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딴짓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other behaviors taken by Nursing student during online lectur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9, 2020년, pp.433 - 441  

최은영 (조선간호대학교 간호학과) ,  윤지영 (예수대학교 간호학부) ,  박신영 (조선간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딴짓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2020년 4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 작성을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SPSS 26.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딴짓은 흥미도(r=-17, p=.003), 이해도(r=-19, p=.001), 필요도(r=-12, p=.031), 학습동기(r=-12, p=.046), 자기조절효능감(r=-11, p=.040), 학습자신감(r=-14, p=.017), 강의만족도(r=-22, p<.001), 강의몰입(r=-24,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학습자신감(β= -.20), 토론 및 발표선호정도(β= .19), 강의몰입(β= -.15), 강의만족도(β= -.15)이 딴짓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F=9.95, p<.001), 모형의 설명력은 10.6%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수업에 있어 간호대학생의 딴짓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수학습방법 및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other behaviors taken by nursing students during online lectures. The study subjects were 304 nursing students in three universitie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pril 20 and 30, 2020, using by completing structured self report que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비동시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딴짓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학습자신감, 토론 및 발표 선호, 강의몰입, 강의만족이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간호대학생의 딴짓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임을 확인함으로써 비동시 온라인 수업 시 딴짓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강의만족도, 강의몰입과 딴짓 정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딴짓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비동시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 참여한 수업 시 일어나는 딴짓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동일한 과정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였다고 하더라도, 학습자의 학습태도에 따라 학습성과 및 학업성취도 달성 정도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비동시 동영상 강의를 수강하는 간호대학생의 딴짓 정도, 학습태도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이므로, 이에 본 연구자는 비동시 동영상 강의를 수강하는 간호대학생의 딴짓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그러나 다중적인 스트레스에 직면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이 온라인수업을 수강하는 동안의 학습태도, 주의집중정도 및 딴짓의 영향요인에 대한 평가는 아직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비동시 온라인 동영상 수업을 수강하는 동안 간호대학생의 딴짓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임상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포스트코로나 뉴노멀시대의 언택팅(Untacting)교육에 대처하고자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동시적 온라인 수업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온라인 수업의 다양한 방법 중 비동시적 온라인 수업은 교수자가 동영상 강의를 사전에 제작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온라인 교수학습방법이다[6]. 이러한 교수학습법은 교수자에게는 예상하지 못한 사고 발생 시 여유롭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에게는 시공간의 제약없이 학습하며, 필요 시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는 자율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온라인 수업 동안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이러한 자율성은 오히려 학습자의 학습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되기도 한다[7]. 비동시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교수자와 학습자간 즉각적인 쌍방향 의사소통에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데, 수업을 수강하는 학습자가 사전제작된 온라인 수업을 틀어만 놓고 집중하지 않으면서 게임이나, 유튜브, 문자 보내기 등 학습과 관련 없는 또 다른 행동, 즉, ‘딴짓’을 하여도 교수자는 즉각적으로 파악 할 수 없다[8]. 또한 대면 강의에 비해 교수자의 준비가 부족하거나, 학습자의 학습동기가 저하된 경우에 학습자가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한다[7]. 학습의 주체가 되는 학습자가 동영상 강의를 시청하는 동안 자기통제의 학습태도를 바탕으로 제대로 된 학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확인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결과, 교수자와 학습자, 동영상 강의를 수강하는 학습자 간 수업격차를 발생시키며, 나아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달성 및 학습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9].
간호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간호교육의 목표는 전문적인 실무기술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바탕으로 대상자에게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사를 양성하는 것이다[3]. 간호교육의 목표에 부합한 간호인을 양성하기 위해 각 대학은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간호교육의 중심인 간호대학생 역시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비동시적 온라인 수업은 무엇인가? 코로나19의 위기상황에서 운영되는 온라인 수업의 실시간 쌍방향 수업, 비동시적 온라인 강의를 활용한 수업, 비동시적 온라인 강의의 컨텐츠와 원격 토의 등의 활동을 혼합한 블렌디드 수업, 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른 과제 수행 중심 수업 외에도 환경 및 교수자의 자질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1]. 온라인 수업의 다양한 방법 중 비동시적 온라인 수업은 교수자가 동영상 강의를 사전에 제작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온라인 교수학습방법이다[6]. 이러한 교수학습법은 교수자에게는 예상하지 못한 사고 발생 시 여유롭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에게는 시공간의 제약없이 학습하며, 필요 시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는 자율성을 제공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inistry of Education. (2020). Standard plan for systematic distance learning [Online].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 94&lev0&statusYNW&smoe&m0204&opTypeN& boardSeq80131. 

  2. J. Y. Park. (2020). A Study of University Online Education Rapidly prompted by COVID19.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ing , 60(7), 32- 36. 

  3. K. Y. Song, H. J Park, H. A Yeom, J. E. Lee, G. E. Joo & H. J. Kim. (2012).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ew Educational Program, Introduction to Clinical Nursing, for Third Yea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3), 322-333. DOI : 10.7739/JKAFN.2012.19.3.322 

  4. C. Jimenez, P. M. Navia-Osorio & C. V. Diaz. (2010) Stress and health in novice and experience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3), 442-455. DOI: 10.1111/j.1365-2648.2009.05183.x 

  5. M. W. Kim, J. M. Park & A. K. Han. (2011). Analysis of Curriculum of 4- year Nursing School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414-423. DOI : 10.5977/JKASNE.2011.17.3.414 

  6. H. D. Song & K. S Kim. (2010).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tegrative Assessment Framework for Analyzing Interaction in Asynchronous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Competency Development & Learning, 5(3), 19-37. 

  7. J. H. Kong, M. J. Park, Y. J. Yun, H. Y. Choi, S. W. Park & K. S. Cho. (2014). Study on e-Learner's Attention improvements. Jourm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353-356. 

  8. S. Y. Kim & N. M Shin. (2019). A study on online learner's 'other behaviors' and flow: comparing adolescents with adults.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5(2), 273-298. 

  9. E. S. Park, Y. K. Woo, J. Y. Cha, Y. H. Park & J. Y. Yun. (2018). A study of interaction usability to prevent breakaway while watching E-learning. Jourm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788-791. 

  10. Y. J. You. (2011). The Influence of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Student's Learning Attitude on Peer Relationship and Class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25), 71-86. 

  11. M. J. Sim & H. S. Oh. (2012). Influence of self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12(6), 328-337. 

  12. A. Jo & S. Z. Roh. (2013).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Learning Attitude, Academic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Cyber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29(4), 849-879. 

  13. S. N. Park & Y. S. Im. (2018). Utilizing Video vs Simulation Practice for Handoff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in Pediatric Nursing.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4(1), 27-36. DOI : 10.4094/chnr.2018.24.1.27 

  14. J. E. Cha & H. J. Kang. (2020). Effects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Education Combined with Online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Prepar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2(1), 433-446. 

  15. S. Y. Kim. (2020). A study on online learner's distraction and flow: comparing adolescents with adults groups. Master's thesis. Don Gguk University, Seoul. 

  16. E. H. Chang & S. H. Park. (2017). Effects of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s : Focusing on Foley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1), 118-127. 

  17. A. Bandur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DOI: 10.1037/0003-066X.37.2.122 

  18. A. Y. Kim & I. Y. Park. (2001).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1), 95-123. 

  19. E. J. Jung & J. D. Duck.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ecture Satisfaction, Positive Self Concept, and Class Attitud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3(2), 447-465. 

  20.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Experiencing flow in work and play]. San Francisco/Washington/London.: Jossey Bass. 

  21. Y. S. Song, S. H. Oh, E. M. Kim, E. Y. Na, H. S. Jung & S. R. Park. (2009]). Media User Patterns of Adolescents in a Multimedia Environment: An Assessment of Gender and Income Differences.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46(2), 33-65. 

  22. J. S. Yim, J. M. Yoon & E. J. Jo. (2014). Uses of Media across Daypart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Weekdays/Weekend.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21(2), 144-168. 

  23. S. H. Kim & S. Y. Park. (2014). Factors Influencing on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3), 1557-1565. 

  24. S. E. Kim. (2016). An Effect of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es Majoring in Nursing Science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1), 594-604. 

  25. B. M. Yu, S. W. Kim, S. Y. Park & H. J. Park.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Learning Flow and Internet Addiction on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 Th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1(1), 1-25. 

  26. K. H. Lew. (2017). The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0), 462-470. 

  27. S. J. Lee, H. J. Shin & J. H. Lee. (2014). The Relationships of Academic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net Addiction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2), 349-374. 

  28. S. H. Park & H. N. Yoo. (2020). Effects of Mentoring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before their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12(1), 109-116. 

  29. M. Y. Moon. (2017).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tyl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4), 665-675. 

  30. M. h. Yeom. (2018). Critical Reflection on Community Development and the Role of Universiti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6(5), 385-417. 

  31. S. K. Yoon, Y. K. Han, S. H. Im & H. Y. Kim. (2015).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College and Major Selection.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2(2), 87-1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