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시 열대야 대응 구역 설정을 위한 야간 찬공기 유동성 분석
Analysis of Nocturnal Cold Air Flow Characteristics for Setting of Tropical Night Response Zone in Daegu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3 no.3, 2020년, pp.220 - 235  

서보용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  이상범 ((주)도시환경연구소 라움) ,  권순범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  차재규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정응호 (계명대학교 지구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에서의 폭염발생은 기본적으로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받으나, 도시에서 발생하는 인공열 배출과 열축적이 큰 토지피복의 영향으로 더욱 가중된다. 특히 도시폭염의 영향은 야간 열대야 발생에도 직접적 영향을 준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주간의 폭염대응에 비해 열대야 대응수단 선택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를 대상으로 열대야 대응 방안으로 야간 찬공기 유동 특성을 분석하고 이의 공간적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찬공기 유동 분석 프로그램인 KLAM_21을 활용하여 대구시의 찬공기 유동의 공간적 특성인 찬공기 높이 및 유동범위와 유속 및 유동방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시 주변산지에서의 찬공기 생성, 유동은 매우 활발하나 열대야 발생지역인 도심지역으로 유입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시가지에서는 주변산지로부터 유입되는 찬공기 유동성이 매우 활발하여 열대야 대응에 매우 효과적인 공간적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공간적 조건을 도시계획적 차원에서 활용하면 열대야 대응방안 개발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at wave generation in cities is basically affected by global warming, but it is further exacerbated by the impact of artificial heat emission and heat accumulation in the city.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urban heat waves directly affect the occurrence of tropical nights. Basically, however, th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폭염 및 열대야 발생의 대표적 도시인 대구시를 대상으로 열대야 대응 및 완화 가능 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야간 찬 공기 유동성을 나타내는 찬 공기 높이 및 유동범위, 찬 공기 유속 및 유동방향에 대한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향후 공간계획 차원에서 열대야 완화를 위한 야간 찬 공기 유동성의 도입과 활용 및 관련 제도마련에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러한 야간시간대의 고온대기를 공간적으로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해 도시전체 찬공기의 공간적 유동성확보가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를 대상으로 열대야 현상 개선을 위한 공간적 대응구역 설정을 위한 야간 시간대 찬공기 높이 및 유동범위, 유속 및 유동방향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폭염 및 열대야 발생의 대표적 도시인 대구시를 대상으로 열대야 대응 및 완화 가능 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야간 찬 공기 유동성을 나타내는 찬 공기 높이 및 유동범위, 찬 공기 유속 및 유동방향에 대한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향후 공간계획 차원에서 열대야 완화를 위한 야간 찬 공기 유동성의 도입과 활용 및 관련 제도마련에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대야 관련 국내 연구의 실정은 어떠한가?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의 전 지구적 열대야 발생은 현재보다 약 6배 증가하여 폭염의 3배보다 더 많이 발생 할 것으로 전망되며,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2100년까지 우리나라 열대야 발생은 10년에 8일씩 증가하며, 특히 서울과 부산, 대구와 같은 대도시의 열대야 발생은 지금보다 9-10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그러나 열대야 관련 국내 연구는 대부분 기상·기후적 관점의 열대야 발생원인과 현상규명 위주로 진행되고 있으며, 열대야 대응 및 완화를 위해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방법론 개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열대야는 폭염에 비해 사회적·정책적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나 여름철 전체적인 폭염강도와 지속일을 증가시키는 직접적인 요인이기 때문에 열대야 대응 및 완화를 위한 실제적인 적용기법과 이의 활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Choi and Kwon, 2005).
도시에서의 폭염발생은 무엇에 의해 가중되는가? 도시에서의 폭염발생은 기본적으로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받으나, 도시에서 발생하는 인공열 배출과 열축적이 큰 토지피복의 영향으로 더욱 가중된다. 특히 도시폭염의 영향은 야간 열대야 발생에도 직접적 영향을 준다.
폭염과 열대야 발생은 도시와 농촌에서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그러나 폭염과 열대야 발생은 도시와 농촌지역에서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즉, 주간의 폭염은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양상을 보이나 야간의 열대야 발생은 도시지역이 농촌지역보다 매우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특성에 따라 표면온도 차이가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이는 토지피복의 열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 J.G., E.H. Jung, J.W. Ryu and D.W. Kim. 2007, Constructing a green network and wind corridor to alleviate the urban heat-islan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102-112. 

  2. Cha, J.G., T.Y. Choi, D.I. Kang and E.H. Jung. 2019, Analysis of the cold air flow in suwon for the application of urban wind corrido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2(4):24-38. 

  3. Choi, B.C., J.Y. Kim, D.G. Lee and K. Jan. 2007, Long-term trends of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for the major cities of South Korea and their implications on human health. Atmosphere 17(2):171-183. 

  4. Choi, G.Y, J.N. Choi and H.J. Kwon. 2005. The impact of high apparent temperature on the increase of summertime disease -related mortality in Seoul: 1991-2000.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8(3):285-290. 

  5. Choi, G.Y. and W.T. Kwon. 2005. Spatialtemporal patterns and recent changes of tropical night phenomenon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Geographical Society 40(6):730-747. 

  6. Eagleman, J.R. 1974. A comparison of urban climate modification in three cities. Atmospheric Environment 8:1132-1142. 

  7. Grunwald, L., M. Kossmann and S. Weber. 2019. Mapping urban cold-air paths in a Central European city using numerical modelling and geospatial analysis. Urban Climate 29:1-17. 

  8. Heo, I.H. and W.T. Kwon. 2007. Temperature change of recent 10 years(1996-2005) in Kore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2(2):79-93. 

  9.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R.K. Pachauri and L.A. Meyer (eds.)]. IPCC, Geneva, Switzerland, pp.151. 

  10. IPCC. 2018. Global warming of $1.5^{\circ}C$ . IPCC, Geneva, Switzerland 118-126. 

  11. Je, M.H and S.H. Jung. 2018. Urban Heat Island Intensity Analysis by Landuse Type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1): 9. 

  12. Jung, E.H. 2007. Wind corridor region setting and assessment for the improvement of air quality in deagu. Daegu environment technology development center. 07-2-80-81:1-85. 

  13. Jung, E.H. 2015. A study on the theory and cases of introducing urban planning for sustainable urban planning. Munundang, Seoul. p.32-39, p.64. 

  14. Jung, E.H., H.D. Kim, B.H. Rho, H.Y. Kim, J.H. Eum, J.W. Ryu, S.B. Lee and B.Y. Seo. 2019. Gyeongsangbuk-do Heatwave Climate Change Response and Overcome Measures. Gyeongsangbuk-do pp.57. 

  15. Kiese, O. 1988. Die Bedeutung verschiedenartiger Freiflachen fur die Kaltluftproduktion und die Frischluftversorgung von Stadten, Landschaft und Stadt 20 pp.67-71. 

  16. Kim, D.W., J.W. Ryu, J.G. Cha and E.H. Jung. 2013. Korea’s urban regeneration project on the improvement of urban micro climate: a focal study on the case og Changwon City. Global Journals of Human Social Sciences Research 13(1-B):27-38. 

  17. Kim, H.D. and H.Y. Kim. 2011. Mizukoshi. T; Yamashita. S; Author. Environmental climatology. Keimyung University Press. Daegu p.200. 

  18.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6. A Study on the Urban Area Microclimate Management Direction pp.24, pp.71-74. 

  1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Climate change forecast report on the Korean Peninsula. 11-1360000-000861-01 pp.6-15. 

  2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0. Average number of tropical nights. https://data.kmu.go.kr. (Accessed June 10, 2020). 

  21. Lee, W.S., S.G. Jung, K.H. Park and K.T. Kim. 2010. Analysi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Environment-Friendly Spatial Pl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42-154. 

  22. Landsberg, H.E. 1981. The urban climate. Int. Geophsics Series. Academic Press, New York, Vol28 pp.1-275. 

  23.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1. Prospects and impacts of new climate change scenarios. http://www.kma.go.kr/notify/press/kma_list.jsp?modeview&num1192151. (Accessed November 29, 2011). 

  24. Sachsen T., G. Ketzler, A. Knorchen and C. Schneider. 2013. Past and future evolution of nighttime urban cooling by suburban cold air drainage in Aachen, DIE ERDE 144(3-4):274-289. 

  25. Seo, B.Y. 2014. Comparison and Analysis of wind path formation depending on urban spacial Characteristics. Master Thesis, Keimyung University pp.1-2, pp.19, pp59-61. 

  26. Seo, B.Y. and E.H. Jung. 2017, Comparative analysis of wind flows in wind corridor based on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improve urban thermal environm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2):75-88. 

  27. Sievers, U. 2007, Das Kaltluftabflussmodell KLAM_21. Deutscher Wetterdienst 227:37. 

  28. Sievers, U. and Kossmann, M., 2016, The cold air drainage model KLAM_21 - Model formulation and comparison with observations. Weather and Climate 36:2 -24. 

  29. Song, B.G. and K.H. Park. 2012. Analysis of heat island characteristics considering urban space at nighttim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133-143. 

  30. Wang, H., Y. Zhang, J.Y. Tsou and Y. Li. 2017. Surface urban heat island analysis of Shanghai (China) based on the change of land use and land cover. Sustainability 9(9):1-22. 

  31. Weber, S. and W. Kuttler. 2004. Cold-air ventilation and the nocturnal boundary layer structure above an urban ballast facet. Meteorol. Z 13(5):405-4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