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공공도서관 운영 분석을 통한 서비스 성과관리 설계의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Outcome Manag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Library Operations and Service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1 no.3, 2020년, pp.385 - 409  

김신영 (경일대학교 아동문헌정보전공) ,  권나현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선애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지역 공공도서관의 운영 분석을 통하여 서비스 성과관리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제2차 서울시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8~2022)」과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에 따른 서울시의 시행계획을 연계하여 분석하고, 서울시민의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종합하여 정책개발 쟁점을 도출하였다. 이어 서울시 25개 자치구 173개 공공도서관의 투입지표와 자료서비스, 프로그램 이용실적, 웹이용, 상호대차 등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치구별 도서관 서비스의 성과를 가시화 할 수 있는 성과관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 성과관리를 위하여 전략목표와 핵심과제의 선정에 내실화, 성과관리의 범주 설정, 이용자 중심의 성과지표 개발, 정성지표 한계점 개선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물리적인 투입지표의 부실로 인하여 산출지표로 표현되는 서비스의 질적 저하가 우려되는 개연성이 있기 때문에 투입을 강화하는 한편, 이들 지표 간의 관련성이나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성과관리체계의 구축을 통하여 서비스 격차의 해소를 독려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vity of outcome manag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library operations in Seoul. For this purpose, author evaluated the public library policies by linking the 「Metropolitan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18~2022」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roject Outcome」은 시민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7개 영역(시민/지역 참여, 디지털 학습, 경제적 번영, 교육과 평생학습, 직업훈련, 영유아 리터러시, 여름독서교실)에 대한 성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서울시 각 자치구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활동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한 실태 조사와 서비스 향상을 성과관리체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도서관 평가의 패러다임이 산출에서 그 서비스로 인한 혜택인 성과로 확대되는 상황을 인식하고, 서울시 25개 자치구 173개 공공도서관의 투입지표 및 서비스 수준의 점검과 함께 성과관리를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와 각 자치구별 공공도서관이 도서관 서비스 성과를 평가하고 관리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향후 공공도서관 서비스 성과관리를 위한 성과지표를 개발함에 있어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의 수립이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설계의 방향성 수립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서울시 각 자치구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활동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한 실태 조사와 서비스 향상을 성과관리체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도서관 평가의 패러다임이 산출에서 그 서비스로 인한 혜택인 성과로 확대되는 상황을 인식하고, 서울시 25개 자치구 173개 공공도서관의 투입지표 및 서비스 수준의 점검과 함께 성과관리를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성과관리를 위하여 산출과 연계한 서비스 성과관리 설계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여전히 한계점을 지니므로 이에 따른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향후 공공도서관 서비스 성과관리를 위한 성과지표를 개발함에 있어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의 수립이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설계의 방향성 수립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서울시 각 자치구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활동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한 실태 조사와 서비스 향상을 성과관리체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은 어떤 도시인가요? 내 삶을 바꾸는 지식문화도시, 서울!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이며, 대한민국의 발전을 증빙하는 대표도시이다. 공공도서관은 지식문화도시를 이루는 핵심 인프라이며, 국민의 삶 속에서 가장 가까이 존재하는 보편적인 문화기관이다.
공공도서관은 무엇인가요? 내 삶을 바꾸는 지식문화도시, 서울!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이며, 대한민국의 발전을 증빙하는 대표도시이다. 공공도서관은 지식문화도시를 이루는 핵심 인프라이며, 국민의 삶 속에서 가장 가까이 존재하는 보편적인 문화기관이다. 하지만 국민들의 요구나 우리나라의 경제적 위상에 비하여 여전이 부족한 인프라로 선진국과 비교하여 격차가 큰 것도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2014년 국제표준기구가 제시한 국제 도서관 성과평가 표준인 ISO 16439의 6.3섹션은 무엇을 제시하고 있나요? ISO 16439의 6.3섹션은 도서관 서비스 평가 시 고려해야 할 투입지표 (input indicators)와 함께 도서관 이용, 서비스 질, 문화 관련 통계와 도서관 통계 비교를 위한 지표, 이용자 만족도 등의 성과지표를 제시하고 있다(ISO 2014, 25-2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cited 2019. 5. 10]. 

  2. Kim, Gyu-Hwan and Young-Joon Nam. 2008.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Kore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113-138. 

  3. Kim, Jeong-Taek. 2009. "A Study on Developing BSC-based Public Library Performance Indicator Model."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 47-71. 

  4. 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20. The Thir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20 Implementation Plan. Seoul: The Institute. 

  5. Park, Sung-Jae and Yong-Gu Lee. 2015. "Measuring Library Outcomes Using a Logic Model."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6(2): 269-287. 

  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8a. 2018 Summary of Survey Results of Reading Culture of Seoul Citizen. Seoul: The Government. 

  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8b. Survey Results of Library Use Status of Seoul Citizen: The Case of Small Libraries. Seoul: The Government. 

  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8c. Survey Results of Public Library Use Status of Seoul for Order Adults. Seoul: The Government. 

  9.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8d. The Second Seoul Metropolitan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18-2022. Seoul: The Government. 

  10. Yoon, Hae-Young. 2010. "A Study on the Efficiency Evalu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1(3): 67-84. 

  11. Yoon. Hee-Yoon. 2018. "Current Status and Policy of Public Library in Seoul."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2): 1-23. 

  12. Lee, Mi-Kyung and Sung-Been Moon. 2012.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29(1): 303-329. 

  13. Cha, Mee-Kyung and Soon-Hee Pho.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joyment Indicator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329-354. 

  14. Pho, Soon-Hee. 2012. "The Comparative Study of Public Library Valuation Using CVM: Case of the Payment Vehic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29(2): 173-191. 

  15. Pho, Soon-Hee, Young-Man Ko, and Won-Sik Shim. 2011.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Public Library's Use Valu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323-341. 

  16. ALA. 2019. State of America's Libraries 2019. [cited 2020. 5. 9]. 

  17.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2015. Global Libraries Impact Planning and Assessment Guide. [cited 2020. 6. 9]. 

  18. ISO. 2014.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Methods and Procedures for Assessing the Impact of Libraries. [cited 2019. 7. 8]. 

  19. PLA. 2017. Project Outcome: 2017 Annual Report. [cited 2020. 6. 10]. 

  20. Scottish Library and Information Council. 2014. How Good is Our Public Library Service? [cited 2019. 6. 9]. 

  21. The State of Library of Victoria. 2011. The Being the Best We Can Framework. [cited 2019. 6. 30]. 

  22. UK Department for Digital, Culture, Media & Sport. 2016. updated in 2018. Libraries Deliver: Ambition for Public Libraries. [cited 2019. 6. 30]. 

  23. Vakkari, P. and S. Serola. 2012.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1): 37-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