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20~30년대 아동 독서운동 연구 - 아동도서관 운동과 독서지도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ildren's Reading Movement in the 1920s~1930s: Focus on the Children's Library Movement and Reading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1 no.3, 2020년, pp.171 - 196  

윤금선 (동덕여자대학교 교양대학)

초록

이 연구에서는 1920~30년대 『동아일보』, 『조선일보』에 게재된 이동도서관 설립 운동 및 독서지도론을 중심으로, 아동 독서운동의 전개상을 고찰하였다. 즉 당대 두 신문에서는 아동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아동도서관 설립의 필요성, 아동 독서지도 및 독서경향 관련된 기사들을 꾸준히 게재했다. 본고에서는 이를 주목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1920~30년대 아동 독서를 강조한 배경적 의미와 이와 병행된 아동서관 설립에 대한 논의들을 탐색했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 민족운동과 아동교육의 관계, 당대 독서가 지니는 의미 등을 검토했다. 둘째, 이와 함께 당시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아동도서관 운동 전개 양상과 독서란을 통해 제시되었던 독서교육 방법론을 분석하였다. 이 시기는 그 어느 때보다 아동 독서교육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다. 여기에 아동도서관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각지에 소년문고가 다수 설치되기도 했다. 한편 신문의 독서란에는 학교와 가정에서의 독서지도법도 다수 게재되었으며, 선진적인 해외 독서교육 사례를 통해 그 모본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1920~30년대는 아동 독서운동이 적극적으로 전개된 시기임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reading movement, focusing on the children's library establishment movement and reading guidance theory published in the Dong-A Ilbo and Chosun Ilbo in the 1920s and 30s. This paper analyzed the following contents.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지 학교, 청년 및 소년 단체 등에서 전개한 문고 설립 운동의 이름에는 무엇이 있는가? 아동도서관을 설립하자는 논의에서는 ‘선조들의 경험과 연구 내용을 전수하는 수단’, ‘독서 취미의 향상’, ‘과외독서의 고취’ 등을 들었으며, 이러한 아동도서관 설립 운동은 각지의 소년문고 운동으로 확산되기도 했다. 즉 각지 학교, 청년 및 소년 단체 등에서 ‘소년문고’, ‘아동문고’, ‘순회문고’, ‘간이문고’ 등의 이름으로 문고 설립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 아동도서관이나 국내 문고 등의 운영 방식에 대한 논의들을 통해, 체계적인 운영 문제를 고민하기도 했다.
1920~30년대 동아일보, 조선일보에서 아동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게재한 기사들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1920~30년대 『동아일보』, 『조선일보』에 게재된 이동도서관 설립 운동 및 독서지도론을 중심으로, 아동 독서운동의 전개상을 고찰하였다. 즉 당대 두 신문에서는 아동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아동도서관 설립의 필요성, 아동 독서지도 및 독서경향 관련된 기사들을 꾸준히 게재했다. 본고에서는 이를 주목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분석하였다.
근대 계몽기에 대상자가 여성과 아동이었던 이유를 그 교육목표를 들어 설명하시오. 근대 계몽기부터 여성과 아동은 교육받아야 할 계몽 대상자로 인식되어왔다. 당시의 교육목표는 소수의 인재에 대한 특별한 고등 교육이 아닌, 보통인에 대한 보편적교육을 지향했기 때문이다(김봉희 1999, 19-20). 특히 1920년대에 들어서서 ‘소년운동’과 ‘어린이날 제정’ 등 아동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면서, 아동교육과 아동 독서교육에 대한 논의들이 보다 활성화된 현상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im, Nam Seuk. 1996. "A Study of Rural-mini Libraries nuder the Japanese Occcup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335-364. 

  2. Kim, Bong Hee. 1999. A Study on the Book Culture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3. Kim, Hyung Mok. 2009. Educational Movement. Cheonan: Institut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at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4. Bang, Jung Hwan. 2020. Historical Review of the Juvenile Movement in Joseon. Seoul: Onepurpe. 

  5. Yeun, Keum Sun. 2007. "A Study on Student Reading Activity in Japanese's Colonial Period."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35(1): 389-414. 

  6. Yeun, Keum Sun. 2009a. "A Study on Social Education, Reading Movement and Meaning of the Gyeongseong Library Which Observe from Ethnic Viewpoi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2): 375-407. 

  7. Yeun, Keum Sun. 2009b. The History of Our Reading (1). Seoul: Worin. 

  8. Lee, Don Hwa. 1921. "Construction of New Joseon and Children's Problems." Gaebyeok, 18: 23. 

  9. Yim, Su Kyung. 2010. "Study on 'Book Week' of Dong-A Ilbo in 1931." Journal of Bangyo Language and Literature, 29: 65-93. 

  10. Chang, Seok Heung. 2013. "The Status of the Modern Movement of Boy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45: 253-276. 

  11. Cho, Eun Sook. 2006. "A study on the Mass Meeting for Oral Performance of Children's Stor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 Culture Studies, 45: 225-264. 

  12. Choi, Duk Kyo. 2004. Hanguk Chapchi Paengnyon (2). Seoul: Hyeonamsa. 

  13. Hwang, Eui ryong. 2019. "Research on the Female Sport Policy Based on the 3rd and 4th Joseon Educational Ordinance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8(6): 33-41. 

  14. 동아일보아카이브. [인용 2020. 8. 10]. 

  15. 조선일보아카이브 [인용 2020. 8. 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