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40 no.5, 2020년, pp.527 - 534
남송현 (한국농어촌공사) , 박형근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A significant factor in construction work is cost. At early- and advanced-stage design, costs should be calculated to derive realistic cost estimates according to unit price calculation. Based on these estimate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construction work is assessed, and whether to proceed is d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건설공사비 지수는 누구를 통해 산정되는가? | 정확한 예정가격을 산정하기 위해 기본 및 세부 설계 단계에는 단가산출에 따라 가격을 산정하고 이를 토대로 건설공사의 경제성을 평가하고 진행여부를 판단한다. 국내에서는 건설공사비 가격변동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건설연구원을 통해 건설공사비 지수를 산정하여 2004년부터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2000년도 1월부터 지수가 산정되어 지수 발표 이전 시기의 건설공사비 자료를 사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 |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건설공사비 지수 산정은 언제부터 언제까지의 자료를 이용해 산정되었는가? | 과거 공사비를 이용한 개략공사비 산출을 위해 건설공사비 지수를 구성하는 생산자 물가지수와 건설업 시중노임 조사를 통해 변인들을 산정하였다. 다수의 변인 중 상관분석을 통해 유의한 독립변수를 선정 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1970년도부터 1999년까지의 건설공사비 지수를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0년대 이전의 과거 공사비를 활용한 개략공사비 산정방법을 제시한 부분에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 |
생산자물가지수를 기준으로 삼아 5년 단위로 기준년도를 변경하는 건설공사비지수는 현재 어느 해를 기준으로 삼고 있는가? | 건설공사비 지수는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재료비, 노무비, 장비대 등 직접적인 공사비 자원들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지수로 발표하고 있으며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생산자물가지수를 기준으로 삼아 5년 단위로 기준년도를 변경한다. 현재는 2015년을 지수 100으로 설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건설공사비 지수는 건설공사비의 변동분석과 추세예측, 과거공사비 보정,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 등 다양한 건설공사 예산산정 분야 및 공사비 물가 변동 등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Ji, 2012). |
Cho, H. H. and Do, G. Y. (2005). "Improvement of contract sum adjustment method caused by price fluctuation using construction cost index."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6, No. 1, pp. 162-168 (in Korean).
Jeon, G. Y., Cho, J. Y. and Huh, Y. (2013). "Development of approximate cost estimate model for aqueduct bridges restoration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regression analysis and casebased reaso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3, No. 4, pp. 1693-1705 (in Korean).
Ji, Y. I. (2012). Problem analysis and improvement schemes to the application of producer price index for construction price fluctuations, Master's degree, Chung-Ang University (in Korean).
Kang, S. H. (2010). A study on approximate construction cost estimating of steel box girder bridge, Master's degree, Korea Maritime University (in Korean).
Kang, T. K., Back, S. H., Kim, C. W. and Cho, H. H. (2015). "Improvement of construction cost index against the change of national basic statistic."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6, No. 4 , pp. 21-29 (in Korean).
Lee, J. K., Lee, H. S., Park. M. S., Kim, S. Y. and Ji, S. Y. (2010). "A statistical forecasting model for building construction cost index using regression analysis." Journal of National University Student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pp. 52-56 (in Korean).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