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
Eighth Grade Students' Perception of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4 no.2, 2020년, pp.157 - 166  

김갑영 (공주대학교) ,  김재현 (공주대학교) ,  장낙한 (공주대학교) ,  김현정 (공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 교과 역량의 반영 정도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명시적으로 과학 교과 역량을 제시한 빈도를 분석하였으며, 충남 지역의 3개 학교 400명을 대상으로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설문 조사는 5단계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15개 문항과 5개의 자율 서열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은 성실하게 응답한 32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으며, 설문 결과의 해석을 위하여 사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에서는 과학 교과 역량 중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비중이 크며, 학생들은 교과서에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루어 지는 평가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과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비중이 높고,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과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의 비중이 매우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교과 역량은 '과학적 문제 해결력'이고, 과학에서 가장 얻고 싶은 역량은 '과학적 탐구 능력'이었으며, 미래사회를 살아가는 데 가장 필요한 역량은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의 경우 과학 소양의 중요한 요소이나 과학 교과서를 구성하는 비율이 낮고 학생들도 과학에서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flection degree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which is presented in second grad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the perception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of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To do this,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presentation of scienc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5 개정 교육과정이 2017년부터 단계적 시행됨에 따라 현장에서 각 학교급의 첫 번째 시행 학년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 역량 분석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과 연계 분석이 가능하고 비교적 탐구활동이 자유로운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과학 교과 역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되어 현재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5종의 중학교 과학2 검인정 교과서 중 1~3학년까지 모두 검정을 통과한 4종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Table 1).
  •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 교과 역량의 반영정도를 살펴보고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연구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셋째,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교과 역량은 ‘과학적 문제 해결력’이고, 과학에서 가장 얻고 싶은 교과 역량은 ‘과학적 탐구 능력’, 미래사회를 살아가는 데 가장 필요한 역량은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과학 교육과정을 통해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과학의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와 탐구 능력의 함양을 통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을 목적을 한다(MOE, 2015b). 학생들은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적과 같이 과학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탐구 능력을 함양하고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과학 교육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이처럼 여러 선행 연구들은 주로 교육과정 문서에서 제시되거나 교과서 저자들이 명시한 교과 역량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 많았으며, 학생들이 과학 수업을 통해 경험하는 교과 역량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단계적 시행에 맞추어 일부 학년, 과목들에서 시작된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후속 연구로, 학생들의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교과서의 과학 교과 역량을 분석하고,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연결사회로 진입하게 되는 계기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다양한 정보통신기술과 스마트 기술이 널리 보급되면서 세상은 빠르게 초연결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인재도 풍부한 지식을 갖춘 것에서 더 나아가 창의성, 협력과 소통, 열정과 인성 등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더 이상 정보와 단순 지식 습득만으로 교육의 가치를 추구할 수 없으며 과학기술과 공학을 넘나드는 융합적인 접근과 실질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역량을 길러주는 과학 교육이 필요하다(KOFAC, 2019).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인재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다양한 정보통신기술과 스마트 기술이 널리 보급되면서 세상은 빠르게 초연결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인재도 풍부한 지식을 갖춘 것에서 더 나아가 창의성, 협력과 소통, 열정과 인성 등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더 이상 정보와 단순 지식 습득만으로 교육의 가치를 추구할 수 없으며 과학기술과 공학을 넘나드는 융합적인 접근과 실질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역량을 길러주는 과학 교육이 필요하다(KOFAC, 2019).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필요한 과학 교육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다양한 정보통신기술과 스마트 기술이 널리 보급되면서 세상은 빠르게 초연결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인재도 풍부한 지식을 갖춘 것에서 더 나아가 창의성, 협력과 소통, 열정과 인성 등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더 이상 정보와 단순 지식 습득만으로 교육의 가치를 추구할 수 없으며 과학기술과 공학을 넘나드는 융합적인 접근과 실질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역량을 길러주는 과학 교육이 필요하다(KOFAC, 2019). 이와 같은 사회적 요구에 따라 과학 교육을 통해 미래사회를 살아가기에 필요한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지식 습득만이 아니라 교과 지식을 가지고 할 수 있고,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수행 능력을 의미하는 교과 역량을 제시하였다(MOE, 2015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im, H. (2018).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framework for PISA science assessment. School Science Journal, 12, 389-398. 

  2. Kim, H., Lee, T., & Bang, K. (2019). Comparative analysis of reflection order in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and students' perception for science core competencies. School Science Journal, 13(1), 63-77. 

  3. Lee, J., Kim, E., & Kim, D. (2017).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es and subject competences, and subject competence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revised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of science in 2015.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11(2), 1-25. 

  4.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a). The national guidelines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curriculum(MOE Notification No. 2015-74 [supplement 9]). Sejong: Author. 

  5.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b). Science curriculum(MOE Notification No. 2015-74 [supplement 9]). Sejong: Author. 

  6. Organization for European Economy Cooperation [OECD]. (2017). PISA 2015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Science, reading, mathematic, financial literacy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aris, France: OECD Publishing. 

  7. Park, J-K. (2019). Analysis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inquiry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iology Education, 47(4), 509-521, 

  8. Song, S-C., & Shim, K-C. (2019a). Analysis on the science key competence of inquiry activity in high school science according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 case study on life science textbooks-. Biology Education, 47(2), 197-212. 

  9. Song, S-C., & Shim, K-C. (2019b). Analysis of key competencies in inquiry activity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2), 363-383. 

  10.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KOFAC]. (2019). Korean science education standards for the next generation: Scientific literacy for all Koreans. Seoul: Author. 

  11. Yun, D., & Choi, A. (2019).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activities, and assessment item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grade 7 science textbooks: Focusing on science core competencie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63(3), 196-208. 

  12. Yun, D., Ko, E., & Choi, A. (2018). Identifying and applying components of five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4), 1301-13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