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정신건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n Resilience of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9, 2020년, pp.403 - 411  

정지나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정신건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J도에 소재한 3개 대학의 보건계열 대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피어슨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결과 회복탄력성에 사회적 지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신건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수인 물질적 지지와 평가적지지, 정신건강의 하위변수인 불안,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대학생활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8.9%이었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영향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증진 방안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on their resilience. 191 students enrolled in 3 health science colleges located in J Province were asked to answer structured questionarie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정신건강요인의 상호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며, 이에 따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정신건강, 회복탄력성의 수준과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주요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의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고 정신건강증진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보건계열 대학생의 내적 자원을 강화하여 회복탄력성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변화되는 상황과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역경을 극복하고 유연하게 반응하여 정신적으로 성장하는 능력을 말한다[7]. 이를 통하여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스트레스 이전의 수준, 나아가 삶의 도전을 통해 삶의 전반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된다[8].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 개인의 특성과 환경적 요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의 정도가 차이가 있어서 그 상황을 다르게 해석하고 대처하게 되는데,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태도로 스트레스에 임하게 되며, 스트레스를 대처한 후에는 더욱 삶의 도전에 역량을 발휘한다고 한다[10]. 즉, 회복탄력성은 다양한 요인들과 상호작용하며 한 가지 측면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우며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한다[11].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호요인이 있는데, 보호요인 중 사회변인의 대표적인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들 수 있다. 이 때 사회적 지지는 무엇이고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12], 보호요인 중 사회변인의 대표적인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들 수 있다. 사회적 지지는 한 개인의 가족, 친구, 동료, 교수 등의 사회적 관계를 통해 얻어지는 도움과 원조의 긍정적인 자원으로 스트레스 극복과 능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J. W. Kim, & J. H. Kim. (2013).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achment,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9), 248-259. 

  2. J. J. Jeong. (2018). An Exploatory Study about Stress Coping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 Utilizing Photovoice Methodolog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545-555. 

  3. H. J. Kang, & Y. G. Jee. (2019). The Effect of Self-esteem on Mental Health to the Students of College of Health :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Stres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9), 427-436. DOI : 10.35873/ajmahs.2019.9.9.037 

  4. J. K. Kim, & K. H. Yoo. (2019). Effects of Self-esteem on Nursing Students' Resilience. J Muscle Jt Health, 26(3), 261-269. 

  5. J. H. Yu, & J. H. Cho. (2018). Influencing of Coworker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Resilience of Nurs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18(3), 733-743. 

  6. N. H. Kim, & S. Y. Park. (2019).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Resilience of Student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3), 194-202. DOI : 10.5762/KAIS.2019.20.3.194 

  7. M. McAllister, & J. McKinnon. (2009). The import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resilience in the health discipline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e education today, 29(4), 371-379. 

  8. W. Y Shin, M. G. Kim, & J. H. Kim. (2009).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udies on Korean Youth, 20(4), 105-131. 

  9. J. K. Kim, & K. H. Yoo. (2019). Effects of Self-esteem on Nursing Students' Resilience. J Muscle Jt Health 26(3), 261-269. DOI : 10.5953/JMJH.2019.26.3.261 

  10. H. Y. Lee, & H. J. Cho. (2016). The effect of resilience on perceived stress-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 and cognitive flexibilit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8(1), 147-168. 

  11. K. L. Kumpfer, & J. F. Summerhays. (2006). Prevention approaches to enhance resilience among high-risk youth: comments on the papers of Dishion & Connell and Greenberg.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094, 151-163. DOI : /10.1196/annals.1376.014 

  12. K. H. Lee & S. W. Lee. (2005). Concept analysis of resilience.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13(1), 9-13. 

  13. J. J. Jeong. (2020). The Impacts of Resilience, Social Support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Freshman and sophomore year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2), 385-394. DOI : /10.15207/JKCS.2020.11.2.385 

  14. H. S. Shin. (2018).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Seoul 

  15. S. H. Jung. (2014). Effects of college students' ego-resilience,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ir mental health promo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16. J. T. Lee, K. M. Kim, B. H Yoon, & Y. E Jung. (2020). Factors Associated with Resilience in School-Aged Adolescents.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6(1),14-22. 

  17. S. Y. Kim. (2018). The Influence of Self - Control and Resili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1),253-262. 

  18. B. R. Cho, & J. M. Lee. (2019).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Stress,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4), 1-11. 

  19. H. H. Park. (2018). The Effects of Stress, Depression, and Resilience on Cognitive Failure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4), 323-333. DOI : 10.21184/jkeia.2018.6.12.4.32 

  20. E. H. Cho. (2019). Mediating Effects of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Stress and Anxiety with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19(10), 677-688. 

  21. S. H. Choi. (2017). Influence on College Students' Depression of Anxiety, Unemployment Stress, and Self-estee -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0), 619-627. 

  22. Y. E. Lee, E. Y. Kim, & S. Y. Park. (2018). Effect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Academy of Chind Health Nursing, 23(3), 385-393. DOI : 10.4094/chnr.2017.23.3.385 

  23. H. H. Park. (2018). The Effects of Stress, Depression, and Resilience on Cognitive Failure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4), 323-333. 

  24. J. H. Park, & B. G. Yoon. (2018). Capability of empathy and resilience among healthcar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2(3), 117-129. 

  25. H. J. Lee. (2017). Convergence differences of academic burnou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tc. by resilience clusters of students majoring in Medical records.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67-77. 

  26. W. Y. Shin, M. K. Kim, & J. H. Kim. (2009).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udies on Korean Youth, 20(4). 105 

  27. J. W. Park. (1985). A Study on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thesis of master, Yonsei University. 

  28. E. K. Yu, & H. S. Seol. (2015). Factorial Structure of the Social Support Scale.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16(.1)1, 155-184. 

  29. H. Y. Oh, & S. E. Kim. (201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ntal health scale for college studen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7(6), 333-356. 

  30. J. Y. Shin. (2019).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ego-resilience, family cohesion and social support on their mental health.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24(2), 85-108. 

  31. M. H. Nam, & O, H, Kim. (2016). Effect of Personality and Resilience on Satisfaction with Major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4(4), 298-306. 

  32. Y. E. Lee, E Kim, & S. Y. Park. (2017). Effect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Academy of Child Nursing, 23(3):385-93. DOI : 10.4094/chnr.2017.23.3.385 

  33. H. H. Ju, & D. W. Kim. (2017). Influence of ego resilience and self efficacy on major satisfaction of paramedic students. Korean J Emerg Med Ser, 21(3), 85-95. DOI : 10.14408/KJEMS.2017.21.3.085 

  34. Y. E. Lee, E. Kim, & S. Y. Park. (2017). Effect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Academy of Child Nursing,23(3),385-93. DOI : 10.4094/chnr.2017.23.3.385 

  35. H. S. Shin. (2018).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thesis of master, Konyang University, Nonsan 

  36. H. J. Kim, S. Y. Lee, & C. W. Nam. (2015).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Returnee College Students and Ordinary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16(3), 433-4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