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회복탄력성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Resilience Scale for Korean Nursi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3, 2015년, pp.337 - 346  

양영희 (단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간호학과) ,  김은만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  유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박승미 (호서대학교 생명보건과학대학 간호학과) ,  이해영 (호서대학교 생명보건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the resilience scale for Korean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initial 82 items (7 factors)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tudent interviews. Items were reduced to 55 items through content validity test by 5 experts and face valid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에게 적용할 회복탄력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문헌고찰과 간호대학생과의 면담을 통해 도구를 구성하였고 최종 24개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간호대학생 면담 및 표본조사를 통해 간호대학생을 위한 회복탄력성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도구는 7개 요인과 2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는 기존 회복탄력성 도구와 달리 간호대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도구를 개발하고 그 도구의 신뢰도 및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를 모두 보고한 연구로 의의가 있다. 도구의 전체 신뢰도와 타당도 모두 양호한 수준으로서 새로운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근거가 확보되었으나, 회복탄력성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중 대처능력과 사회적 지지의 신뢰도가 비교적 낮은 점이 단점일 수 있으므로 이 부분은 앞으로 본 도구를 적용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수정 ․ 보완 할 것을 제안한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8%(28편)에 지나지 않았으며, 도구의 타당성 검정을 위해서 다양하고 많은 논리적 분석을 제시 하는 합리적 근거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30]. 본 연구에서는 3가지의 타당도를 모두 검정함으로서 도구의 타당도에 대해 보다 명확한 근거를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회복탄력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들의 주요 스트레스 원인은 무엇인가? 회복탄력적 특성을 가진 사람은 스트레스를 완충하거나 줄이는데 유용한 보호적 요소나 자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4], 회복탄력성은 건강과 안녕, 그리고 삶의 질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으로 여겨져 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5]. 간호대학생들은 학업뿐 아니라 전공 특성상 임상실습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데, 임상현장에서의 모호한 학생역할, 이론과 실무의 괴리, 실습기회 부족, 간호지식 및 기술 부족, 대인관계 어려움, 많은 과제와 바쁜 실습 일정 등이 주요 스트레스 원인이 된다[6,7].
기존의 회복탄력성 측정도구들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회복탄력성 측정도구에 대한 질 평가결과[4,5] 신뢰성 있고 타당한 도구로 추천되는 도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15]과 Resilience Scale for Adults (RSA)[16]이다. 그러나 이들 도구들은 정신 심리적 측정 특성(psychometric properties)에 대한 정보가 누락되거나, 가족이나 사회적 지지 등은 고려하지 않은 채 개인 차원의 회복탄력성만 측정하였고, 역경에 대한 적응으로서‘역동적 과정(dynamic process)’을 의미하는 회복탄력성의 다차원적인 개념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등의 제한점이 있어 이론적 적절성이나 도구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지적되었다[5].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회복탄력성은 역경에서 회복해 되살아나거나 성공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이며[1,2], 환경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역경을 기회로 삼아 더욱 성숙한 경험으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이다[3]. 회복탄력적 특성을 가진 사람은 스트레스를 완충하거나 줄이는데 유용한 보호적 요소나 자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4], 회복탄력성은 건강과 안녕, 그리고 삶의 질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으로 여겨져 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Earvolino-Ramirez M. Resilience: a concept analysis. Nursing Forum. 2007;42(2):73-82. 

  2. Stephens TM. Nursing student resilience: a concept clarification. Nursing Forum. 2013;48(2):125-33. http://dx.doi.org/10.1111/nuf.12015 

  3. Kim JH. Resilience. Kyung-gi: Wisdomhouse Inc.: 2011. 

  4. Ahern NR, Kiehl EM, Sole ML, Byers J. A review of instruments measuring resilience.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2006;29(2):103-25. http://dx.doi.org/10.1080/01460860600677643 

  5. Windle G, Bennett KM, Noyes J. A methodological review of resilience measurement scale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11;9:8. http://dx.doi.org/10.1186/1477-7525-9-8 

  6. Park MY. The perceived causal structure model on stress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4;10(1):54-63. 

  7. Goh JK. The differences of stressors at grade and ways of coping in nursing students. Health Communication. 2010;5(2):79-86. 

  8. Gillespie BM, Chaboyer W, Wallis M. Development of a theoretically derived model of resilience through concept analysis. Contemporary Nurse. 2007;25(1-2):124-35. 

  9. Kim DJ, Lee JS.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2):244-54.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2.244 

  10. Park YS, Kwon YH. Ego resilienc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3):341-50.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3.341 

  11. Ji EJ, Bang MR, Jeon HJ. Ego resilience,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 19(4);571-9.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4.571 

  12. Lee YK, Kim HL. The relationship of ego resilience and involvement with the experience of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4):1953-62. http://dx.doi.org/10.5762/KAIS.2014.15.4.1953 

  13. Hong E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nd instructional suggestion.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06;41(2):45-67. 

  14. McAllister M, McKinnon J. The import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resilience in the health discipline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e Education Today. 2009;29(4):371-9. 

  15. Connor KM, Davidson JR.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2003;18(2):76-82. http://dx.doi.org/10.1002/da.10113 

  16. Friborg O, Hjemdal O, Rosenvinge JH, Martinussen M. A new rating scale for adult resilience: what are the central protective resources behind healthy adjus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ethods in Psychiatric Research. 2003;12(2):65-76. 

  17. Klohnen EC.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5):1067-79. http://dx.doi.org/10.1037/0022-3514.70.5.1067 

  18. Block J, Kremen AM.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2):349-61. 

  19. Lee ES, Kim 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go-resilience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2;13(6):3077-94. 

  20. Ahern NR. Adolescent resilience: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06;21(3):175-85. http://dx.doi.org/10.1016/j.pedn.2005.07.009 

  21. Windle G. What is resilience? a review and concept analysis.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2011;21(2):152-69. http://dx.doi.org/10.1017/S0959259810000420 

  22. Grove SK, Burns N, Gray JR. Practice of nursing research: appraisal, synthesis, and generation of evidence. 7th ed. St. Louis, Missouri: Elsvier; 2013. p. 443. 

  23. Lee EK, L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i J,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2009. p. 207, 252, 263. 

  24. Bartone RT, Ursano RJ, Wright KM, Ingraham LH. The impact of a military air disaster on the health of assistance workers: a prospective study.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89;177(6):317-28. 

  25. Cho JY.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responses of violence experience, hardiness and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master's thesis]. Incheon: Inha University; 2011. p. 17, 68. 

  26. Shin WY, Kim MK, Kim JH.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udies on Korean Youth. 2009;20(4):105-31. 

  27. Friborg O, Barlaug D, Martinussen M, Rosenvinge JH, Hjemdal O. Resilience in relation to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Methods in Psychiatric Research. 2005;14(1):29-42. 

  28. Sinclair VG, Wallston KA.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Brief Resilient Coping Scale. Assessment. 2004;11(1):94-101. 

  29. Kobasa SC. Stressful life events, personality, and health: an inquiry into hard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79;37(1):1-11. 

  30. Lee K. Shin S. Validity of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Korea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6):697-703.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6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