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온라인 학습 태도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온라인 간호교육의 융합적 관점에서
Factors affecting Attitudes and Digital Literacy toward Online Learning of Nurs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9, 2020년, pp.367 - 374  

김시숙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의 온라인 교육 태도 및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국내 의료기관 내·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90명으로 일반적 특성과 인터넷 사용 특성, 온라인 학습 태도와 디지털 리터러시를 조사했다. 본 연구 결과, 온라인 학습태도와 디지털 리터러시는 인터넷에 대한 접근성, 유용성, 중요성 인식과 관련성이 있었다. 온라인 학습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근무병원 규모, 인터넷에 대한 유용성과 중요성 인식이었고,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나이, 직위, 인터넷에 대한 유용성과 중요성, 온라인 학습 태도였다. 온라인 간호교육 개발에는 인터넷 사용에 대한 인식과 온라인 학습 태도 및 디지털 리터러시와 같은 학습자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and digital literacy toward online learning of nurse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from 190 nurses working in hospital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nline learning attitude were gender, working hospital size, and perceptions of in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온라인 학습 태도 및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근무환경 및 온라인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교육 개발에 근거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온라인 학습 태도 및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4% 정도로 높지 않았는데[16] 앞으로의 온라인 간호교육 개발에는 효과적인 적용과 활성화를 위한 대안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온라인 교육 태도 및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온라인 간호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에게 온라인 교육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간호사에게 온라인 교육은 교대 근무에 따른 시간과 장소의 제약, 참석인원의 제한, 근무 병행과의 어려움, 강의시간 과중 등 현장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시·공간적 유연성과 스마트 기기와의 연동으로 최신 임상 자료에 대한 신속한 접근과 전달이 가능해지면서 온라인 간호학습은 직접 간호 시간 확보와 양질의 간호제공에 있어 교육의 비용 효율성이 높다[1, 2].
정보통신 기술의 고도화가 간호사를 포함한 온라인 학습자에게 도전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반면 정보통신 기술의 고도화는 간호사를 포함한 온라인 학습자에게 도전이 될 수 있다. 인터넷 프로그램의 호환성, 불량한 음질, 인터넷 연결과 같은 기술적인 문제들은 교육에 방해가 되며[3] 새로운 학습방법에 대한 부담이나 저항으로 본격적인 학습 궤도에 이르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4]. 예를 들어 간호사의 컴퓨터 사용 및 인터넷 접근성은 온라인 간호학습에 대한 태도와 관련되며 간호사가 근무하는 병원이 도심에서 멀리 위치할수록 온라인 학습에 대한 요구도는 높아질 수 있다[5].
온라인 간호학습이 간호 시간 확보와 양질의 간호제공에 있어 교육의 비용 효율성이 높아지게된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사에게 온라인 교육은 교대 근무에 따른 시간과 장소의 제약, 참석인원의 제한, 근무 병행과의 어려움, 강의시간 과중 등 현장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시·공간적 유연성과 스마트 기기와의 연동으로 최신 임상 자료에 대한 신속한 접근과 전달이 가능해지면서 온라인 간호학습은 직접 간호 시간 확보와 양질의 간호제공에 있어 교육의 비용 효율성이 높다[1, 2]. 빠르게 변화하는 보건의료 환경과 의료 기술의 발전 속에서 간호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높아지고 있어 병원 간호사들에게 온라인 간호교육은 실무정보에 대한 신속한 업데이트와 다양한 전문 지식을 제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 H. Kim & H. Park. (2019). Effects of Smartphone-Based Mobile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sian nursing research. DOI:10.1016/j.anr.2019.01.005 

  2. X. V. Wu, Y. S. Chan, K. H. S. Tan & W. Wang. (2018). A systematic review of online learning programs for nurse preceptors. Nurse Education Today, 60, 11-22. DOI: 10.1016/j.nedt.2017.09.010. 

  3. C. McGuinness & C. Fulton. (2019). Digital Literacy in Higher Education: A Case Study of Student Engagement with E-Tutorials Using Blended Learning.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Innovations in Practice, 18(1), 1-28. 

  4. M. E. Lahti, R. M. Kontio & M. Valimaki. (2016). Impact of an e-Learning Course on Clinical Practice in Psychiatric Hospitals: Nurse Managers' Views.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52(1), 40-48. DOI:10.1111/ppc.12100 

  5. W. Xing, L. Ao, H. Xiao, L. Cheng, Y. Liang & J. Wang. (2018). Nurses' Attitudes toward, and Needs for Online Learning: Differences between Rural and Urban Hospitals in Shanghai, East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5(7), 1495. DOI:10.3390/ijerph15071495. 

  6. Y. Eun, H. S. Kang & M. Y. Jeon. (2016). Survey o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Requirements according to Practical Experience of Nurses at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3(3), 197-205. DOI:10.5953/JMJH.2016.23.3.19 

  7. K. McCutcheon, M. Lohan, M. Traynor & D. Martin. (2015). A systematic review evaluating the impact of online or blended learning vs. face-to-face learning of clinical skills in undergraduate nurse educ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1(2), 255-270. DOI:10.1111/jan.12509 

  8. D. D. Prior,J. Mazanov, D. Meacheam, G. Heaslip & J. Hanson. (2016). Attitude, digital literacy and self efficacy: Flow-on effects for online learning behavior.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9, 91-97. DOI:10.1016/j.iheduc.2016.01.001 

  9. W. Ng. (2012). Can we teach digital natives digital literacy? Computers & education, 59(3), 1065-1078. DOI:10.1016/j.compedu.2012.04.016 

  10. K. Nelson, M.Courier & G. W. Joseph. (2019). An investigation of digital literacy needs of students.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22(2), 2. Available at: https://aisel.aisnet.org/jise/vol22/iss2/2 

  11. S. Kwon & S. Hyun. (2014).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of middle-aged people in online learning. Korea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8(1), 120-140. DOI:10.14400/JDC.2018.16.12.109 

  12. C. M. Tang & L. Y. Chaw. (2016). Digital Literacy: A Prerequisite for Effective Learning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14(1), 54-65. 

  13. V. McCleary-Jones. (2016).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health literacy in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or, 41(2), 93-97. DOI:10.1097/NNE.0000000000000204 

  14. J. E. Cha & H. J. Kang. (2020). Effects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Education Combined with Online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Prepar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2(1), 433-446. DOI:10.37727/jkdas.2020.22.1.433 

  15. Y. H. Seo & M. R. Eom. (2017). The Effects of Clinical Nursing Practicum Education using On-line Nursing Education Contents: Focused on Clinical Nursing Practicum of Special Uni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5), 539-556. DOI:10.22251/jlcci.2017.17.15.539 

  16. M. S. Kim, H. K. Jung, S. M. Kim & M. H. Kim. (2016). Perceptions and Intention to Use of Smart-based Continuing Nurse Education among Nurse Education Managers and Staff Nurses. Journal of The Korea Soci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1(3), 307-317. DOI:10.21032/jhis.2016.41.3.307 

  17. S. S. Kim & J. H. Song. (2020). Study on the Educational Needs for Nursing the Older Patients.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n.d.) Process of t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WHO[Online]. Retrieved April 27, 2020, from https://www.who.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translation/en/ 

  19. F. D. Davis.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DOI:10.2307/249008 

  20. M. J. Lee. (2019). Nurses'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ay for Nursing Career Ladder System in General Hospital.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4(3), 61-71. 

  21. C. S. Chang, E. Z. F. Liu, H. Y. Sung, C. H. Lin, N. S. Chen & S. S. Cheng. (2014). Effects of online college student's Internet self-efficacy on learn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51(4), 366-377. DOI:10.1080/14703297.2013.771429 

  2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KOSIS). (2018). Statictical Database. Statistics Korea. [Online]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parentIdI.1;I2.2;164_12005.3;#SelectStatsBoxDiv 

  23. J. I. Ahn & Y. K. Seo. (2014). An Analysis of Sub-factors of Digital Media Literacy Divide : Focusing on the effects of generation and economic statu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2), 69-78. 

  24. C. Mather & E. Cummings. (2017). Modelling digital knowledge transfer: nurse supervisors transforming learning at point of care to advance nursing practice. Paper presented at the Informatics. 

  25. RI. odriguez-de-Dios, J. J. Igartua & A. Gonzalez-Vazquez. (201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igital literacy scale for teenagers.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chnological Ecosystems for Enhancing Multiculturality, (pp. 1067-1072), Salamanca, Spain.: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DOI:10.1145/3012430.3012648 

  26. S. Shin & H. L. Seung. (2019).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ity Verification of a Measurement Tool for Digital Literacy fo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7), 749-768. DOI:10.22251/jlcci.2019.19.7.74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