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흡입화상으로 유발된 만성 기관지염의 태음인 마황정천탕(麻黃定喘湯)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Inhalation Injury Induced Chronic Bronchitis Treated with Taeeumin Mahwangjeongcheon-tang 원문보기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32 no.3, 2020년, pp.64 - 71  

오승윤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곽시라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report an improved case with Taeeumin Mahwangjeongcheon-tang on the patient with chronic bronchitis caused by an inhalation injury. Methods The patient had been suffered from cough, sputum, dyspnea, and chest discomfort for 15 years. He was diagnosed as Taeeumin Esophageal Cold Pattern...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만성 기관지염 및 기관지확장증 등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증상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 향상과 병의 진행을 막는 것을 목표로 한다4.
  • 太陰人病證論에서 太陰人證 哮喘病에 사용된 처방으로2), 본 증례에서는 흡입화상으로 인하여 발생한 만성 기침, 가래, 천명, 호흡곤란, 흉부 불편감 등의 증상 개선 목적으로 사상체질의학적 변증 후 투여되었다. 증례의 환자는 15년 이상의 만성 기관지염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원 전 폐렴으로 타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는 등 양약 투여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었으나, 한방치료 후 주소증이 개선되고, 치료 전후 환자의 폐기능 검사와 호흡 기능 관련 삶의 질 설문지등 객관적인 검사로 유의한 변화를 확인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3) 갈증: 입이 말라서 물을 자주 마신다.
  • 3) 과거력, 가족력: 특이사항 없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입화상 후유증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흡입화상은 대개 열 손상 혹은 독성 연소물질의 흡입에 의해 나타나는 호흡기계 손상으로, 호흡기계의 침범부위 및 손상 정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호흡기 합병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흡입화상의 후유증으로 기관지 확장증, 폐쇄성 세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및 반응성 기도과민 증후군, 기관 협착 등이 발생할 수 있다1,2.
흡입화상은 무엇인가? 흡입화상은 대개 열 손상 혹은 독성 연소물질의 흡입에 의해 나타나는 호흡기계 손상으로, 호흡기계의 침범부위 및 손상 정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호흡기 합병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흡입화상의 후유증으로 기관지 확장증, 폐쇄성 세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및 반응성 기도과민 증후군, 기관 협착 등이 발생할 수 있다1,2.
한의악에서 만성 기관지염은 어떤 범주에 해당되는가? 한의학적으로는 咳嗽, 痰飮, 喀痰, 喘促의 범주에 해당되며, 脾肺腎 三藏의 병변으로 발전하면 脾虛痰濁型, 肺腎陰虛型, 肺腎陽虛型의 咳嗽로 구분되기도 한다. 임상에서는 호흡기 질환의 증상과 변증에 따라 다양한 처방들이 활용되고 있으나, 기관지 천식과 만성 기침과 관련한 처방 중에서는 麥門冬湯5을 비롯하여 淸上補下湯, 解表二陳湯, 蘇子降氣湯 등에 관한 연구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lutzker AD, Kinn R, Said SI. Bronchiectasis and progressive respiratory failure following smoke inhalation. Chest. 1989;95:1349-50. 

  2. Tasaka S, Kanazawa M, Mori M, Fujishima S, Ishizaka A, Yamasawa F, et al. Long-term course of bronchiectasis and bronchiolitis obliterans as late complication of smoke inhalation. Respiration. 1995;62:40-42. 

  3. Heath JM, Mongia R. Chronic bronchitis: primary care management. Am Fam Physician. 1998;57(10):2365-72. 

  4. Polverino E, Goeminne PC, McDonnell MJ, Aliberti S, Marshall SE, Loebinger MR, et al. European Respiratory Society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dult bronchiectasis. Eur Respir J. 2017;50(3):1-23. 

  5. Kim KI, Shin SW, Lee NR, Lee BJ, Lee JH, Lee HS. A traditional herbal medication, Maekmoondong-tang, for coug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Ethnopharmacol. 2016;178:144-54. DOI: 10.1016/j.jep.2015.12.005. 

  6. An JJ, Lim SM, Choi BR, Song GC, Kim MH, Kim YS, et al. A case study of Chronic Coughing patient with the Pontine Infarction. J Oriental Chr Dis. 2003;9(1):50-55. (Korean) 

  7. Jung YJ, Yang WM. Analysis of Korean Medical status of Acute Bronchitis, Chronic Bronchitis and Allergic Rhinitis patients. J Korean Med. 2019;40(3):87-98. (Korean) 

  8. Lee EJ. Review of Bronchopneumonia and Soeumin's Cough. J Sasang Constitut Med. 2001;13(3):126-133. (Korean) 

  9. Kim KT. Case Report of Acute Bronchitis Treated with Dojukgangki-tang. J Int Korean Med. 2018; 39(5):1068-1074. (Korean). DOI: 10.22246/jikm.2018.39.5.106 

  10. Kim JH, Kim HW, Song JM. A Case Study of 3 Asthma Patients-Soeumin, Soyangin, Taeumin. J Sasang Constitu Med. 2002;14(1):112-117. (Korean) 

  11. Han DY, Yun WY, Song HS, Heo JB, Kim DR, Jeon JW. A Case Study of the Taeumin Bronchiectasis, Wrong Diagnosis as Soyangin. J Sasang Constitut Med. 2004;16(3):124-128. (Korean) 

  12. Lee KR, Lee SG, Song JM. A Case Study of Chronic Cough of Taeumin throuth the Change Process of Sweating. J Sasang Constitut Med. 2004;16(3):139-142. (Korean) 

  13. Kim DR, Kim SH, Seo YG. A Clinic Study of the Treatment for Asthma in Taeumin with RBBB(Right Bundle Branch Block). J Sasang Constitut Med. 2007;19(3):293-299. (Korean) 

  14. Park SJ, Choi NR, Kim K, Yoo JH, Lee SW, Joo JC. Clinical Trial of Herbal Medicine Formula Mahwangjeongcheon-tang on Patients with Asthmatic Symptom: A Preliminary Study. J Sasang Constitut Med 2013;25(4):373-383. (Korean). DOI: 10.7730/JSCM.2013.25.4.373 

  15. Park GY, Park JW, Jeong DH, Jeong SH. Prolonged airway and systemic inflammatory reaction after smoke inhalation. Chest. 2003;123(2):475-80. 

  16. Lee JH, Lee EJ.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aeeumin and Taeyang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iagnosis and Algorithm. J Sasang Constitut Med. 2015;27(1):13-41. (Korean) 

  17. Rho GH, Kang KS, Cho, KH, Kim YS. Relation between Capacity Change of Ephedrae Herba and Sputum Secretion in Two Stroke Patients with High Levels of Sputum. J Korean Oriental Med. 2001;22(1):96-103. (Korean) 

  18. Park CS, Han SH.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Jungchuntang. J Int Korean Med. 1996;17(1):175-192. (Korean) 

  19. Son CG, Seol IC. The Experimental study of Jung chun-tang on Allergies. J Korean Oriental Med. 2003;24(3):65-71. 

  20. Chou YS, Seo JC, Lim SC, Jung TY, Han SW. Effect of Ephedrae Herbal Acupuncture Solution(EHS) on the Release of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TARC) in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05;22(1):23-32. (Korean) 

  21. Choi JK, Paek DM, Lee JO. Normal predictive values of spirometry in korean population. Tuberc Respir Dis. 2005;58:230-242. (Korean) 

  22. Kim OY, Cho JS, Lee HM, Park SJ, Park HS. A Case of Taeeum-in Hangwol Symptomatology Patient who Showed Improvement with the Handayeolso-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09;21(3):202-208.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