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9, 2020년, pp.59 - 63
김준철 (텍사스 A&M 대학교) , 박기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visual analogue scale and recovery time with type of injury that occur in elite wrestling athletes. The incidence rate of injury was analyzed the Poisson ratio, and the VAS and recovery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injury were compared u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레슬링 종목은 어떤 스포츠인가? | 레슬링 종목은 기원전 708년, 그리스에서 시작된 스포츠로써[1], 1896년 제1회 아테네 하계올림픽부터 남자 레슬링 종목은 정식 종목이었으며, 이후 2000년 제27회 시드니 하계올림픽에서 여자 레슬링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투기 종목 스포츠이다[2]. | |
본 논문에서 엘리트 레슬링선수들이 주로 발생하는 스포츠 손상유형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시각적 상사 척도와 회복 기간 그리고 시각적 상사 척도와 회복 기간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는 어떠한가? | 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인대 손상이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는 근육 손상, 연골 손상 그리고 힘줄 손상 순이었다. 손상유형에 따른 시각적 상사 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1), 회복 기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또한, 시각적 상사 척도가 1씩 증가할 경우, 회복 기간은 약 1.89일씩 길어졌다(p=.001). 이러한 연구들은 선수들의 안전한 선수 생활과 스포츠 현장 복귀를 위한 유용한 이론적 배경으로 제공될 것이다. | |
스포츠 손상 발생에 취약한 것은 어떤 선수인가? | 그동안의, 올림픽대회에서 진행한 역학조사 연구에서는 레슬링 종목의 스포츠 손상 발생률은 축구나 태권도 종목보다 높지는 않았으나[3], 태권도, 유도 그리고 레슬링 등의 투기 스포츠 선수들은 스포츠 손상 발생에 취약하다[3]. 일반적으로 스포츠 손상은 통증과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선수들은 경기 및 훈련의 참여가 제한될 수 있기에 통증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
UWW. United World Wrestling. (2020). http://unitedworldwrestling.org
B. Shadgan, B. J. Feldman & S. Jafar. (2010). Wrestling injuries during the 2008 Beijing olympic game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38(9), 1870-1876. DOI: https://doi.org/ 10.1177/0363546510369291
A. Junge, L. Engebretsen, M. L. Mountjoy, J. M. Alonso, P. A. F. Renstrom, M. H. Aubry & J. Dvorak. (2009). Sports injuries during the Summer Olympic Games 2008.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37(11), 2165-2172. DOI: 10.1177/0363546509339357
K. J. Park, J. H. Lee & H. C. Kim. (2019). Injuries in Male and Female Elite Korean Wrestling Athletes: A 10-year Epidemiological Study.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53(7), 430-435. DOI: 10.1136/bjsports-2018-099644
E. K. Kim et al. (2011). Sports injury surveillance during summer asian games 2010 in Guangzhou. Korean J Sports Med, 29(1), 49-57. DOI: 10.5763/kjsm.2011.29.1.49
D. Palmer-Green, C. Fuller, R. Jaques & H. Glenn (2013). The injury/illness performance project (IIPP): a novel epidemiological approach for recording the consequences of sports injuries and illnesses. J Sports Med, 6, 1-9. DOI: 10.1155/2013/523974
L. Engebretsen etl al. (2013). Sports injuries and illnesses during the London Summer Olympic Games 2012.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7(7), 407-414. DOI: 10.1136/bjsports-2013-092380
R. Bahr et al. (2020).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consensus statement: methods for recording and reporting of epidemiological data on injury and illness in sport 2020 (including STROBE Extension for Sport Injury and Illness Surveillance (STROBE-SII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54(7), 372-389. DOI: 10.1177/2325967120902908
M. J. Blasco et al. (2018). Injuries in traditional wrestling: The leonese wrestling case study (2005-2015). Revista Internacional de Medicinay Ciencias de la Actividad Fisicay del Deporte, 18(72), 723-736. DOI: 10.15366/rimcafd2018.72.008
T. E. Hewett, C. Pasque, R. Heyl & Wroble R. (2005). Wrestling injuries. Medicine and Sport Science, 48, 152-178. DOI: 10.1159/000084288
K. S. Park & S. H. Chung. (2007). A Study on Assessment of Patient with Lumbar Spinal Stenosis.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2(1), 23-38.
D. I. Choi, T. O. Jung, Y. H. Jin & J. B. Lee. (2003). Clinically Meaningful Reduction in Pain Severity by Using a Unidimensional Scale and Verbal Categorical Rating of Pa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4(1), 66-70.
J. H. Oh & S. M. Rheel. (2018). Non-Operative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Regenerative Medicin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53(3), 375-380. DOI: 10.4055/jkoa.2018.53.5.375
B. N. Rosenbloom, S. K. C. McCartney & J. Katz. (2013). Systematic Review of Persistent Pain and Psychological Outcomes Following Traumatic Musculoskeletal Injury. Journal of Pain Research, 6, 39-51. DOI: 10.2147/JPR.S38878
Y. K. Kang. (2003).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Pai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4(2), 103-11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