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스마트워터시티의 효과성 평가 - 경기도 파주시 스마트워터시티 사업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Smart Water City in Korea - Smart Water City project in Paju City, Gyeonggi Provinc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9 suppl., 2020년, pp.813 - 826  

이유경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재생협동과정) ,  이승호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및 일반대학원 도시재생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경기도 파주시에 도입된 스마트워터시티(Smart Water City, SWC) 사업의 효과를 사업목표 대비 달성도 중심으로 분석한다. SWC란, 상하수도 시설에 ICT를 접목하여 물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스마트 물 관리시스템(Smart Water Management System, SWMS)을 바탕으로 건강한 물 공급체계를 구현한 물의 도시를 말한다. 본 연구는 SWC 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업목표에 상응하는 평가 기준을 수립하고, 사업 시행 전후의 값(산출물)을 비교 분석한다. 분석 결과, SWC는 공급과정의 수량 및 수질 관리를 강화하고 수돗물의 신뢰도 및 음용률을 제고하는데 기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유수율 및 누수저감량 향상, 수질감시시스템의 확산, 배수관로의 부유성 입자농도 및 탁도 감소 등을 달성하였다. 이는 명확한 목표 설정과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 그리고 시민들을 위한 적극적이고 집중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었기에 가능하였다. 수량 및 수질과 관련된 대부분의 수치상에서 SWMS 도입 이전 대비 개선된 성과를 보였다는 점은 스마트워터시티의 긍정적인 효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산출물에 대한 계량화된 분석은 긍정적인 변화에 끼친 다른 외부요인을 밝히는 데는 한계를 보인다. 향후에는 SWC 확산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더욱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지표가 마련되어야 하며, SWMS은 이용자의 필요를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Smart Water City (SWC) project that was introduced from 2014 to 2016 in Paju City, Gyeonggi Province, Korea, focusing on the achievement of the business goals. The SWC is referred to as a city that embraces a healthy water supply system based on Smart Water Man...

주제어

표/그림 (9)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WC란?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경기도 파주시에 도입된 스마트워터시티(Smart Water City, SWC) 사업의 효과를 사업목표 대비 달성도 중심으로 분석한다. SWC란, 상하수도 시설에 ICT를 접목하여 물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스마트 물 관리시스템(Smart Water Management System, SWMS)을 바탕으로 건강한 물 공급체계를 구현한 물의 도시를 말한다. 본 연구는 SWC 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업목표에 상응하는 평가 기준을 수립하고, 사업 시행 전후의 값(산출물)을 비교 분석한다.
한국에서 SWMS를 도시 전체에 도입한 시도는? SWMS을 도시 전체에 도입한 시도는 한국을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은 파주시(2014~2016), 세종시(2017~2020), 부산시(2012~2023), 그리고 송산시(2007~2030)에 스마트워터시티를 도입하고 있다. 파주 SWC는 최초의 선도 사업이자 시범사업으로 유일하게 사업이 종료된 사례이다.
건강한 수돗물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K-water and IWRA (2018)에 따르면 스마트워터시티는 수돗물의 직접 음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소비자 중심의 SWMS을 이용하여 건강한 수돗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이다. 여기서 건강한 수돗물이란, 1) 오염되지 않고 깨끗하며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이 균형 있게 포함된 수돗물, 2) 지속적으로 안전하게 관리되는 수돗물, 3) 모든 국민이 공정하게 그 혜택을 향유할 수 있도록 공급되는 수돗물, 4) 수생태의 건전성 및 지속가능성이 보호・유지될 수 있는 방법으로 생산되는 수돗물을 뜻한다(Kim,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nthony, R.N. (1965). Planning and control systems: a framework for analysis. Division of Research, Harvard Business School, Boston, M.A., U.S. 

  2.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AURUM) (2020). accessed 20 April 2020, . 

  3. Brzozowski, C. (2011). "The 'smart' water grid: A new way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resource management, and sustainable water infrastructures." Water Efficiency, Vol. 6, No. 5. pp. 10-23. 

  4. Choi, T.S. (2016). Implementing an effectiv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local public enterprise. Evaluation Institute of Regional Public Corporation. 

  5. Dror, Y. (1971). Ventures in policy sciences: concepts and applications. American Elsevier Publishing Company, N.Y., U.S. 

  6. Fischer, F. (1997). Evaluating public policy. Nelson-Hall Publishers, Chicago, I.L., U.S. 

  7. Han, K.H. (2014). "Smart water grid."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Drainage, Vol. 54, pp. 52-57. 

  8. Harbour, J.L. (1997). The basics of performance measurement. Productivity Press, N.Y., U.S. 

  9. Harry, P.H., Richard, E.W., and Donald M.F. (1973). Practical program evaluation for state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 Urban Institute Press, Washington D.C., U.S. 

  10. Iim, D.H. (2017). The era comes when the ability to manage water is a national capability: 'Smart Water Grid', Future Eco, accessed 3 August 2020, . 

  11. Keeling, M., and Sullivan, M. (2012). Fixing the future: Why we need smarter water management for the world's most essential resource. IBM Global Business Services, N.Y., U.S. 

  12. Kim, J.R. (2019). Accelerate the widespread of Korean smart cities, ScienceTimes, accessed 26 April 2020, . 

  13. Kim, M.S., and Ghong, B.C. (2013). Performance management. Kstudy. 

  14. Kim, S.M. (2015). "Healthy water service, Smart Water City." Journal of Water Policy & Economy, Vol. 24, pp. 21-30. 

  15. Koh, K.K. (2019). "Empirical analysis of efficiency improvement of public enterprise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Edited by Park, S.A., Moonwoosa, pp. 401-438. 

  16. Koo, H.R. (2015). "Does publicness reduce risks?: Examined across OECD countries." Korea Social Policy Review, Vol. 22, No. 1, pp.19-47. 

  17. K-water and International Water Resources Association (IWRA). (2018). Smart Water Management Case Study Report. 

  18. K-water (2014). Master plan report for the Smart Water City. 

  19. K-water (2016a). Smart Water City Guidebook. 

  20. K-water (2016b). Final performance report for the Smart Water City pilot project in Paju City. 

  21. K-water (2016c).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Smart Water Management Initiative. 

  22. K-water (2019). Operating results report: 'Safety Check on Tap Water in Our Home' in Paju in 2019. 

  23. K-water (2020a). Action plan for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 

  24. K-water (2020b). accessed 21 April 2020, . 

  25. K-water (2020c). accessed 6 August 2020, . 

  26. Lee, H.D., Lee, J.H., and Kwak, P.J. (2014). "Study on standardization method establishment of multi water-loop system using multi water resources."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Journal, Vol. 21, No. 1, pp. 109-117. 

  27. Lee, S.H. (2014). The analysis of smart water gird related technology and policy trend. Smart Water Grid Research Group. 

  28. Lee, S.H. (2015). Smart water technology, Seoul Water, accessed 3 August 2020, . 

  29. Lee, S.H. (2017). "Current understanding the setting and manage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in the public sector."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Edited by Park, S.A., Moonwoosa, pp. 75-104. 

  30. Lee, Y.K., and Lee, S.H. (2018). "A case study of smart water management technology in Korea: Based on conceptualization of smart city and smart technology." Regional Policy Review, Vol. 29, No. 2, pp. 149-183. 

  31.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0).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effective performance management. 

  32.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9a). The first master plan of the development of water management technology and water industry 2019-2023. 

  33.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9b). Innovation for water supply management: Smart water management system completed in 2022. 

  34. Moises, J. (2015). Who builds a future city?, Goethe Institut, accessed 25 April 2020, . 

  35. National Environment Information Network System (NEINS) (2020). accessed 22 April 2020, . 

  36. Nikolaou, A.D., Golfinopoulos, S.K., Lekkas, T.D., and Arhonditsis, G.B. (2004).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organic by-products during water chlorination: A bench-scale study."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Vol. 159, No. 1, pp. 357-371. 

  37. Noh, H.J. (2015). Policy evaluation 5th edition. Bobmunsa. 

  38.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OPC). (2016). A study on improvement plan for performance indicators. 

  39. Paju Municipal Government (PMG). (2014). The mid-long term development plan for Paju City. 

  40. Park, H. (2015). Introduction to public administration with Park: public policy in public administration (24th), The Law Journal, accessed 27 April 2020, . 

  41.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CFIR) (2017). The people-centered response pla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promote innovative growth. 

  42.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CFIR) (2018). Smart city promotion strategy for designing for urban innovation and future growth engine. 

  43. R&D Information Center (RDIC) (2017). The analysis of smart water industry/smart water grid status and water resource/seawater desalination technology and market. Knowledge Industry Innovation Institute. 

  44. Usilaner, B., and Soniet, E. (1980). "Productivity measurement." Productivity improvement handbook for state and local government, Edited by Washnis, G.J.,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N.Y., U.S., pp. 91-114. 

  45. Waldo, D. (1980). The enterprise of public administration: a summary view. Chandler & Sharp Publishers, Novato, CA, U.S. 

  46. Water Innovations Alliance (WIA). (2012). White paper: The water smart grid initiative, CT., U.S. 

  47. Won, J.M. (2012). The urban regeneration theory and experience. The Landscape. 

  48. Yeo, I.G. (2019). South Korea throws her hat into the ring to take the lead in the rapidly growing global smart city market, Kharn, accessed 28 April 2020, . 

  49. Yim, J.I., Kim, Y.W., Kim, H.J., and Sohn, S.W. (2014). "Trend of smart water grid technology developments and standardization." Electronic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Vol. 29, No. 2, pp. 87-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