 혼합원료의 이름을 Solubil EWG-1100으로 칭하였다. 이 원료의 외관은 엷은 노란색의 페이스트, 고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었고, 비중은 1.12, 산가는 0.085이었다. 이 계면활성제의 HLB값은 평균값=15.18로 Griffin식을 통하여 계산하였다. 이 계면활성제가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가용화하는 거동을 메커니즘적으로 검증하였다. 가용화의 성능은 유관으로 평가하는 방법과 UV분광광도계로 650 nm에서 투과도 측정을 통하여 투명도를 평가하였다. 이 결과 3 %의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사용한 처방에서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가용화하는데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가용물의 약 5 배가 필요하였다.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사용하지 않은 처방에서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가용화하는데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가용물의 약 7 배가 필요하였다. 또한 10 %의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화하는데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1 wt%, 유화입경은 3.5 mm이었다. 안정하고 미세한 유화입자를 얻기 위하여,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Solubil EWG-1100의 농도도 함께 증가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H변화에 따른 계면활성제의 가용화력을 실험한 결과 pH=3.2의 산성영역, pH=7.0의 중성영역, pH=11.8의 알칼리성영역에서도 안정화된 가용화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킨케어처방, 민감성피부용제품, 악건성피부용 제품을 개발하는 화장품 분야에 폭넓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study on solubilization and emulsifying power of tocopheryl acetate using vegetable surfactants. High purity polyglyceryl-10 isostearate and polyglyceryl-10 oleate were mixed to synthesize a vegetable surfactant with excellent solubilizing power and emulsifying power. The mixed raw m...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결론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여 가용화력과 유화력을 가진 원료소재를 발굴하는데 목표를 두어 수행된 연구이다. 우수한 계면활성능을 갖도록 하기위하여 고순도의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와 폴리글리세릴-10이소스테아레이트가 혼합된 계면활성인 Solubil EWG-1100을 합성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결과를 얻었다.

  • 식물성 소재로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HLB 평가, 토코페릴아세테이트에 대한 가용화력을 유관측정 및 투과도 측정을 통하여 판정하였다. 그리고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의 유화 성능에 대하여 유화력 평가, 유화입자를 측정하여 평가한 연구 결과를 보고한다. 또한 식물성 가용화제를 이용한 스킨, 로션, 크림, 에멀젼을 개발하여 화장품 산업에 유효한 가치와 기술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그리고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의 유화 성능에 대하여 유화력 평가, 유화입자를 측정하여 평가한 연구 결과를 보고한다. 또한 식물성 가용화제를 이용한 스킨, 로션, 크림, 에멀젼을 개발하여 화장품 산업에 유효한 가치와 기술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 합성된 Solubil EWG-1100의 가용화력을 실험하기 위하여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각각 0.1 wt%를 가용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를 증가시켜가며 투명하게 용해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것을 유관으로 판정하였고, 또한 UV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시료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투명도를 더욱 정밀하게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합성된 계면활성제 (Solubil EWG-1100)의 가용화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 중에서 pH 조건에 따른 효과를 관찰하였다. pH의 조건은 산성영역, 중성영역, 알칼리성의 영역에서도 시료가 투명한 가용화력을 보이는가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식물성 폴리글리세릴-10몰에 식물성올레인산과 이소스테아린산이 혼합된 지방산을 에스터 결합시켜 혼합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고, 이에 대한 물성 및 성능 평가, 가용화와 유화의 원리와 메커니즘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보고한다. 식물성 소재로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HLB 평가, 토코페릴아세테이트에 대한 가용화력을 유관측정 및 투과도 측정을 통하여 판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가용화력을 가진 확실한 식물성 계면활성제는 찾아보기 어렵다.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는 석유계로부터 유래한 에틸렌옥사이드계열인 합성계면활성제, 비이온성계면활성제, 식물성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있다[5~7]. 최근에는 유기농화장품, 천연화장품 등이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호응이있어서 식물성 원료를 주로 사용한 화장품들이 나오고 있고, 이에 편승하여 식물성계면활성제 개발도 절실한 상황이다.
우수한 계면활성능을 갖도록 하기위하여 고순도의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와 폴리글리세릴-10이소스테아레이트가 혼합된 계면활성인 Solubil EWG-1100을 합성한 결과는? 첫째: 이 원료의 외관은 엷은 노란색의 페이스트이고, 특이한 고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었으며, 비중은 1.12, 산가는 0.085로 나타났다. 둘째: 이 Solubil EWG-1100이 어떻게 하여 가용화력을 가지는가를 메커니즘적으로 해석하였으며, Griffin식을 통하여 계산한 HLB값은 약 15.18이었다. 이것은 동일한 HLB를 가진 표준품과 가용화성능을 비교한 결과 유사한 가용화력을 가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0.1 %의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가용화하는데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3 %의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사용하는 경우는 0.5 %의 Solubil EWG-1100로 약 5 배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0.7 %의 Solubil EWG-1100로 약 7배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UV분광광도계 가시광선영역인 650 nm에서 측정한 투과도는 0.5 %의 Solubil EWG-1100이상에서 99.12 %이상의 투과율을 나타냄으로써 우수한 가용화력을 보였다. 다섯째: Solubil EWG-1100의 pH조건에 따른 가용화력은 pH=3.2의 산성영역, pH=7.0의 중성영역, pH=11.8의 알칼리성영역에서도 안정화된 가용화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10 %의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화하는데 필요한 Solubil EWG-1100의 농도는 1 %가 적당하였다. 일곱째: 유화입경은 8.7 mm에서 2.5 mm의 범위이었고,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작은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근래의 계면활성제는 천연유래 지방산에 무엇이 부가된 계면활성제가 식물성이라는 물질로써 반합성된 원료들이 개발되고 있는가? 현대에 들어와서의 화장품 뷰티 산업은 단순한 제형과 기술을 넘어서 그 속에 숨어있는 구성성분들의 오리진(origin), 석유계성분 여부, 유전자 프리, 비동물실험 등 안전성에 대한 보증을 요구하고 있다[1~3]. 근래의 계면활성제는 천연유래 지방산에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oxide)가 부가된 계면활성제가 식물성이라는 물질로써 반합성된 원료들이 개발되고 있다[4]. 특히, 가용화력을 가진 확실한 식물성 계면활성제는 찾아보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I. Y. Kim, E. H. Nam, M. S. Shin, "A Study on the Formation of Lamellar Liquid Crystalline Using Skin Mimicking Surfactant", J. of the Korea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7, No.3, pp. 484-495, (2020). 

  2. Bae K. H., Chae S. N.,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living habits and sebum, moisture and elasticity", The Korean Society for Aesthetics and Cosmetology, Vol.4, No.2, pp. 90-105, (2003). 

  3. C. S. Yu, S. H. Kim, J. D. Kim, "A Study of the Safety & Effect of Products Containing Ceramide, Glucan for Atopic Dermatiti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30, No.4, pp. 533-541, (2004). 

  4. S. N. Kim, S. H. Lee, G. H. Choi, I. S. Jang, "Effects of Parsley Extract on Skin Anti-aging and Anti-irritation",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30, No.1, pp. 79-83, (2004). 

  5. T. J. Lin, H. Kurihara, H. Ohta, "Effects of Phase Inversion and Surfactant Location on the Formation of O/W Emulsions",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Chemists, Vol.26, No.3, pp. 121-139, (1975). 

  6. J. W. John, N. Coupl, D. Brathwaite, D. J. McClements, "Influence of molecular structure of hydrocarbon emulsion droplets on their solubilization in nonionic surfactant micelles",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Vol.121, No.1, pp. 53-60, (1997). 

  7. J. R. David, J. McClements, "Lemon oil solubilization in mixed surfactant solutions: Rationalizing microemulsion & nanoemulsion formation", Food Hydrocolloids, Vol.26, No.1, pp. 268-276, (2012). 

  8. P. Garidel, C. Hoffmann, A. Blume, "A thermodynamic analysis of the binding interaction between polysorbate 20 and 80 with human serum albumins and immunoglobulins: A contribution to understand colloidal protein stabilisation", Biophysical Chemistry, Vol.143, No.1, pp. 70-78, (2009). 

  9. Marco V. C., Pollyanna T., Andrea C. L., "Solid dispersions with hydrogenated castor oil increase solubility, dissolution rate and intestinal absorption of praziquantel", Brazil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Vol.46, No.3, pp. 12-23, (2010). 

  10. E. Kawai, N. Kumazawa, K. Ozawa, M. Denda, "Skin surface electrical potential as an indicator of skin condition: observation of surfactant-induced dry skin and middleaged skin", Experimental Dermatology, Vol.20, No.9, pp. 757-759, (2011). 

  11. Dreher F., Walde P., Luisi P. L., Elsner P., "Human Skin Irritation Studies of a Lecithin Microemulsion Gel and of Lecithin Liposomes", Skin Pharmacology and Physiology, Vol.9, pp. 124-129, (1996). 

  12. L. K. Shrestha, M. D. Otto, G. K. Aramaki, "Structure of Polyglycerol Oleic Acid Ester Nonionic Surfactant Reverse Micelles in Decane: Growth Control by Headgroup Size", Langmuir, Vol.26, No.10, pp. 7015-7024, (2010). 

  13. L. Djekic, M. Primorac, "The influence of cosurfactants and oils on the formation of pharmaceutical microemulsions based on PEG-8 caprylic/capric glyceride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Vol.352, No.1, pp. 231-239, (2008). 

  14. X. Guo, Z. Rong, X. Ying, "Calculation of hydrophile-lipophile balance for polyethoxylated surfactants by group contribution method",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298, No.1, pp. 441-450, (2006). 

  15. B. J. You, J. M. Shim,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water vapor permeability and solubility of Alaska Pollack meal protein isolate film",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33, No.5, pp. 413-417, (2000). 

  16. Y. H. Kim, "The Effects of HLB Value of the Surfactants Added in the Silicon Oil Emulsion Antifoamer on the Antifoaming Ability", J. of the Korea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27, No.3, pp. 223-232, (2010). 

  17. H. J. Yang, S. N. Park, J. H. Kim, "The Stability of Emulsions Formed by Phase Inversion with Variation of HLB of Surfactant", J. of the Korea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26, pp. 117-123, (2009). 

  18. M. B. Rosly, N. Jusoh, N. Othman, H. A. Rahman, R. N. R. Sulaiman, N. F. M. Noah, "Stability of emulsion liquid membrane using bifunctional diluent and blended nonionic surfactant for phenol removal", Chemical Engineering and Processing - Process Intensification, Vol.148, pp.107790-107797, (2020). 

  19. E. Virga, B. Bos, P.M.Biesheuvel, A. Nijmeijer, W. M.de Vos, "Surfactantdependent critical interfacial tension in silicon carbide membranes for produced water treatment",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 571, No.1, pp. 222-231, (2020). 

  20. M. M. Abdulredha, S. A. Hussain, L. C. Abdullah, "Overview on petroleum emulsions, formation, influence and demulsification treatment techniques", Arabian Journal of Chemistry,Vol.13, No. 1, pp. 3403-3428, (202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