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Job-Seeking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9, 2020년, pp.62 - 70  

장현정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  이정화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3개 대학 간호학과 재학 중인 228명을 편의표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첫 희망진로, 취업준비정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순이었으며,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9%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예방, 대처 및 완화를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가를 위한 차별화된 취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Job-Seeking Stress of nursing students, and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f Job-Seeking Stress. A convenience sample of 228 nursing students was conducted from in three departments of...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취업 전선에 본격적으로 돌입하는 고학년 간호학생이 직면하고 있는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취업준비를 시작하는 3, 4학년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고학년 간호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예방, 완화와 대처전략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학생의 취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차별화된 취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취업준비 구체적 전략이 필요한 3·4학년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을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의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련성 규명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결과를 얻는데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신념이다[15].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본인이 성공적으로 진로를 결정하여 직장에 종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스스로에게 가지는 자신감의 수준을 의미한다[16]. 높은 수준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직업 탐색, 선택 및 적응 행동에 정적인 관계가 있고[6], 사회적지지, 취업준비정도나 취업성과에 만족하지 못할지라도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17].
간호학생들은 어떠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인가? 이에 간호학생들은 본인의 희망 기관 취업을 위한 학점관리, 토익, 관련 자격증 취득 등 다양한 스펙을 쌓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고[7], 해외 어학연수나 국내외 봉사활동 등과 같은 교과·비교과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또한, 전공분야에 대한 생소함, 엄격하게 편성된 교육과정, 과중할 정도의 학습량, 임상실습에 대한 적응 스트레스, 국가고시 준비 등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 다방면에 걸친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4,7].
진로관련 사회적 지지는 무엇인가?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지지 망을 통해 실체상황에서 제공받는 지지 수준과 사회 네트워크의 구성원을 통해 정서, 정보, 물질, 평가적 지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지각하는 수준으로[10], 진로관련 사회적 지지는 개인의 적극적인 진로행동 가능성을 지원해주는 것을 의미한다[11]. 사회적 지지가 낮은 개인이라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킨다면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고[12], 취업스트레스로부터의 우울 및 절망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는 이를 완화시키는 조절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2020). Youth employment trend (employment rate and unemployment rate). Statistics Korea (Online). http://www.index.go.kr/potal/main/%20%20%20EachDtlPageDetail.do?idx_cd1495 

  2. M. H. Choe et al. (2015). Factors affecting job-seeking stress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2), 122-131. DOI : 10.5807/kjohn.2015.24.2.122 

  3. S. P. Behere, R. Yadav & P. B. Behere. (2011). A comparative study of stress among students of medicine, engineering, and nursing. Indian Journal of Psychological Medicine, 33(2), 145-148. DOI : 10.4103/0253-7176.92064 

  4. Y. K. Yang, K. S. Han, M. H. Bae & S. H. Yang. (2014). Social support, academic stress, clinical practice stress in college student of nursing.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2(1), 23-33. DOI : 10.17547/kjsr.2014.22.1.23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Measure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reatment of nurse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line).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4262 

  6. K. A. Lee & J. H. Kim. (2015).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2(1), 42-49. DOI : 10.16952/pns.2015.12.1.42 

  7. H. J. Choi & K. I. Jung. (2018).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jobseeking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4(1), 61-72. 

  8. Y. H. Kim. (2013). Effect of career empowerment program on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ment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2), 817-828. 

  9. E. K. Ahn. (2018).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on senior nursing students' job seeking stress-perspectives of converg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6), 365-372. 

  10. J. W. Park.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1. N. E. Betz, K. L. Klein & K. M. Taylor. (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1), 47-57. DOI : 10.1177/106907279600400103 

  12. O. S. Oh. (2018).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employment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 moder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5), 107-130. 

  13. I. K. Seo & Y. S. Lee. (2015).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job-seeking stress on depression and despair: control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12(1), 117-147. 

  14. C. Gibbons, M. Dempster & M. Moutray. (2008). Stress and eu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1(3), 282-290. 

  15. A. Bandur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16. K. M. Taylor & N. E. Betz.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DOI : 10.1016/0001-8791(83)90006-4 

  17. K. H. Kim. (2018). Influence of personality traits,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3), 399-408. DOI : 10.5392/JKCA.2018.18.03.399 

  18. G. H. Kim & E. H. Hwang. (2016). Influence of ego-resili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 leadership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2), 436-445. DOI : 10.5762/KAIS.2016.17.2.436 

  19. Y. S. Kim. (1995).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E. K. Lee.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efficacy upon the career development. 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S. W. Hwang. (1998). A Study on Employment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22. Y. R. Kang. (2006). The influence of jobs seeking stress on their career maturity dance majoring student. 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23. S. M. Ahn & K. H. Kim. (2018).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job-seeking stress on nursing students' career maturity.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1), 555-565. DOI : 10.5762/KAIS.2018.19.1.555 

  24. S. A. Yang. (2017).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job-seeking 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171-183. DOI : 10.22156/CS4SMB.2017.7.4.171 

  25. J. W. Lee, N. Y. Lee & Y. S. Eo. (2018). Path analysis of major satisfaction, clinical compet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1), 311-320. DOI : 10.5762/KAIS.2018.19.1.311 

  26. J. Y. Lee & W. Y. Choi. (2012).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social suppor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3(3), 1481-1499. 

  27. M. O. Ki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ing behavior and job-seeking stressin university students: morderation effect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