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
The gratitude disposition of geriatric hospital employees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gratitude diary experienc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9, 2020년, pp.351 - 358  

박순명 (한국도로공사 인재개발원) ,  김자옥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자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설문지는 감사일기와 관련된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는 4개의 노인요양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총 485부를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6.0을 이용하여 단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요양병원 근무자들의 감사성향은 감사일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사성향은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p<.01). 그러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근무자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노인요양병원 인력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of geriatric hospital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gratitude diary experience. A total of 485 copies of the research questionnaire were selected for workers in fou...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근무자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노인요양병원 인력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 요양병원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감사성향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노인요양병원 인력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노인요양병원 근무자들의 감사성향은 감사일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사성향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 반대로 직무만족도가 낮아지면 우울 등과 같은 부정적 감정상태가 높아지며 이는 업무 불만족, 정서적 갈등, 의욕 상실과 연결된다고 하였다[12].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노인요양병원 근무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독립변수로서 감사성향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그러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의의는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근무자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노인요양병원 인력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감사성향이 삶의 만족, 행복감, 자부심, 희망 등과 같은 긍정심리 변인들과 관계가 있다[17]. 이에 감사성향은 조직과 개인의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킨다는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직장에서의 직무만족과 개인적인 삶의 만족에도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사일기란 무엇인가? 감사일기는 말 그대로 감사를 주제로 한 일기로, 일상생활에서 경험한 감사의 내용을 간단하게 글로 적는 것을 의미한다. Emmons & McCullough(2003)은 후천적으로 감사를 더욱 풍부하게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매일 감사한 일을 적어볼 것을 권하고 있다[10].
구성원의 직무만족이 낮게되면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가? (2003) 은 구성원의 직무만족이 높으면, 개인과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반대로 직무만족도가 낮아지면 우울 등과 같은 부정적 감정상태가 높아지며 이는 업무 불만족, 정서적 갈등, 의욕 상실과 연결된다고 하였다[12].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노인요양병원 근무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독립변수로서 감사성향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내재적 만족과 외재적 만족이란 무엇인가? Porter & Steers(1973)는 직무만족을 내재적 만족과 외재적 만족으로 나누었다. 내재적 만족이란 직무의 난이도, 도전성, 중요성, 다양성, 동료 관계 등 직무의 내재적 가치에서 갖게 되는 만족감이며, 외재적 만족이란 보상, 환경, 승진 등 직무수행 결과에 따라 직무 이외의 보상 요인에서 갖게 되는 만족이다[11]. Stewart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May 06, 2020,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HIRA43&vw_cdMT_ZTITLE&list_id354_MT_DTITLE&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2020. 

  2. M. S. Song. (2013).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mpowerment,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5), 2304-2314. 

  3. S. G. Lim & H. B. Lee. (2019).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out-of-pocket maximum on health care utilizations in Nursing Hospital Patients. The Korea Social Security Association, 35(1), 129-149. 

  4. Emmons, R. A. & Crumpler, C. A. (2000). Gratitude as human strength: Apprasing the evidenc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9, 56-69. 

  5. Weiner, B. (1985). An attributional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92, 548-573. 

  6. McCullough, M. E., Emmons, R. A. & Tsang, J. A. (2002). The grateful disposition : A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1), 112-127. 

  7. K. H. Lim. (201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gratitude disposition scale.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1(1), 1-17. 

  8. T. S. Eom, B. S. Choi & Y. S. Seung. (2013). The effects of gratitud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mediating role of gratitude disposition. Korean Academy of Leadership, 4(2), 3-25. 

  9. T. S. Eom & W. S. Kang. (2015). The influence of gratitude campaign on the individual happiness and group cohesivenes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grateful disposition. Oughtopia, 30(2), 315-342. 

  10. Emmons, R. A. & McCullough, M. E. (2003).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2), 377-389. 

  11. Porter, L. W. & Steers, R. M. (1973).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Psychological Bulletin, 80(2), 152-176. 

  12. Stewart, W. E., Ricci, J. A., Chee, E., Hahn, S. R. & Morganstein, D. (2003). Cost of lost productive work time among US workers with depress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 289(31), 35-44. 

  13.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2), 134-143. 

  14. Diener, E., Emmons, R. A., Larso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15. S. Sol & K. H. Suh. (2014). Relationships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2), 619-635. 

  16. S. N. Son, J. Y. Park & K. H. Suh. (2015). Relationships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feeling of happiness among female workers: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job attitude,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3(4), 215-223. DOI: 10.17547/kjsr.2015.23.4.215 

  17. Watkins, P. C., Woodward, K., Stone, T. & Kolts, R. L. (2003). Gratitude and happines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gratitude, and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1, 431-452. 

  18. S. J. Kwon, K. H. Kim & H. S. Lee. (2006).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Gratitude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1), 177-190. 

  19. Y. M. Lee. (2008). Facet-based and facet-only job satisfaction measure in Korea.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15(4), 147-185. 

  20. J. T. Choi. (2016). The impa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1. M. H. Jo & K. H. Cha. (1998). International comparison on Quality of life. Seoul: Jipmoondang. 

  22. K. J. Son.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Job Satisfaction of New Employees: Moderating Effect of Self-Express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6), 559-578. 

  23. Y. J. Kim. (2014). Type of Coping with Stress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5(3), 29-39. DOI: 10.15207/JKCS.2014.5.3.029 

  24. Y. S. Kwon. (2019). The moderating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appin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2), 105-112. DOI: 10.15207/JKCS.2019.10.2.105 

  25. E. H. Lee, J. Y. Kim, J. Y. Jang & J. N. Byun. (2017). The Effects of Gratitude Diary Activities on Happinessand Gratitude Disposition among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4), 907-917.DOI : 10.14257/MJMAHS.2017.04.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