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지원청 기록관리 기관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Evaluation of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in the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1 no.3, 2020년, pp.125 - 149  

윤영조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교육지원청의 기록관리 기관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문헌연구, 설문조사,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전국 교육지원청 176개 기관의 기록관리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응답율 52.8%)하고 심층면담에 동의한 15개 기관의 기록물관리전문요원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 및 면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기관평가 업무담당자와 면담을 진행한 후, 이를 종합하여 도출된 개선방안을 평가 환경, 평가 주체, 평가 제도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관 유형별 특수성을 반영한 기록관리 기관평가를 시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s of evaluating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of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DOE) and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his study analyzed survey questions (response rate 52.8%) of records management o...

주제어

표/그림 (1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관리 평가제도에 관한 선행연구는 무엇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 기록관리 평가제도에 관한 선행연구는 기록관리 기관평가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기록관리 기관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외 기록관리 기관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교육지원청 기록관리에 관한 연구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국내 기록관리 기관평가 도입을 위한 초기 연구로 한국국가기록연구원(2006)은 기록관리 국가표준 KS X ISO 15489의 확산을 위한 검증 절차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평가제도의 도입방안과 평가제도가 갖추어야 할 평가 요소를 제안하였다.
기록관리 기관평가 유형 중 교육지원청 기록관리에 관한 연구로 이을지와 이호신(2016)은 무엇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록관리 업무환경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는가? 기록관리 기관평가 유형 중 교육지원청 기록관리에 관한 연구로 이을지와 이호신(2016)은 업무의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리 업무환경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교육과 업무의 재설계, 중요도가 높은 학교기록 관리 지원 등 업무수행 강화를 위한 업무의 재설계, 기록연구사 전문 역량 강화를 위한 수집과 평가영역 교육 강화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교육지원청 기관평가의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지원청 기록관리 업무담당자와의 설문 및 면담을 통해 교육지원청 기관평가에 대한 인식과 국가기록원 실무담당자 의견까지 종합하여 평가제도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본 이유는? 이상과 같이 기록관리 기관평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는 지난 10년 넘게 지속적으로 수행되었지만, 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수행한 기록관리 기관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는 2017년 교육지원청 기록관리 평가지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한 권도균(2016b)의 연구가 유일하다. 그러나 권도균(2016b)의 연구는 2017년 기록관리 기관평가지표로 대상을 한정하였고 평가추진체계, 지표, 방식, 절차, 환류에 대한 세부적인 개선안을 도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교육지원청 기관평가의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지원청 기록관리 업무담당자와의 설문 및 면담을 통해 교육지원청 기관평가에 대한 인식과 국가기록원 실무담당자 의견까지 종합하여 평가제도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ang, Dong-kyun and Hae-Young Rieh. 2016.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System for the Application of MSR(Management System for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6(4): 121-148. 

  2.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9a. A Study on Development of Records Management Evaluation Method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3.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9b. 2019(2018 Results) Records Management Evaluation Results.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4.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9c. 2020(2019 Results) Records Management Evaluation Plans.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5.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9d. Improvements to the Evaluation System of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6. Kwon, Do-Gyun. 2016a. "A Study on the Problems in and the Improvement of the Archives Evaluation System: Focusing on the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8: 179-207. 

  7. Kwon, Do-Gyun. 2016b. "A Study on the Issue and Resolving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Targets of the 2017 Education Department Indicator"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9: 51-75. 

  8. Kim, Sol.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the Archives Evaluation System: Focus on the Redesign the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 M.A. thesis. University of Dankook. 

  9. Kim, Ji-Hoon. 2014. A Study on the Check-up 2.0 of the Agency Assessment Tool of the Australian "Digital Transition Policy": In Connection with the Assessment Tool of Agency of Korea. M.A. thesis. University of Myongji. 

  10. Park, Jong Yeon, Hae-Young Rieh, Hyo-Sun Seo, and Woo-Hee Kim. 2019.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for Evaluation System of Records Management in Public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9(1): 251-274. 

  11. Yang, Ok-Kyung. 2000.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oncepts of Family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6: 69-99. 

  12. Lee, Young-Sook and Kwon-ju Cheon. 2006.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Government Agencies' Records Management Assessment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6(2): 27-56. 

  13. Lee, Eul-Ji and Ho-sin Lee. 2016.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Tasks of Record Managers in Offices of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6(3): 131-156. 

  14. Lim, Hee-Yeon. 2018. "A New Model of Records Centers, Integration Archives: Reorganization of the Education office Records Center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58: 31-63. 

  15. Chang, Yeon-Jip. 2000. "Psychology of Health Care and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 13-24. 

  16. Jeon, Soo-Jin. 2008.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Records Management Condition of Public Organization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8: 3-36. 

  17. Choi, Hyun-Nan. 2010.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ment of Records Management in Records Center. M.A. thesis. University of Hannam. 

  18. The Research Institute for Korean Archives and Records. 2006. Measures for the Systematic Expansion of a National Standard for Records Management.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19. The Research Institute for Korean Archives and Records. 2007. Development of Tools for Expanded Implementation of Records Management Standards.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 

  21.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