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리터러시를 강조한 과학 수업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과학 태도 및 핵심역량 성장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Class Emphasizing Digital Literacy on the Science Attitude and Perception of Growth of Key Competencies in 7th Grad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2, 2020년, pp.227 - 236  

김성기 (광주과학고등학교) ,  유정웅 (천안동성중학교) ,  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강조한 과학 수업을 통해 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와 핵심역량의 성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C 지역의 C 중학교 1학년 11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총 35차시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강조한 과학 수업을 투입하였다. 첫째로,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p<.05). 하위영역별 효과 크기는 0.67~1.52로 중간이상의 효과 크기를 보였다. 둘째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강조한 수업의 유형에 따라서 성장 인식의 전체 빈도 차이는 크게 없었다. 하지만 핵심역량에 따른 분석에서는 Web 기반 수업은 핵심역량별로 빈도의 차이가 크지 않는 반면, 첨단기술 수업은 핵심역량별로 다소 차이가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강조한 과학 수업의 활용을 높일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 in students' science attitude and the growth of their core competencies through science classes emphasizing digital literacy. To this end, we conducted a study on 116 first graders in C middle school in the C region, and entered a science class that emphasized digital ...

주제어

표/그림 (1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eb 기반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디지털 리터러시를 어떻게 강조하였는가? 서론에서 강조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하여 비판적인 정보의 활용이 Web 기반 수업에서 강조되었다. 학생들에게 모둠 기반 활동으로 어떠한 정보를 획득할 때, 단순히 그 정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정보의 출처를 점검하여 해당 정보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였다. 실제 활동을 하면서 한 모둠 내에서 모둠원 간에찾은 정보가 상이한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 모둠 칠판을 활용하여 어떠한 정보가 올바른 정보인지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디지털 리터러시는 Gilster(1997)에 의해 최초로 사용되었는데, Gilster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단순히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에서 더 나아가 인터넷에서 찾은 정보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 컴퓨터 사용자들이 갖추어야 하는 비판적인 사고력을 의미하는 용어로 정의하였으며, 다양한 출처에서 찾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해 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를 자신의 목적에 맞게 새로운 방식으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용어로 정의하였다(Gilster, 1997). 또한, 그는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을 이해하는 중요한 두 가지 핵심으로 ‘이해’와 ‘활용’을 언급했다.
첨단기술기반 수업은 무엇에 초점을 두었는가? 두 유형의 수업 모두 과학 교과 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과학적 지식이나 과학적 탐구력 및 사고력을 목표로 하였으나, Web 기반 수업은 특별히 협업을 강조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 함양에 초점을 두었다. 반면, 첨단기술기반 수업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s, 이하 Apps) 등을 활용한 지식 정보처리 역량에 초점을 두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yeon, H. (2011). The effects of strategy for making science newspaper on the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and using the learning terminology. The thesis of master of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Choi, J. S., Kim, Y. M., & Lee, Y. J. (2019). Effect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competency through intensive 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 in KAIST.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6), 729-738. 

  3. Choi, D. Y., Kim, J. H., Lee, M. J., & Kim, W. K. (2019). The effects of the program of ‘research methodology using advanced equipment' on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and ‘interest in science subject'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ifted and Talented, 18(2), 5-23. 

  4. Cohen, J. (2013).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New York: Lawrence Erlbaum. 

  5. Eshet, Y. (2004). Digital literacy: A conceptual framework for survival skills in the digital era. Journal of Educational Multimedia and Hypermedia, 13(1), 93-106. 

  6. Glister, P. (1997). Digital literacy. New York: John Wiley & Sons. 

  7. Ha, J. H., Kim, M. H., Cho, Y. G., & Kim, S. H. (2018).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middle-school students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42, 139-162. 

  8. Ha, M. S., Lee, K. Y., Choi, E. H., Kim, I. C., Yu, J. H., & Won, B. Y. (2019). Exploring the effect of first year science-focused school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core competency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using 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6), 799-807. 

  9. Hong, J. (2007). The effects of project learning on science related attitude in ‘The diversity of life and environment'.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34(5), 566-574. 

  10. Jeong, H. S., Kim, A., Park, Y. S., Jeon, G. R., Lee, J. S., & Noh, J. Y. (2016). Media literacy as 21st century key competence: Systematizing media literacy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1), 211-238. 

  11. Jeong, J. C., Ryu, J. E., & Suh, Y. L. (2019). An international cases of career education curriculum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and implication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2(1), 1-18. 

  12. Jo, A. Y., Park, I. W., & Ko, Y. J. (2019). Smartpadbased learning, digital literacy, flow, mediation effect.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2(4), 163-189. 

  13. Kang, J. M., Song, H. J., & Kim, H. S.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diagnostic instruments for measuring digital literacy in the smart societ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7(3), 143-173. 

  14. Kang, M. H., Lee, J. E., Kim, M. J., & Yoon, N. R. (2011). Identifying the predictors of learning outcomes in using mathematics digital textbook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3(1), 127-150. 

  15. Kim, H. H. (2017). Fourth industrial tevolution'and figital-literacy educ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18(2), 187-214. 

  16. Kim, H. J. (2016). Explor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digital literacy.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8), 937-958. 

  17. Kim, H. J., & Kim, J. G. (2019). Development of science-art convergence STEAM education program for aesthetic sensibility competency: Making illustrated poem using pressed flower. School Science Journal, 13(4), 431-440. 

  18. Kim, H. K., Kwak, Y. S., Kang, H. S., Shin, Y. J., Lee, S. H., & Lee, S. Y. (2017).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ng component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3), 507-521. 

  19. Kim, J. Y., Oh, E. H., & Kim, H. D. (2017). A survey on digital literacy activities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52(2), 176-213. 

  20. Kim, M. H., & Ahn, M. L. (2003).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checklis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9(1), 159-192. 

  21. Kim, S., Choi, H., & Paik, S. H. (2019). Using a systems thinking approach and a scratch computer program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Brønsted?Lowry acid-base model.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6(12), 2926-2936. 

  22. Kline, T. J. (2005). Psychological testing: A practical approach to design and evaluation.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23. Lee, E. J., & Lee, J. S. (2016).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beliefs about the acceptance of smart education and preschoolers' digital literacy. Informatization Policy, 23(3), 64-83. 

  24. Lee, H. S., & Kang. S. H. (2000).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concept of information literacy as lifelong learning ability.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3(2), 177-212. 

  25. Lee, J. J., & Kim. S. W. (2019). Analysis of informatics curriculum and teaching case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2(5), 11-25. 

  26. Lee, S. H., & Kim, S. W. (2019). Tourism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wareness, career Educa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Culture and Convergence, 41(2), 1117-1148. 

  27. Lee, S. K., Shin, H. J., Myeong, J. O., & Kim, C. J. (2010). The effect of science museum educational program on prim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1), 47-55. 

  28. Ministry of Education (2016). Comprehensive Science Education Plan for "Science Education for Future Dreams and Happiness". 

  29. Nelson, K., Courier, M., & Joseph, G. W. (2019). An investigation of digital literacy needs of students.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22(2), 2. 

  30. Noh, E. H., Shin, H. J, & Lee, J. J. (2019). Analysis of recogni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2(3), 31-60. 

  31. Ok, H. J., Kim, J. Y., Ryu, S. H., Kim, H. D., & Seo, S. H. (2017). An exploration of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domain in digital literacy. Research on Writing, 33, 31-63. 

  32. Sawilowsky, S (2009). New effect size rules of thumb. Journal of Modern Applied Statistical Methods, 8(2), 467-474. 

  33. Scott, C. L. (2015). The futures of learning 2: What kind of learning for the 21st century? Education Research and Foresight Working Paper Series, 14, UNESCO Education Research and Foresight. Retrieved 1, April, 2019, from https://unesdoc.unesco.org/ark:/48223/pf0000242996 

  34. Seo, Y. K., & Kwon, S. H. (2004). A case study of the strategies for praxis-based digital literacy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2), 101-131. 

  35. Shadish, W. R., Cook, T. D., & Campbell, D. T. (2002).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designs for generalized causal inference. Boston: Cengage Learning. 

  36. Shin, J. H. (2013). Theory and reality of STEAM. Paju: Kyoyookbook. 

  37. Shin, Y. J., Kawk, Y. S., Kim, H. K., Lee, S. Y., Lee, S. H., & Kang, H. S. (2017).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st for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2), 335-346. 

  38. World Economic Forum. (2019).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trieved February 3, 2019, from https://www.weforum.org/agenda/archive/fourth-industrial-revolution 

  39. Yoon, S. D. (2019).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y and the key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Mirae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24(2), 295-3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