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 서비스 경험의 의료기관 이용자 특성별 차이와 입원만족도, 보건의료 제도 인식과의 관계
Nursing Service Experience according to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Relation with Satisfaction of Hospitalization and Perception of the Health Syste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9, 2020년, pp.672 - 680  

홍경진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의료기관 이용자의 특성과 입원 특성에 따른 간호사 서비스 경험의 차이를 확인하고 간호사 서비스 경험과 보건의료 제도 인식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의료서비스 경험조사'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입원 경험이 있는 574명의 응답자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에서는 입원 전 다른 의료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없는 자 중 10일 이상 입원하였던 대상자의 간호사 서비스 경험 평균이 1~3일, 4~9일 입원한 자의 평균보다 높았다. 반면, 입원 전 다른 의료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간호사 서비스 경험 평균이 낮았다. 입원실의 변경에 따른 구분에서는 다인실에서 변경이 없었던 대상자에게서만 입원일수에 따른 간호사 서비스 경험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또한 간호사 서비스 경험 평균이 높을수록 입원에 만족하는 군, 보건의료 제도에 대해 만족, 신뢰하는 군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입원 경험을 구분하여 간호사 서비스 경험을 해석하여야 하며 간호사 서비스 경험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간호사 서비스 경험의 영향요인을 밝힐 수 있도록 해당 조사에 간호사 배치수준과 같은 의료기관 특성 관련 사항을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in nursing service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service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the health system. It analyzed the data from a "Survey of h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 서비스 경험의 입원 특성과 경험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여 간호사서비스 경험 조사 결과 활용 시 주의할 점과 향후 연구에서 추가로 조사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전반적인 입원 만족도, 보건의료 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사의 존중하고 예의 바른 태도, 그리고 상세한 설명 등의 중요성을 보다 강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입원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 서비스 경험을 확인하고 간호사 서비스 경험이 전반적인 입원서비스 만족도, 보건의료 체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간호사 서비스 경험이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대상자의 입원일수 등의 입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므로 이에 대한 해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이나 입원 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사 서비스 경험의 차이를 확인하고, 간호사 서비스 경험이 전반적인 입원 만족도와 보건의료 제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2018년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원시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일반적 특성, 입원 특성에 따른 간호사 서비스 경험을 분석하고 그 차이를 확인하며, 입원만족도와 보건의료 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18년 수행하고 공개한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자료를 활용한 2차 자료 분석연구이다.
  • 이 결과를 통해 간호사 서비스의 제공 행태의 향상을 위한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입원을 경험한 대상자의 응답을 토대로 간호사 서비스의 경험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처럼 대상자의 입원 경험에 따라 간호사 서비스 경험에도 차이가 있을 수있기 때문에 대상자의 특성, 입원 경험과 관련된 다양한 특성을 간호사 서비스 경험 해석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 서비스 경험을 대상자 특성과 입원 경험의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고 의미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간호사로 인해 제공되는 간호 서비스와 전반적 입원만족도, 보건의료 제도 인식과의 관계를 확인한다면 이를 통해 간호사 서비스 향상의 중요성을 논의할 수 있는 근거가 될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 서비스 경험의 입원 특성과 경험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여 간호사서비스 경험 조사 결과 활용 시 주의할 점과 향후 연구에서 추가로 조사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전반적인 입원 만족도, 보건의료 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사의 존중하고 예의 바른 태도, 그리고 상세한 설명 등의 중요성을 보다 강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경험조사란 무엇인가?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의료기관 별로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고, 국가 차원에서도 의료서비스 경험에 대한 데이터 수집에 노력하고 있다. 환자경험조사는 환자만족도에 비해 주관성을 줄이고 의료의 질을 확인하기 위한 과정이자 도구로서, 보다 개선된 절차라고 볼 수 있다[4].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의료서비스는 일방향으로 제공하거나 제공받는 것이 아닌 환자가 의료서비스에 대해 잘 알고 적극적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인식이 변화하였고, 이에 따라 환자의 만족도를 의료서비스 향상에 활용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또한 환자를 수령인(recipient)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의료 서비스를 선택하고 소비하는 고객(customer)으로 보고 있고[1], 환자중심 의료서비스 제공(patient-centered care)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의료서비스 질의 척도로 인지하고 있는 상황이다[2].
의료서비스 경험조사에서 간호사 서비스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문항은 무엇인가? 의료서비스 경험조사는 조사구에 따른 층화집락추출방법을 통해 표본 설계를 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특성의 대상자들을 분석에 포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문항 내 간호사의 태도와 설명 여부 등 간호사에 의해 제공되는 간호, 즉 간호사 서비스 경험을 확인할 수 있는 문항도 포함되어 있어 간호사 서비스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D. Wagner and M. Bear,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 concept analysis within a nursing frame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5, No.3, pp.692-701, 2009. 

  2. J. H. Robinson, L. C. Callister, J. A. Berry, and K. A. Dearing, "Patient­centered care and adherence: Definitions and applications to improve outcom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Vol.20, No.12, pp.600-607, 2008. 

  3. OECD, OECD Health Policy Studies, Improving Value in Health Care: Measuring Quality, 2010. 

  4. 이수경, 조병희, "한국적 맥락을 고려한 환자만족도 조사도구의 이해-환자경험의 탐색을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제47권, pp.107-148, 2018. 

  5. 신정우, 조병희, 최보람, 신지영, 천미경, 이유진, 2018년도 의료서비스경험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6. https://www.kops.or.kr/portal/board/stat/board Detail.do?nttNo11559260722573, 2020.3.20. 

  7. 정상진, "일 지역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만족도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3094-3101, 2012. 

  8. 조성현, "입원환자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및 의료이용 특성과 환자만족불만족간의 관련성,"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3호, pp.535-545, 2005. 

  9. 한주랑, 안성희, "간호사만족이 병원성과에 미치는 영향-환자만족과 재방문의향, 타인추천의향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9호, pp.419-430, 2015. 

  10. 서영우, 박초열, 박영희, "의료서비스경험자의 보건의료제도 인식도와 영향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12권, 제4호, pp.59-72, 2018. 

  11. 황병덕, 김윤정, "병원과 종합병원의 환자중심 의료 서비스 제공 수준 평가-환자경험평가를 중심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12권, 제3호, pp.1-11, 2018. 

  12. R. A. Carr-Hill, "The measurement of patient satisfactio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4, No.3, pp.236-249, 1992. 

  13. H. Crow, H. Gage, S. Hampson, J. Hart, A. Kimber, L. Storey, and H. Thomas, "Measurement of satisfaction with health care: Implications for practice from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Vol.6, No.32, pp.1-244, 2002. 

  14. 이용재, "국민보건의료에 대한 민간의료보험의 영향 고찰: 의료서비스 이용만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200-208, 2014. 

  15. 황지인, 손인순, "환자특성에 따른 의료이용에 대한 환자만족도 비교," 간호행정학회지, 제13권, 제3호, pp.345-351, 2007. 

  16. 조명선, "의료서비스 이용경험이 환자 만족도와 병원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44권, 제4호, pp.349-358, 2019. 

  17. 이미애, "간호서비스 질에 대한 소비자와 제공자의 지각차이에 관한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31권, 제5호, pp.871-884, 2001. 

  18. A. Coulter, L. Locock, S. Ziebland, and J. Calabrese, "Collecting data on patient experience is not enough: they must be used to improve care," BMJ, Vol.348, g2225, pp.1-4, 2014. 

  19. J. M. Hockenberry and E. R. Becker, "How do hospital nurse staffing strategies affect patient satisfaction?," ILR Review, Vol.69, No.4, pp.890-910, 2016. 

  20. A. Kutney-Lee, M. D. McHugh, D. M. Sloane, J. P. Cimiotti, L. Flynn, D. F. Neff, and L. H. Aiken, "Nursing: A Key To Patient Satisfaction: Patients' reports of satisfaction are higher in hospitals where nurses practice in better work environments or with more favorable patient-to-nurse ratios," Health Affairs, Vol.28, No,3, pp.w669-w677, 2009. 

  21. 정수미, 윤숙희,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입원 환자의 간호만족도와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비교조사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23권, 제3호, pp.229-238, 2017. 

  22. 김세정, 이자인, 이윤미, "입원환자 간호관리료 차등제 변화에 따른 간호사 직무만족, 환자만족도 및 직접간호시간 비교," 중환자간호학회지, 제10권, 제3호, pp.9-18, 20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