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충족 의료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met Healthcare Needs on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9, 2020년, pp.283 - 290  

이정욱 (신라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충족 의료 경험과 삶의 질 관련 측정지표 간 인과관계를 실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두 변수간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의 부가조사 원자료를 가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삶의 질과 관련된 측정지표로는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 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의 6개 변수를 투입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미충족 의료 경험은 본 연구에 투입한 6가지의 삶의 질 하위변수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β값을 활용해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검토한 결과 통증/불편, 주관적 건강상태, 불안/우울, 일상 활동, 운동능력, 자기관리의 순으로 차별적 영향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해 삶의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미충족 의료에 대한 정책 대응방안으로서 보건과 복지의 실무 연계 강화와 관련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unmet healthcare needs and metrics related to quality of lif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the study conducted an analysis by processing additional irradiated raw materials of the Korean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아울러 그간의 미충족 의료 경험을 소재로 한 선행연구들은 광범위한 개념으로서 삶의 질과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데 다소 미흡한 부분도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미충족 의료 경험이 삶의 질과 관련된 다양한 하위변수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해 한국의료패널을 활용하여 이를 실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질과 관련된 측정지표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 두 변수간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의 부가조사 원자료를 가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삶의 질과 관련된 측정지표로는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 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의 6개 변수를 투입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미충족 의료 경험은 본 연구에 투입한 6가지의 삶의 질 하위변수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충족 의료 경험이란 무엇인가? ‘미충족 의료 경험’이란 용어는 이를 정의하는 학자마다 주관성이 반영되어 다소 모호하게 정의될 수 있는데, 대체로 ‘환자가 원하거나 의료전문가의 기준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하지만, 환자가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험’[1]을 의미한다. 이 같이 정의되는 미충족 의료 경험은 그간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그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실증적 근거를 밝혀내는 데 연구 역량이 집중되어왔다.
미충족 의료 경험과 삶의 질 관련 측정지표 간 인과관계를 실증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삶의 질과 관련된 측정지표로는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 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의 6개 변수를 투입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미충족 의료 경험은 본 연구에 투입한 6가지의 삶의 질 하위변수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β값을 활용해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검토한 결과 통증/불편, 주관적 건강상태, 불안/우울, 일상 활동, 운동능력, 자기관리의 순으로 차별적 영향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해 삶의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미충족 의료에 대한 정책 대응방안으로서 보건과 복지의 실무 연계 강화와 관련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Y. J. Shin, "Current Status and Policy Tasks of Unmet Medical Services", Healthcare Policy Forum, Vol. 12, No. 4, pp. 71-77, 2015. DOI: https://doi.org/10.14789/pjmj.58.472 

  2. S. R. Shin, "The Effect of Income Source on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the Elderly Household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Vol. 15, No. 1, pp. 129-155, 2019. DOI: http://doi.org/10.15790/cope.2019.15.1.129 

  3. T. H. Kim, C. Y. Kim, "The Effect of Household Debt on Unmet Medical need", Health Economy and Policy Studies, Vol. 24, No. 4, pp. 71-95, 2018. http://s-space.snu.ac.kr/handle/10371/137687 

  4. J. H. Kang, C. W. Kim, N. K. Seo, "Correlation of Unmet Healthcare Needs and Employment Status for a Population over 65 Years of Age", Korean Gerontology, Vol. 37, No. 2, pp. 281-291, 2017. 

  5. M. J. Park, "The Factors Affecting Unmet Medical Needs in Elderly by Using Korea Health Panel Data 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6, No. 2, pp. 1017-1030, 2014. 

  6. J. K. Park, "Factors influencing the unmet healthcare needs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Focusing on the 2017 Korean national survey o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0, No. 12, pp. 306-313, 2019. DOI: https://doi.org/10.37727/jkdas.2017.19.6.3317 

  7. C. H. Jeon, J. W. Kwak, M. H. Kwak, J. H. Kim, Y. S. Park,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healthcare needs of the older Korean population: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 19, No. 2, pp. 84-90, 2019. DOI: https://doi.org/10.15384/kjhp.2019.19.2.84 

  8. C. W. Son, S. J. Lee, J. N. Hwang, "Understanding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need for outreach community health service among older adults in Seoul",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39, No. 2, pp. 213-229, 2019. DOI: https://doi.org/10.31888/jkgs.2019.39.2.213 

  9. M. H. Choi, "Factors on the unmet medical needs of the homeless people and general population in Busa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21, No. 2, pp. 1031-1042, 2019. DOI: https://doi.org/10.37727/jkdas.2019.21.2.1031 

  10. J. W. Kim, H. J. Bae, "A study of the experience of unmet dental care needs among older adult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9, No. 1, pp. 365-389, 2019.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9.39.1.365 

  11. Y. R. Kim,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Unmet Medical Needs among Some Injury Pati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7, No. 12, pp. 535-543, 2019. DOI: https://doi.org/10.14400/JDC.2019.17.12.535 

  12. Y. K. Park, C. Y. Kim, S. S. Hwang, "Interaction Effects of Income and Unmet Healthcare Needs to Subjective Health Status: Using the Korea Health Panel, 2009-2014", Health and Social Sciences, Vol. 47, pp. 57-83, 2018. DOI : https://doi.org/10.21489/hass.2018.04.47.57 

  13. H. J. Lee, T. J. Lee, "Impact of Unmet Medical Need and Payment for Uncovered Services on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Health Economy and Policy Studies, Vol. 21, No. 3, pp. 55-79, 2015. 

  14. M. R. Kim,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Influence Factors of the Elderly in the Early and Late Period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58, No. 2, pp. 197-222,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