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제 물거래 대비 가상수 거래량 산정 : 국내 물발자국 적용값 도출
Calculating virtual water for international water transactions: deriving water footprint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9 suppl., 2020년, pp.765 - 772  

박성제 (미래자원연구원 연구개발본부) ,  이민현 (미래자원연구원 기술정책연구실) ,  박계영 (미래자원연구원 연구개발본부) ,  안요셉 (미래자원연구원 기술정책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자원 수급계획은 보통 물수지분석에서 파악된 수자원의 양에 따라 수립한다. 그러나 그것은 상품의 이동과 같은 국제교역을 고려하지 않은 폐쇄적인 수급계획이다. 물수지분석에 가상수 개념을 도입하면 상품의 수출량과 수입량을 고려한 수자원 수급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기존에 활용하는 직접적인 물 사용(지역 내에서 가용한 각종 수자원)과 가상수를 고려한 간접적인 물 사용(지역 외에서 수입한 상품생산에 소요된 타 지역의 수자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 가상수의 개념이 국가 수자원계획 수립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않고 있다. 국내외에서 발표된 가상수 산정연구 논문에서는 가상수 산정과정이 생략되거나 일부만 제시된 사례가 많다. 따라서 가상수의 산정과정 및 거래량의 적절성을 파악하여 실무에 활용하는데 큰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수출입하는 가상수량 산정을 위한 물발자국 적용값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농축산물의 국제 이동량, 물발자국 적용값, 가상수 거래량을 파악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이를 기존연구와 비교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산정과정과 산정기준은 물발자국 및 가상수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mount of water resources identified by water balance analysis are usually used to formulate water resources plans. However, this does not consider the trade in goods between countries. It is possible to use virtual water to come up with a supply and demand plan by looking at the export and impo...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한국 관세청의 수출입품목을 고려하여 국내 농축산물 물발자국 적용값을 산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한국 중심의 국제적인 가상수 거래량을 산정하여 우리나라의 가상수 거래 규모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물발자국 산정연구의 결과를 Park et al.
  •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수출입되는 농축산물의 전품목을 대상으로 가상수 거래량을 분석하였으며, 2018년 수출입통계를 활용하여 최신의 가상수 거래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외 농축산물 물발자국은 본 연구에서 산정한 농축산물 물발자국 적용값을 따랐다.

가설 설정

  • 또한 동일한 품목이라도 연구자, 조사기간 등에 따라 물발자국의 산정값에 차이가 나기에 적용 가능한 물발자국 산정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중심의 물발자국 산정방법과 수출입현황을 개략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수출입국의 물발자국이 한국과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수란? 가상수는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농산물과 축산물, 공산품 또는 서비스를 생산하는 전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이고(Allan, 2003), 물발자국은 가상수의 양에 상품을 소비하고 폐기하는데 필요한 물을 포함한 개념이다. 즉.
물발자국의 개념은? 즉. 물발자국의 개념은 제품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과정과 소비자가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체 과정(life cycle)에서 사용되는 물의 총량을 의미한다(Hoekstra and Chapagain, 2007; KREI, 2012; Lee, 2016). 그러나 현재 국내외에서 연구자들이 산정하는 물발자국 및 가상수의 양에는 이들 개념이 혼용되어 활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국민들이 물부족을 직접 체감하지 못하는 이유는? 이처럼 한국은 1인당 연간 이용 담수량(총 인구대비 담수량)이 세계 153개국 중에서 하위 129위임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이 물부족을 직접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한국이 외국에서 가상수의 형태로 농축산물 및 공산품 무역을 통해 수자원을 수입 하여 국내에서 부족한 물수요의 상당한 양을 충당하고 있기 때문이다(Ahn et al., 2010;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J.H., Lee, J.G., Lee, S.H., and Hong, I.P. (2010). "Evaluation of virtual water calculation method in Korea."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3, No. 6, pp. 583-595. 

  2. Allan, J.A. (2003). "Virtual water - water, food trade nexus, useful concept or misleading metaphor?" Water International, Vol. 28, No. 1, pp. 4-11. 

  3. Chapagain, A.K., and Hoekstra A.Y. (2004). Water footprint of nations. Value of Water Research Report Series 16, IHE Delft Institute for Water Education, Delft, Netherlands. 

  4. Hoekstra, A.Y., and Chapagain, A.K. (2007). "Water footprints of nations: Water use by people as a function of their consumption pattern,"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1, pp. 35-48. 

  5.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2014). Water footprint estimation and application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s use (final). 

  6.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2012).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virtual water to agriculture. 

  7. Lee, K.L. (2016). Quantification of water footprint for small electrical appliance with case study of home water purifier. Master Thesis, Ajou University. 

  8. Lee, S.H. (2014). "Analysis of estimation of international virtual water trade volume and changes in trade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6, No. 1, pp. 71-80. 

  9. Lee, S.H., Choi, J.Y., Yoo, S.H., Kim, Y.D., and Shin, A.K. (2015). "Estimation of water footprint for livestock produc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 Vol. 57, No. 2, pp. 85-92. 

  10. Mekonnen, M.M., and Hoekstra, A.Y. (2011). "The green, blue, and grey water footprint of crops and derived crop product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5, pp. 1577-1600. 

  11. Park, S.J., Lee, M.H., and Ju, Y.N. (2019a). "The need to establish water plan considering virtual water trade." Magazine of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2, No. 12, pp. 82-88. 

  12. Park, S.J., Lee, M.H., Ju, Y.N., and Park, K.Y. (2019b). "Citation relationship trend analysis of virtual water and water footprint studies in Kore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21, No. S-1, pp. 141-148. 

  13. Park, S.J, Lee, M.H., Park, K.Y., and Shin, J.H (2020a). "Calculating virtual water for international water transactions: Korea focused international trade analysis." Jour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3, No. 9, (Accepted). 

  14. Park, S.J., Ryu, S.S., Lee, M.H., and Ju, Y.N. (2020b). Establishment of South Korean virtual water analysis for international water trade. Technical Report, CCAW-TR-32, Research Group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for Water Resources. 

  15. Ryu, U.C. (2013). Estimation analysis of the water footprint of major livestock product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6. Smart-eco (2014). A development of technical framework for water footprint. 

  17. Son, M.J., Kim, I., and Cha, K.H. (2013). "Water footprint assessment on agricultural products." The Korean Society for Life Cycle Assessment, Vol. 14, No. 1, pp. 97-109. 

  18. Yoo, S.H., Choi, J.Y., Kim, T.G., and Im, J.B. (2010). "Estimation of import virtual water for cereal crop product in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pp. 1667-1671. 

  19. Yoo, S.H., Choi, J.Y., Kim, T.G., Im, J.B., and Chun, C.H. (2009). "Estimation of crop virtual water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vention, Vol. 42, No. 11, pp. 911-920. 

  20. Yoo, S.H., Choi, J.Y., Lee, S.H., and Kim, T.G. (2014a). "Estimating water footprint of paddy rice in Korea." Journal of Paddy Water Environment, Vol. 12, pp. 43-54. 

  21. Yoo, S.H., Lee, S.H., Choi, J.Y. (2014b). "Estimation of water footprint for upland crop produc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6, No. 3, pp. 65-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