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수도시스템 수질사고 인지를 위한 유속기반 수질계측기 위치 결정
Velocity-based decision of water quality measurement locations for the identification of water quality problems in water supply system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11, 2020년, pp.1015 - 1024  

홍성진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찬욱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지승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유도근 (수원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인천, 서울 적수 사고와 같은 관로 내 수질오염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수질문제를 인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위치에 수질계측기를 설치하고 미리 계측하여 수용가의 수도꼭지까지 물 공급이 되기 이전에 발견 혹은 차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모든 관로에 수질계측기를 다수 설치하는 것에는 유지비용증대와 같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로 내 수질문제 인지를 위한 유속기반의 수질계측기 설치위치를 결정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절차를 관 파괴 시나리오와 국내에서 실제 운영 중인 비상연계관로가 포함된 관망운영 시나리오에 적용해 수질계측기 위치를 결정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정 결과 개별적인 관로의 파괴와 비상연계에 의한 비정상상황 발생시 대수용가와 탱크 주변, 그리고 비상연계관로 인근에 위치한 관로의 유속이 급격히 변하여 탁수발생에 의한 수질사고가 나타날 수 있을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유속기반의 수질계측기 위치 결정 절차는 향후 관 청소를 위한 차단 및 비상관로 운영 계획 수립 등 수질모니터링 지점 선정 기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water pollution accidents have continued to occur in pipelines such as red water Incheon and Seoul. In order to recognize this water quality problem,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water quality sensor in an appropriate location and measure it in advance to detect or block the water supply t...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서 침전될 수 있는 평상시 해당 관로 내 유속과 이를 탈리시킬 수 있는 유속의 실험 데이터나 기준 값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와 같은 실험이 진행된 바는 거의 없어 본 연구에서는 플러싱에 규정되어있는 값과 상수도 시설기준(2018)에 제시되어있는 기준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상수도 시설기준(2018) 상에서는 관로 내 침전물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 유속기준을 0.
  •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는 목적에 따른 오염 탐지와 관련한 연구로 그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 다만, 대규모 테러와 같은 피해 정도가 매우 큰 수질오염과 관련한 연구에 집중되어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유속인자를 활용하여 탁수발생이 가능한 유속의 범위를 결정하고 수질계측기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을 관 파손 시나리오와 우리나라 D시의 실제 관망도에 비상공급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침전 및 탈리되는 유속조건하의 관망 내 수질계측기 위치 결정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법론 절차는 Fig.

가설 설정

  • 관로 내 탁수가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은 유향의 변동, 유속, 관로의 구배 등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관로 내 유속을 기반으로 탁수 발생 가능 지점을 탐지하고 그 지점에 수질계측기가 설치되어야 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침전될 수 있는 평상시 해당 관로 내 유속과 이를 탈리시킬 수 있는 유속의 실험 데이터나 기준 값이 필요하다.
  • 43%가 탁수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 관로에는 수질 계측기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수도 시설기준 최소유속(0.3 m/s 이상)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관로가 많은 원인은 배수지 한 개가 담당하는 블록 1개 전체가 공급이 불가한 상황을 모의하였다는 것과 모든 수용가는 물 공급을 무조건 해준다는 가정 하에 있는 수요기반해석(Demand Driven Anlysis, DDA)을 수행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9 m/s의 유속으로 플러싱을 적용하여야 탈리될 것으로 권장한 바 있다. 이에 가장 안정적인 조건의 0.9 m/s 이상일 경우 침전물이 탈리 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유속기준을 토대로 수질계측기위치를 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lzamora, F.M., and Ayala, H.B. (2006). "Optimal sensor location for detecting contamination event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using topological algorithms." Proceeding 8th Annual Water Distribution System Analysis Symposium, Cincinnati, OH, US. 

  2. Aral, M.M., Guan, J., and Maslia, M.L. (2010). "Optimal design of sensor placement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6, No. 1, pp. 5-18. 

  3. Deuerlein, J., Simpson, A.R., and Korth, A. (2014). "Flushing planner: a tool for planning and optimization of unidirectional flushing." Procedia Engineering, Vol. 70, pp. 497-506. 

  4. Kessler, A., Ostfeld, A., and Sinai, G. (1998). "Detecting accidental contaminations in municipal water network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24, No. 4, No. 192-198. 

  5. Kirmeyer, G.J. (2000). Guidance manual for maintaining distribution system water quality. American ater Works ssociation, NY, US. 

  6. Krause, A., Leskovec, J., Isovitsch, S., Xu, J., Guestrin, C., VanBriesen, J., Small, M., and Fischbeck, P. (2008). "Optimizing sensor placement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using submodular function maximization." Water Distribution Systems Analysis Symposium, University of Cincinnati, Cincinnati, OH, US. 

  7. Lee, C.W., Lee, Y.J., Park, J.S., and Yoo, D.G. (2020). "Determination of the sensor placement for detection water quality problems in water supply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20, No. 1, pp. 299-306. 

  8.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9). South Korea, accessed 27 October 1999, . 

  9.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7). "Statistics of waterworks." pp. 310-316. 

  10. Oberoi, H. (1994). The construction of religious boundaries: Culture, identity, and diversity in the Sikh trad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US. 

  11. Ostfeld, A., and Salomons, E. (2004). "Optimal layout of early warning detection stations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s security."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0, No. 5, pp. 377-385. 

  12. Tryby, M.E., Propato, M., and Ranjithan, S.R. (2010). "Monitoring design for source identification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6, No. 6, pp. 637-646. 

  13. Watson, J.P., Murray, R., and Hart, W.E. (2009). "Formulation and optimization of robust sensor placement problems for drinking water contamination warning systems." Journal of Infrastructure Systems, Vol. 15, No. 4, pp. 330-339. 

  14. Xanthopulos, Z., Melachrinoudis, E., and Solomon, M.M. (2000). "Interactive multiobjective group decision making with interval parameters." Management Science, Vol. 46, No. 12, pp. 1585-1601. 

  15. Xu, J., Fischbeck, P.S., Small, M.J., VanBriesen, J.M., and Casman, E. (2008). "Identifying sets of key nodes for placing sensors in dynamic water distribution network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4, No. 4, pp. 378-385. 

  16. Xu, J., Johnson, M.P., Fischbeck, P.S., Small, M.J., and VanBriesen, J.M. (2010). "Robust placement of sensors in dynamic water distribution system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202, No. 3, pp. 707-7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