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른 사망 위험요인: 동거노인과 독거노인의 비교
Mortality Risk by Living Arrangements among Old Adults: Comparison between Living with Others and Living Alon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9, 2020년, pp.249 - 256  

이시은 (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라 사망 위험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4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이차 분석한 연구로 노인 3,827명을 2년간 추적조사한 종단연구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 콕스 비례 위험 회귀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동거노인은 성별,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 상태, IADL 제한, 인지기능 장애, 우울 증상이 사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독거노인은 규칙적 운동 여부, IADL 제한, 인지기능 장애가 사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거주형태에 따라 사망 위험요인 간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라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간호 중재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mortality risk by living arrangements among older adults. We analyzed data from 3,827 older adults who took part in the 2014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사망 위험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거주형태에 따른 노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들의 사망 위험요인을 줄이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라 사망 위험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동거노인과 독거노인 간에 특성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 성별, 교육수준, 만성질환 수, 주관적 건강 상태, 규칙적 운동 여부, 인지기능 장애, 우울 증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라 사망 위험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2014, 2016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이차 분석한 종단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른 사망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동거노인은 성별,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 상태, IADL 제한, 인지기능 장애, 우울 증상이 사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독거노인은 규칙적 운동 여부, IADL 제한, 인지기능 장애가 사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생존 분석을 위해 사망 여부와 생존 기간을 산출하였다. 사망 여부는 완전한 자료(complete data)와 절단된 자료(censored data)로 구분하여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라 사망 위험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형태에 따라 노인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사망 위험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거주형태에 따른 노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들의 사망 위험요인을 줄이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라 사망 위험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형태에 따라 노인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한다. 둘째, 거주형태에 따라 사망 위험요인을 규명하고, 사망 위험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에게서 만성질환이 발생하는 이유는? 노인은 고령과 신체적·인지적 기능 저하 등으로 인해 만성질환이 발생하며[3], 이러한 복합적인 만성질환으로 인해 허약이나 장애가 나타나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다[4]. 우리나라 노인 중 89.
기존에 노인의 사망과 관련된 국외 연구와 국내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그러나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독거노인의 비율이 2017년 기준 23.6%로 증가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3], 기존에 연구들은 거주형태를 구분하지 않고 조사되어 왔다.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OECD 국가 중 몇위를 차지하는가? 5%가 약물을 복용하고 있어[3] 사망 위험이 높은 상태에 놓여있다. 또한,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국가 중 1위를 차지하고 있고[5], 전체 노인 중 21.1%가 우울증상을 겪고 있어[3] 신체적, 사회경제적, 정신적으로 쇠약한 한국 노인의 사망 위험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tatistics Korea. (2018). 2018 cause of death statistics. Statistics Korea.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2/index.board?bmoderead&bSeq&aSeq377606&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2. Statistics Korea. (2019). Life table. Statistics Korea.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58 

  3. K. H. Jung et al. (2017).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4. S. E. Lee & G. R. S. Hong. (2017). Geriatric syndrome and mortali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3-year follow-up stud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1), 98-107. DOI : 10.7475/kjan.2017.29.1.98 

  5.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9).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IDD 

  6. R. An & G. G. Liu. (2016). Cognitive impairment and mortality among the oldest-ol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31(12), 1345-1353. DOI : 10.1002/gps.4442 

  7. Y. H. Lin, P. W. Ku, & P. Chou. (2017). Lifestyles and mortality in Taiwan: An 11-Year follow-up study. Asia Pacific Journal of Public Health, 29(4), 259-267. DOI : 10.1177/1010539517699058 

  8. S. Nam, S. Al Snih, & K. Markides. (2016). Lower body function as a predictor of mortality over 13 years of follow up: Findings from Hispanic established population for the epidemiological study of the elderly.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16(12), 1324-1331. DOI : 10.1111/ggi.12650. 

  9. J. H. Kim & J. M. Kim. (2017). Subjective life expectancy is a risk factor fo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mortality.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5(1), 1-7. DOI : 10.1186/s12955-017-0763-0 

  10. S. E. Lee & E. Lee. (2018). Effects of nutrition related factors on mortality risk among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343-350. DOI : 10.14400/JDC.2018.16.10.343 

  11. H. R. Kim, Y. H. Kang, & J. Y. Yeo. (2014). Socioeconomic, behavioral, nutritional, and biological determinants of mortality in South Korea: Analysis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Linked Data.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2. Lee Y et al. (2017). The effects of frailty and cognitive impairment on 3-year mortality in older adults. Maturitas, 107, 50-55. DOI : 10.1016/j.maturitas.2017.10.006 

  13. S. E. Lee, & G. R. S. Hong. (2019). The predictiv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related to fear of falling and mortali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Analysi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2006 to 2014. Aging & Mental Health, 1-7. DOI : 10.1080/13607863.2019.1663490 

  14.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4). 2014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basic analysis report. Eumseonggun: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15. D. L. Sackett, S. E. Straus, W. S. Richardson, W. Rosenberg, & R. B. Haynes. (2000). Evidence-based medicine: How to practice and teach EBM. 2nd e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6. P. D. Allison. (2010). Survival analysis. In: Hancock GR, Mueller RO, editors. The reviewer's guide to quantitative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1st ed. New York: Routledge. 

  17. M. P. Lawton & E. M. Brody. (1969).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Gerontologist, 9(3), 179-186. 

  18. C. W. Won, Y. G. Rho, S. W. Duk, & Y. S. Lee. (2002).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Scale. The Journal of Korean Geriatric Society, 6(4), 273-280. 

  19. M. F. Folstein & S. E. Folstein.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20. Y. C. Kwon & J. H. Park.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 125-135. 

  21. L. S. Radloff.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22. F. J. Kohout, L. F. Berkman, D. A. Evans, & J. Cornoni-Huntley. (1993). Two shorter forms of the CES-D depression symptoms index. Journal of Aging and Health, 5(2), 179-193. DOI : 10.1177/089826439300500202 

  23.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7). 2016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basic analysis report. Eumseonggun: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4. J. H. Yeom. (2015). The effect of falling on the mortality of elderly Korean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68, 389-4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