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계사 내 작업자의 미세먼지 노출량 현장모니터링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 Exposed to Farm Workers in the Broiler House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2 no.5, 2020년, pp.27 - 37  

서효재 (Department of Rural Construction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오병욱 (Department of Rural Construction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효철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  신소정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  서일환 (Department of Rural Construction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domestic meat consumption increases, the broiler production industry has been larger and denser.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PM) and harmful gases generated is also increasing inside livestock house. However, the current research status of PM exposed to farm workers and the health ef...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5, PM10 및 총 미세먼지 (Total Dust, TD)로 나누어 환기구조 상 입기구와 배기구를 기준으로 측정하여 계사 내 위치별 미세먼지 노출 정도와 입경별 거동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정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시기와 이동시기로 구분하여 작업 동선에 따른 농도변화와 입경별 분포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제환기식 육계사의 환기 특성을 고려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PM2.5, PM10 및 총 미세먼지 (Total Dust, TD)로 나누어 환기구조 상 입기구와 배기구를 기준으로 측정하여 계사 내 위치별 미세먼지 노출 정도와 입경별 거동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정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시기와 이동시기로 구분하여 작업 동선에 따른 농도변화와 입경별 분포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육계사 평균 미세먼지 농도와 양계장 내 유기성 미세먼지 허용 노출 기준과 비교한다면? 5 209 ㎍/㎥로 나타났다. 이는 양계장 내 유기성 미세먼지 허용 노출 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호흡성 미세먼지가 1.3배를 초과하였다. 실시간 입경별 미세먼지 농도 분석 결과, 작업자 이동 시 계군의 닭 활동성이 높아지면서 작업자가 노출되는 공기의 TD, PM10, PM2.
사육밀도가 높은 경우 사육공간에서 발생하는 입자상, 가스상 물질은 무엇인가? 밀폐되고 한정적인 사육공간에서 사육밀도가 높은 경우 시설 내에서 발생하는 입자상 물질은 계분, 깃털, 사료, 바닥재 등으로부터 다양한 세균, 곰팡이, 세균부산물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가스상 물질로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탄올, 아세트알데하이드, 포름알데히드, 메틸아민, 일산화탄소 등이 있다. 이러한 유기성분이 포함된 미세먼지에 유해물질에 노출되면 작업자에게 호흡기 및 면역기계 질환, 천식 등이 나타날 수 있고 (Donham et al.
본 고에서 조사한 6개의 육계사 평균 미세먼지 농도 수치는 어떠한가? 총 6개의 육계사를 대상으로 현장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강제환기식 계사의 입기구에서 환기구로 갈수록 미세먼지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계사에서 발생하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TD 1,872 ㎍/㎥, PM10 1,385 ㎍/㎥, PM2.5 209 ㎍/㎥로 나타났다. 이는 양계장 내 유기성 미세먼지 허용 노출 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호흡성 미세먼지가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ottcher, R. W., 2001. An environmental nuisance: Odor concentrated and transported by dust. Chemical Senses 26(3): 327-331. doi:10.1093/chemse/26.3.327. 

  2. Banhazi, T. M., J. Seedorf, M. Laffrique, and D. L. Rutley, 2008. Identification of the risk factors for high airborne particle concentrations in broiler buildings using statistical modelling. Biosystems Engineering 101(2008): 100-110. doi:10.5389/KSAE.2014.56.6.031. 

  3. Cambra-Lopez, M., 2010. Control of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from poultry and pig houses. Ph.D. diss., Ind.: Universitat Politecnica de Valencia. doi:10.4995/thesis/10251/8501. 

  4. Cambra-Lopez, M., T. Hermosilla, H. T. Lai, M. Mont ero, A. J. Aarnink, and N. W. Ogink, 2010. Source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particulate matter emitted from livestock houses. In International Symposium on Air Quality and Manure Management for Agriculture Conference Proceedings, 13-16 September 2010, Dallas, Texas (p. 41). doi:10.13031/2013.32709. 

  5. Castaneda, A. R., K. J. Bein, S. Smiley-Jewell, and K. E. Pinkerton, 2017.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enhances allergic sensitization in BALB/c mice. Journal Toxicology Environmental Health A 80: 197-207. doi:10.1080/15287394.2016.1222920. 

  6. Donham, K., P. Haglind, Y. Peterson, R. Rylander, and L. Belin, 1989. Environmental and health studies of farm workers in Swedish swine confinement buildings.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6(1): 31-37. doi:10.1136/oem.46.1.31. 

  7. Donham, K. J., D. Cumro, S. J. Reynolds, and J. A. Merchant, 2000. Dose response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aerosol exposures and cross-shift declines of lung function in poultry workers: Recommendations for exposure limit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2(3): 260-269. doi:10.1097/00043764-200003000-00006. 

  8. Jo, Y. S., K. S. Kwon, I. B. Lee, T. H. Ha, S. J. Park, R. W. Kim, U. H. Yeo, S. Y. Lee, and S. N. Lee, 2015. Measurement of dust concentration in a naturally ventilated broiler house according to season and worker's acc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6): 35-46 (in Korean). doi:10.5389/ksae.2015.57.6.035. 

  9. Kim, I., K. R. Kim, K. S. Lee, H. S. Chae, and S. Kim, 2014. A survey on the workplace environment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of poultry farmer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0(6): 454-468 (in Korean). doi:10.5668/JEHS.2014.40.6.454. 

  10. Kim, K. R., H. Kim, K. Lee, and H. S. Chae, 2014. Exposure to dust and organic gas during chicken entrance and shipment tasks in poultry far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4(4):471-477 (in Korean). doi:10.15269/jksoeh.2014.24.4.471. 

  11. Kim, K. Y., 2017.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and emission of dust according to types of poultry building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3(3): 185-193 (in Korean). doi:10.5668/JEHS.2017.43.3.185. 

  12. Kim, K. Y., H. J. Ko, H. T. Kim, D. K. Kim, and Y. S. Kim, 2010.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emitted from domestic types of chicken buildings. Journal Korean Society Indoor Environmental 7(4): 216-223 (in Korean). doi:10.1016/j.jenvman.2007.02.003. 

  13.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1. http://www.kosha.or.kr Operation guide for agency of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29-59. 

  14. Kwon, K. S., Y. S. Jo, I. B. Lee, T. H. Ha, and S. W. Hong, 2014. Measurement of dust concentration in a mechanically ventilated broiler house and analysis of dust generation from ground be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6(6): 31-43 (in Korean). doi:10.5389/KSAE.2014.56.6.031. 

  15. Olson, D. K., and S. M. Bark, 1996. Health hazards affecting the animal confinement farm worker. AAOHN Journal 44(4): 198-204. doi:10.1177/216507999604400408. 

  16. Poole, J. A., D. J. Romberger, T. A. Wyatt, E. Staab, J. Van de Graaff, G. M. Thiele, A. Dusad, L. W. Klassen, M. J. Duryee, and T. R. Mikuls, 2015. Age impacts pulmonary inflammation and systemic bone response to inhaled organic dust exposure. Journal Toxicology Environmental Health A 78: 1201-1216. doi:10.1080/15287394.2015.1075165. 

  17. Radon, K., C. Weber, M. Iversen, B. Danuser, S. Pedersen, and D. Nowak, 2001. Exposure assessment and lung function in pig and poultry farmer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8(6): 405-410. doi:10.1136/oem.58.6.405. 

  18. Shin, C. L., K. S. Lee, K. R. Kim, T. S. Kang, and N. W. Paik, 2004. A studs on exposure to organic dust and ammonia in poultry confinement building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9(2):303-314 (in Korean). 

  19. Statistics Korea, 2019. http://www.kosis.go.kr Accessed 12 February 2020. 

  20. Takai, H., S. Pedersen, J. O. Johnsen, J. H. M. Metz, P. W. G. Groot Koerkamp, G. H. Uenk, V. R. Phillips, M. R. Holden, R. W. Sneath, J. L. Short, R. P. White, J. Hartung, J. Seedorf, M. Schroder, K. H. Linkert, and C. M. Wathes, 1998. Concentration and emissions of airborne dust in livestock buildings in northern Europe.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ing Research 1998(70): 59-77. doi:10.1006/jaer.1997.0280. 

  21. Wilson, D. J., E. Gabriel, A. J. H. Leatherbarrow, J. Cheesbrough, S. Gee, E. Bolton, A. Fox, P. Fearnhead, C. A. Hart, and P. J. Diggle, 2008. Tracing the source of campylobacteriosis. PLOS Genetics 4(9): e1000203. doi: 10.1371/journal.pgen.1000203. 

  22. Zuskin, E., J. Mustajbegovic, E. N. Schachter, J. Kern, N. Rienzi, S. Goswami, Z. Marom, and S. Maayani, 1995. Respiratory function in poultry workers and pharmacologic characterization of poultry dust extract. Environmental Research 70: 11-19. doi:10.1006/enrs.1995.10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