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 -젠킨스의 뉴미디어리터러시로-
Case analysis of educational program of museum using online contents -Focusing on Jenkin's new media literac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9, 2020년, pp.125 - 134  

백근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  허윤정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온라인 미술관 교육 사례들을 젠킨스의 뉴미디어리터러시 핵심 역량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젠킨스가 제시한 체계적인 미디어 교육의 핵심 역량은 미디어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개발해야하는 온라인 미술관의 향후 방향성에 대한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사례 분석을 위해 국내 미술관으로는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사비나 미술관, 보름산미술관을 선택했고 국외 미술관으로는 클리블랜드미술관, 메트로폴리탄미술관, 게티미술관, 테이트모던미술관을 선택했다. 젠킨스의 뉴미디어리터러시 핵심 역량에 따라 분석한 결과로 국외 미술관의 경우에는 화상회의, 사이트 페이지 하단의 댓글 달기 등 상호 소통을 위한 콘텐츠를 구성하고 있었지만 국내 온라인 미술관은 이러한 요소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콘텐츠를 구성하여 전용, 네트워킹, 협상력, 분산된 인지, 집단지성의 역량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online art museum education based on the core competency of Jenkins' new media literacy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onlin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The core competency of media education suggested by Jenkins can serve as a reference point for an online art...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술관에서 진행해 온 전시 연계 학습, 미술관 교육 등이 온라인 미술관 내에서는 부족하며 이에 대한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온라인 미술관 교육 사례들을 젠킨스 (Jenkins, H)의 뉴미디어리터러시 핵심 역량을 토대로 분석하고자 한다. 젠킨스가 제시한 체계적인 미디어 교육의 핵심 역량은 미디어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개발해야하는 온라인 미술관의 향후 방향성에 대한 기준점이 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국내·외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살펴보고 온라인 미술관 교육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온라인 미술관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어떠한 기준점에 따라 개발해야하는지, 젠킨스의 미디어 교육 핵심역량에 따라 분석하였다.
  • 젠킨스가 제시한 뉴미디어리터러시 핵심 역량에 따라 국내와 국외 온라인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젠킨스가 제시한 핵심 역량 11가지를 비슷한 내용의 요소끼리 묶고, 불필요한 역량은 생략하여 Table 2와 같이 총 6가지의 기준을 세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과 네트워크 기술은 기존 미디어의 개념에서 무엇으로 확장되는가? 디지털과 네트워크 기술은 기존 미디어의 개념에서 뉴미디어로 확장되며 우리 사회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21세기의 웹(Web)은 ‘참여’와 ‘공유’, ‘개방’이라는 개념을 덧붙여 소비자와 생산자의 구분을 무의미하게 만들었다.
21세기의 웹의 특징? 디지털과 네트워크 기술은 기존 미디어의 개념에서 뉴미디어로 확장되며 우리 사회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21세기의 웹(Web)은 ‘참여’와 ‘공유’, ‘개방’이라는 개념을 덧붙여 소비자와 생산자의 구분을 무의미하게 만들었다. 웹에서는 누구든 쉽게 정보를 찾고, 공유하고 수정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게 되었다.
웹 환경을 미술관들은 어떻게 이용했는가? 웹에서는 누구든 쉽게 정보를 찾고, 공유하고 수정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미술관들은 비형식교육의 대표적 기관으로서 온라인 미술관을 개관하였다. 웹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 J. Park. (2007). A study on the origin and spatial form of the virtual museum. Journal of Contemporary Art, 11, 245-280. 

  2. S. J. Kim & H. W. Lee. (2016). Museum of artists.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19(4), 89-106. 

  3. J. Y. Yeon & H. S. Chae. (2019).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the museum online distance educatio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Research, 14(2), 77-99. 

  4. I. A. Kang & Y. K. Seol. (2010).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virtual museums as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Korean Contents Society, 10(4), 458-470. 

  5. I. A. Kang, H. M. Lee & Y. S. Kim. (2015). Teaching examples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using an online museum: focusing on contextual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Plastic Arts Education, 56, 1-34. 

  6. I. A. Kang. (2010). A look at the integrated grafting of virtual museums an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Plastic Arts Education, 37, 1-29. 

  7. B. Y. Choi. (2008).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in art museums and online education programs through analysi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M. A.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8. S. M. Park. (2014). Analyzing cyber museums and museums and researching their use in elementary classes: focusing on the constructivist approach. M. A. thesis. Kyungin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9. H. Jenkins. (2006).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MacArthur Education. https://www.macfound.org/media/article_pdfs/ JENKINS_ WHITE _PAPER.PDF. 

  10. S. H. Kwon & S. M. Kim. (2011). Reconceptualization of digital literacy in the social media era: focusing on Jenkins' convergence culture. Media and Education, 1(1), 65-82. 

  11. Arts Management Support Center. (2015). 2015 Private Museum Cultural and Education Program Support Project: Evaluation Committee Recommendations and Program Reviews. http://www.gokams.or.kr/artnews_upload/%EC%82%AC %EB%A6%BD%EB%AF%B8%EC%88%A0%EA%B4%8 0%2020160225.pdf 

  12.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pril. 30, 2020). View online art galleries and collections. https://www.mmca.go. kr/main.do 

  13. National Museum of Korea. (April. 30, 2020). Online VR exhibitions. https://www.museum.go.kr 

  14. Sabina Museum of Art. (April. 30, 2020). Introduction to Sabina Museum, education of digital museums, exhibition tours and archives. https://www.savinamuseum. com 

  15. Bormsan Museum of Art (April. 30, 2020). Dance songs and training materials from the Strategic Institute. https://www.boroomsan.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