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뷰티 메이크업 앱을 활용한 가상 화장이 여대생의 감정상태,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Virtual Makeup Using Beauty Makeup Applications on Mood,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4 no.4, 2020년, pp.727 - 738  

유혜경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이민선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pularity of beauty makeup applications has dramatically increased among young Korean female social media users. The current experimental study examined how the use of beauty makeup applications when taking and posting selfies influences social media users' mood,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연구는 최근 젊은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필수 앱으로 여겨지는 뷰티 메이크업 앱의 사용이 20대 여대생의 감정상태,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지급된 스마트 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셀피를 찍는 통제집단과 뷰티 메이크업 앱을 활용하여 셀피를 찍고 가상 화장을 하는 시험집단의 두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는 가상 화장 행동과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 사이의 관계를 국내 여성을 대상으로 고찰한 첫 시도이며, 변수 사이의 인과적 관계를 실험을 통해 분석했다는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특히 국내 여성의 가상 화장 행동과 관련한 선행연구는 주로 메이크업 앱의 인터페이스 특성 분석 연구(Park & No, 2017), 소비자의 메이크업 앱 템플릿 선호도 고찰 연구(Oh & Jun, 2018), 사용자의 사진 보정 앱 이용 동기와 충성도 관계 고찰 연구(Oh & Kim, 2018)에 국한되어 있었다.
  • 우선 본 연구는 앞으로 더욱 많은 여성에게 중요한 활동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상 화장 행동이 그들의 감정상태,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등의 심리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함으로써, 여성의 외모 관리 행동과 신체이미지의 관계를 이해하고 궁극적으로 그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을 고안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가상 화장 행동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젊은 여성의 외모 관련 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 더욱이 실제 화장 행동과 마찬가지로 사진상의 외모를 향상시키는 행동은 여성의 긍정적 감정과 자신의 외모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과는, 소셜 미디어상의 외모 관리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본 연구에서는 뷰티 메이크업 앱을 활용한 사진상의 외모 보정 행동, 즉 가상 화장 행동이 20대 여대생의 신체이미지 관련 심리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다 정확히 규명하고자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상 화장 행동의 여부에 따른 여대생의 감정상태,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셀피에 대한 가상 화장 행동이 그 행동의 주체가 되는 스스로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2는 소셜 미디어에 셀피를 게시할 때, 뷰티 메이크업 앱을 활용하여 자신의 셀피에 가상 화장을 한 여성과 가상 화장을 하지 않은 여성의 신체만족도 변화는 유의하게 다르다는 것이다. 상호작용 효과의 사후검증 결과, 통제집단의 신체만족도는 실험 참여 이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Meandiff=.
  • 가설 3은 소셜 미디어에 셀피를 게시할 때, 뷰티 메이크업 앱을 활용하여 자신의 셀피에 가상 화장을 한 여성과 가상 화장을 하지 않은 여성의 자아존중감 변화는 유의하게 다르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아존중감에 대한 집단과 시간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에, 가상 화장 행동에 따른 여성의 자아존중감 변화의 차이를 예상한 가설 3은 기각되었다.
  • 신체만족도의 변화량에 대한 집단 간 차이 분석에서는 각 연구참여자의 신체질량지수가 통제변수로 포함되었으며, 이에 따라 반복측정 이원공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뷰티 메이크업 앱을 사용한 가상 화장이 여성의 감정상태,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평소 뷰티 메이크업 앱 사용 빈도와 각 종속변수(감정상태,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 또한, 국내 여성을 대상으로 가상 화장 행동과 신체이미지 사이의 인과적 관계는 아직 보고되지 않은 실정이다. 실제 화장과 가상 화장이 여성의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 사용자의 감정 상태와 신체만족도는 가상 화장 행동의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다음의 가설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진 보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는 어떤 주제로 나누어지는가? 가상 세계에서의 사진 보정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크게 사진 보정 심리 및 행동을 고찰하고(Oh & Kim, 2018), 타인의 보정된 사진에의 노출이 수용자의 신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거나(Kleemans et al., 2018), 사진 보정 행동이 스스로의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는 주제로 나누어진다(Fardouly & Rapee, 2019). 자신의 외모 사진(셀피)을 찍고 소셜 미디어에 게시하는 행동은 개인의 자기 제시 및 자기표현 욕구에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된다(Kim et al.
뷰티 메이크업 앱을 통해서 수정 및 화장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화장을 통한 현실 세계에서의 외모 관리 행동이 소셜 미디어상의 가상 세계에서는 사진 보정 행동 및 가상 화장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다(Toma & Hancock, 2010). 실제 화장 행동과 마찬가지로 사진상의 외모를 수정하는 가상 화장 행동은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 외모에 더 가까워지고 싶다는 심리를 기반으로 한다. 즉, 여성의 가상 화장 행동은 신체이미지와 관련된 심리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Mills et al., 2018). 특히, 이미지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소셜 미디어에서는 게시된 사진들을 통해 계정 사용자의 성향과 특성이 파악되기 때문에(Kim & Shim, 2014), 많은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은 수정된 외모 사진을 공유함으로써 보다 나은 모습을 타인에게 보이고 싶어 한다. 뷰티 메이크업 앱을 사용하여 가상 화장을 한 셀피를 소셜 미디어에 게시하는 것은 효과적이고 손쉬운 자기표현의 수단이 될 수 있는 것이다(Kim et al.
가상 화장 행동이란 무엇인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뷰티 메이크업 앱을 사용하여 사진상의 외모를 수정하는 가상 화장 행동이 유행하고 있다. 특히 국내의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는 소셜 미디어에 게시할 자신의 외모 사진을 뷰티 메이크업 앱을 사용하여 수정 및 화장하는 것이 일상적이고 필수적인 행동으로 여겨지고 있다(Lee & Lee,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ash, T. F., Dawson, K., Davis, P., Bowen, M., & Galumbeck, C. (1989). Effects of cosmetics use on the physical attractiveness and body image of American college women.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29(3), 349-355. doi:10.1080/00224545.1989.9712051 

  2. Chae, J. (2017). Virtual makeover: Selfie-taking and social media use increase selfie-editing frequency through social comparis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6, 370-376. doi:10.1016/j.chb.2016.10.007 

  3. Chan, J. (2019, May 8). Top Apps in South Korea for Q1 2019 by Downloads. SensorTower. Retrieved from https://sensortower.com/blog/top-apps-in-south-korea-for-q1-2019-downloads 

  4. Clay, D., Vignoles, V. L., & Dittmar, H. (2005). Body image and self-esteem among adolescent girls: Testing the influence of sociocultural factors.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5(4), 451-477. doi:10.1111/j.1532-7795.2005.00107.x 

  5. Cohen, R., Newton-John, T., & Slater, A. (2018). ‘Selfie’-objectification:The role of selfies in self-objectification and disordered eating in young wome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9, 68-74. doi:10.1016/j.chb.2017.10.027 

  6. Conley, T. D., & Ramsey, L. R. (2011). Killing us softly? Investigating portrayals of women and men in contemporary magazine advertisement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5(3), 469-478. doi:10.1177/0361684311413383 

  7. Crocker, J., Luhtanen, R. K., Cooper, M. L., & Bouvrette, A. (2003). Contingencies of self-worth in college students: Theory and measur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5), 894-908. doi:10.1037/0022-3514.85.5.894 

  8. Fardouly, J., & Rapee, R. M. (2019). The impact of no-makeup selfies on young women's body image. Body Image, 28, 128-134. doi:10.1016/j.bodyim.2019.01.006 

  9. Grabe, S., Ward, L. M., & Hyde, J. S. (2008). The role of the media in body image concerns among women: A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and correlational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134(3), 460-476. doi:10.1037/0033-2909.134.3.460 

  10. Graham, J. A., & Jouhar, A. J. (1983). The importance of cosmetics in the psychology of appear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Dermatology, 22(3), 153-156. doi:10.1111/j.1365-4362.1983.tb03353.x 

  11. Graham, J. A., & Kligman, A. M. (1985). Physical attractiveness, cosmetic use and self-perception in th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7(2), 85-97. doi:10.1111/j.1467-2494.1985.tb00399.x 

  12. Heinberg, L. J., & Thompson, J. K. (1995). Body image and televised images of thinness and attractiveness: A controlled laboratory investigatio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4(4), 325-338. doi:10.1521/jscp.1995.14.4.325 

  13. Kim, D. S., Baek, E., & Choo, H. J. (2017). The effect of self-presentation and self-expression attitude on selfie behavior in SN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9(6), 701-711. doi:10.5805/SFTI.2017.19.6.701 

  14. Kim, I.-h., & Shim, M. (2014). The effects of profile photos on the intention for Facebook friending as being moderated by privacy concerns and the number of mutual friends.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31(1), 95-123. 

  15. Kleemans, M., Daalmans, S., Carbaat, I., & Anschutz, D. (2018). Picture perfect: The direct effect of manipulated Instagram photos on body image in adolescent girls. Media Psychology, 21(1), 93-110. doi:10.1080/15213269.2016.1257392 

  16. Korichi, R., Pelle-de-Queral, D., Gazano, G., & Aubert, A. (2008). Why women use makeup: Implication of psychological traits in makeup functions. Journal of Cosmetic Science, 59(2), 127-137. 

  17. Leary, M. R., Schreindorfer, L. S., & Haupt, A. L. (1995). The role of low self-esteem i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Why is low self-esteem dysfunctional?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4(3), 297-314. doi:10.1521/jscp.1995.14.3.297 

  18. Lee, M., & Lee, H.-H. (2017). The effects of SNS appearance-related photo activity on women's body image and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1(5), 858-871. doi:10.5850/JKSCT.2017.41.5.858 

  19. Lee, M., & Lee, H.-H. (2018). Effects of model's body size in online shopping site on female consumers' body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2(5), 839-854. doi:10.5850/JKSCT.2018.42.5.839 

  20. Lee, M., & Lee, H.-H. (2019). Can virtual makeovers using photo editing applications moderate negative media influences on SNS users' body satisfaction?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 51(4), 231-238. doi:10.1037/cbs0000133 

  21. Lonergan, A. R., Bussey, K., Mond, J., Brown, O., Griffiths, S., Murray, S. B., & Mitchison, D. (2019). Me, my selfie, and I:The relationship between editing and posting selfies and body dissatisfaction in men and women. Body Image, 28, 39-43. doi:10.1016/j.bodyim.2018.12.001 

  22. Luhtanen, R., & Crocker, J. (1992). A collective slef-esteem scale:Self-evaluation of one's social ident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8(3), 302-318. doi:10.1177/0146167292183006 

  23. McLean, S. A., Paxton, S. J., Wertheim, E. H., & Masters J. (2015). Photoshopping the selfie: Self photo editing and photo investment are associated with body dissatisfaction in adolescent girl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48(8), 1132-1140. doi:10.1002/eat.22449 

  24. Mills, J. S., Musto, S., Williams, L., & Tiggemann, M. (2018). “Selfie” harm: Effects on mood and body image in young women. Body Image, 27, 86-92. doi:10.1016/j.bodyim.2018.08.007 

  25. Nash, R., Fieldman, G., Hussey, T., Leveque, J.-L., & Pineau, P. (2006). Cosmetics: They influence more than Caucasian female facial attractiven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6(2), 493-504. doi:10.1111/j.0021-9029.2006.00016.x 

  26. Oh, J.-s., & Kim, J.-m. (2018). A study on the users' attitudes of photo editing application - Focus on SNOW photo rectification app -.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65, 129-138. 

  27. Oh, S. H., & Jun, C. L. (2018).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on virtual makeup of instant beautifying application - Focus on color and shap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9(9), 1653-1662. doi:10.9728/dcs.2018.19.9.1653 

  28. Park, J. W., & No, S. K. (2017).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 of make-up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3(4), 469-480. doi:10.18208/ksdc.2017.23.4.469 

  29.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The Renfrew Center. (2014). Afraid to be your selfie? Survey reveals most people photoshop their images. The Renfrew Center. Retrieved from https://renfrewcenter.com/news/afraid-be-your-selfie-survey-reveals-most-people-photoshop-theirimages 

  31. Toma, C. L., & Hancock, J. T. (2010). Looks and lies: The role of physical attractiveness in online dating self-presentation and deception. Communication Research, 37(3), 335-351. doi:10.1177/0093650209356437 

  32. Wang, Y., Wang, X., Liu, H., Xie, X., Wang, P., & Lei, L. (2020). Selfie posting and self-esteem among young adult women: A mediation model of positive feedback and body satisfactio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5(2), 161-172. doi:10.1177/1359105318787624 

  33. Yoo, T. S. (2013). Directional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values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body image and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3), 260-269. doi:10.5850/JKSCT.2013.37.3.2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