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Residual U-Net을 이용한 토지피복지도 자동 제작 연구
Automatic Generation of Land Cover Map Using Residual U-Net 원문보기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40 no.5, 2020년, pp.535 - 546  

유수홍 (연세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이지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통합과정) ,  배준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통합과정) ,  손홍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환경부에서는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지도를 1998년부터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으나, 권역별 제작 주기가 달라 활용성이 저하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정사영상과 Landsat 8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지도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지피복지도를 자동적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딥러닝 기반 세그먼테이션 방법의 하나인 Residual U-Net을 활용하였다. 토지피복지도의 제작 시기와 가장 근접한 시기의 항공 및 위성영상을 신경망을 통하여 학습하고, 학습결과를 3가지 실험군으로 나누어 토지피복지도와 비교하여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군으로 대분류 7개 전체를 활용한 결과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대분류 4개에만 적용된 결과보다도 향상된 86.6 %의 분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중분류를 일부 포함한 2개의 실험군의 경우에는 71 %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경망을 활용한 대분류 항목에 대한 자동 분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중분류 및 세분류에 대한 기초연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 cover maps are derived from satellite and aerial image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or the entire Korea since 1998. Even with their wide application in many sectors, their usage in research community is limited. The main reason for this is the map compilation cycle varies too much over the ...

Keyword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의 공간해상도를 가진 항공정사영상과 높은 분광해상도(Spectral resolution)를 가진 Landsat 8 위성영상을 학습데이터로 활용하여, 토지피복지도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모델을 제작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딥러닝 세그먼테이션 기법의 하나인 Residual U-Net을 활용하여 원하는 대상을 분류하고, 그 경계 정보를 함께 추출하였으며, 학습시킨 모델을 통해 제작된 지도에 대한 정확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 Landsat의 공간해상도가 30 m이기에 Landsat 위성 영상만으로는 대분류 항목이라 할지라도 정확한 분류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시킬 때 Landsat 위성 영상뿐만 아니라 추가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고해상의 항공정사영상을 함께 입력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분류뿐만 아니라 일부 중분류에 대한 자동 분류 가능 여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자료 제공 현황을 검색한 결과, 2014년 촬영된 항공사진과 아리랑 위성 영상을 바탕으로 대전시를 포함한 세종시와 충청남도 지역에 대한 토지피복지도가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지역 중에서 세종시를 기준으로 일부 청주시, 공주시 그리고 대전시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는데, 이는 가능한 모든 분류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충분히 또 다양하게 확보하여 토지분류 자동생성 모델을 적절히 학습시키기 위해서이다(Fig. 4).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당 지역은 도심지를 포함한 농업지역, 내륙 호수 그리고 산림 등 분류마다 다양하고 또 넓게 분포하고 있으므로, 토지분류 자동생성 모델을 학습시키기에 풍부한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역으로 판단되어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대분류와 중분류 항목에 대한 자동 분류를 수행하는 것이지만, 분류 대상의 경계 정보를 세분류 수준으로 세밀하게 제작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사용하였다. 2015년에 제작된 토지피복지도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세분류 데이터 중 하나이며, 학습 모델에 입력할 수 있도록 벡터 데이터를 래스터 포맷으로 변환하였다(Fig.
  • 본 연구에서는 Residual U-Net을 이용하여 환경부의 토지피복지도를 자동 생성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지피복지도를 예측하기 위해 항공정사영상과 Landsat 8 위성 영상을 활용하였으며, 해당 자료에 의한 자동 분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총 세 가지 실험군을 구성하여 학습을 진행하고 이에 대한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 실험군Ⅲ의 경우, 분류할 대상의 개수가 줄어듦으로 인해 정확도가 상승하는 효과도 있었을 것이나, 선행연구와 비교해 더 많은 개수의 분류 대상에 대해 자동 분류 모델을 제작하였음에도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모델에 비해 정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분류 항목에 대한 토지분류 자동생성 모델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지피복지도 현재의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전국 단위의 분석을 진행하였을 경우의 한계점은? 현재의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전국 단위의 분석을 진행하였을 경우, 지역 간 시간 해상도 차이가 너무 커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저하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한편, 지도 제작 사업은 도화사와 같은 전문가가 장기간 투입되어야 하며 위성영상이나 항공사진을 얻기 위한 예산을 확보해야 하는 등 다양한 사유로 인해 추가적인 지도 제작 또는 잦은 갱신을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못하다.
인공위성으로 촬영한 영상을 활용하여 지표면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사업은? 환경부에서는 인공위성으로 촬영한 영상을 활용하여 지표면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토지피복지도 제작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National Environment Information Network System, 2019). 1998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전국에 대해 대분류(7항목), 중분류(22항목), 세분류(41항목) 데이터를 지속해서 구축하고 있으며, 다양한 위성으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항공 사진을 이용하여 지도의 제작 및 갱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토지피복지도 제작 사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환경부에서는 인공위성으로 촬영한 영상을 활용하여 지표면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토지피복지도 제작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National Environment Information Network System, 2019). 1998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전국에 대해 대분류(7항목), 중분류(22항목), 세분류(41항목) 데이터를 지속해서 구축하고 있으며, 다양한 위성으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항공 사진을 이용하여 지도의 제작 및 갱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정밀도의 고품질 자료이지만, 다양한 사유들로 인해 지도의 제작 및 갱신주기가 불규칙하고 심지어 권역별로도 제작 시기가 다르다는 문제점이 있다(J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udebert, N., Le Saux, B. and Lefevre, S. (2016). "Semantic segmentation of earth observation data using multimodal and multi-scale deep networks." Asi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Springer, Taipei, Taiwan, pp. 180-196. 

  2. Buslaev, A., Seferbekov, S., Iglovikov, V. and Shvets, A. (2018). "Fully convolutional network for automatic road extraction from satellite imagery." Proceedings of the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Workshops, Salt Lake City, Utah, pp. 207-210. 

  3. Filin, O. and Zapara, A. (2018). "Road detection with EOSResUNet and post vectorizing algorithm." Proceedings of the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Workshops, Salt Lake City, Utah, pp. 201-205. 

  4. Ghosh, A., Ehrlich, M., Shah, S., Davis, L. and Chellappa, R. (2018). "Stacked U-Nets for ground material segmentation in remote sensing imagery." Proceedings of the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Workshops, Salt Lake City, Utah, pp. 257-261. 

  5. Jo, W. H., Lim, Y. H. and Park, K. H. (2019). "Deep learning based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 case study of Korea."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54, No. 1, pp. 1-16 (in Korean). 

  6. Kampffmeyer, M., Salberg, A. B. and Jenssen, R. (2016). "Semantic segmentation of small objects and modeling of uncertainty in urban remote sensing images using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Proceedings of the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workshops, Las Vegas, pp. 1-9. 

  7. Lee, S. H. and Kim, J. S. (2019).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sematic image segmentation with deep learning."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5, No. 2, pp. 279-288 (in Korean). 

  8. National Environment Information Network System (2019). Land cover map, Available at: http://www.neins.go.kr/gis/mnu01/doc03a.asp (Accessed: February 03, 2020) (in Korean). 

  9. Ronneberger, O., Fischer, P. and Brox, T. (2015). "U-net: Convolutional networks for biomedical image segment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dical Image Computing and Computer-Assisted Intervention, Springer, Germany, pp. 234-241. 

  10. Seo, K. H., Oh, C. W., Kim, D, Lee, M. Y. and Yang, Y. J. (2019). "An empirical study on automatic building extraction from aerial images using a deep learning algorithm."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Republic of Korea, pp. 243-252 (in Korean). 

  11. Szegedy, C., Ioffe, S., Vanhoucke, V. and Alemi, A. A. (2017). "Inception-v4, inception-resnet and the impact of residual connections on learning." Proceedings of the Thirty-First AAAI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San Francisco, pp. 4278-4284. 

  12. Xu, Y., Wu, L., Xie, Z. and Chen, Z. (2018). "Building extraction in very high resolution remote sensing imagery using deep learning and guided filters." Remote Sensing, Vol. 10, No. 1, 144. 

  13. Zhang, Z., Liu, Q. and Wang, Y. (2018). "Road extraction by deep residual u-net."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 Vol. 15, No. 5, pp. 749-75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