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숭아 선별작업장의 미세먼지의 발생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f Dust Concentration Generated during Peach Sorting Operations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31 no.3, 2022년, pp.237 - 245  

서효재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서일환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복숭아는 대표적인 여름 과일이자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식품으로 밀폐되고 집약적인 생산환경으로 인해 시설 내 유기분진, 농약, 복숭아털이 발생하기 때문에, 열악한 작업환경으로 인한 작업자들이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선별작업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위치별, 작업별, 입경별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저감 및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미세먼지 모니터링 결과 지역별로는 선별과정에서 미세먼지의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기계적인 과정을 통하여 발생하는 10㎛ 이상의 미세먼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해서 공정 중 미세먼지가 주로 발생하는 지역 및 미세먼지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저감시설 및 개인보호구의 착용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ach is a typical summer fruit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food, processed food, and fragrance ingredients in Korea. Peach is also known as one of serious allergens which make difficulty for farm workers during peach sorting operations. After peach harvesting, it moves to the sorting operations f...

주제어

참고문헌 (18)

  1. Arslan S., and A. Aybek 2012, Particulate matter exposure in agriculture. In B. Haryanto, ed, Air Pollution: A Comprehensive Perspective. IntechOpen. pp 73-104. doi:10.5772/50084 

  2. Cambra-Lopez M., A.H.A Aarnink., Y. Zhao, S. Calvet, and A.G. Torres 2010, Airborne particulate matter from livestock production systems: A review of an air pollution problem. Environ Pollut 158:1-17. doi:10.1016/j.envpol.2009.07.011 

  3. Fernandez-Rivas M. 2011, Peach allergy: Different clinical profiles across Europe. Clin Transl Allergy 1(Suppl 1):S58. doi:10.1186/2045-7022-1-S1-S58 

  4. Fernandez-Rivas M., E. Gonzalez-Mancebo, R. Rodriguez-Perez, C. Benito, R. Sanchez-Monge, G. Salcedo, M.D. Alonso, A. Rosado, M.A. Tejedor, C. Vila, and M.L. Casas 2003, Clinically relevant peach allergy is related to peach lipid transfer protein, Pru p 3, in the Spanish population. J Allergy Clin Immunol 112:789-795. doi:10.1016/S0091 

  5. Ha H.Y., D.S. Ra, W.C. Shin, G.J. Im, and J.E. Park 2012, Survey of pesticide use in fruit vegetables, fruits, and rice cultivation areas in Korea. Korean J Pestic Sci 16:395-400. (in Korean) doi:10.7585/kjps.2012.16.4.395 

  6. Han J.S., S.O. Hong, J.S. Kim, J.P. Han, and N.S. Kim 1997, Frequency of food allergy in korea and the causative food aller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1-9. (in Korean) 

  7. Kim H.C., K.R. Kim, K.S. Lee, K.S. Kim, and K.A. Cho 2007, The characteristics of farmer's dermal exposure during pesticide spraying and dilution in cut rose greenhouse.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17:203-211. (in Korean) 

  8. Kim H.C., K.S. Lee, H.S. Chae, Y.S. Park, and K.D. Min 2012, A research on airborne nicotine exposure during harvest and weaving tasks in tobacco farm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2:217-223. (in Korean) 

  9. Lee E.J. K.G. Jeong, Y.S. Shin, D.H. Nahm, H.S. Park, H.N. Choi, J.W. Yoon, Y.M. Ye, and S.Y. Lee 2020, Causes of food allergy according to age and severity: A recent 10-year retrospective study from a single tertiary hospital. Allergy Asthma Respir Dis 8:80-88. doi:10.4168/aard.2020.8.2.80 

  10. Lee K.H. 2014, An analysis on prevalence and allergen of food allergie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39:14-24. doi:10.5393/JAMCH.2014.39.1.014 

  11. Lee W.J. 2011, Pesticide exposure and health. J Environ Health Sci 37:81-93. (in Korean) doi:10.5668/JEHS.2011.37.2.081 

  12. Moran R.E., D.H. Bennett, J. Garcia, and M.B. Schenker 2014, Occupational exposure to particulate matter from three agricultural crops in California. Int J Hyg Environ Health 217:226-230. doi:10.1016/j.ijheh.2013.05.002 

  13. Roque K., G.D. Lim, J.H. Jo, K.M. Shin, E.S. Song, R. Gautam, C.Y. Kim, K. Lee, S. Shin, H.S. Yoo, Y. Heo, and H.A. Kim 2016, Epizoot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able bacteria and fungi in indoor air from porcine, chicken, or bovine husbandry confinement buildings. J Vet Sci 17:531-538. doi:10.4142/jvs.2016.17.4.531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21,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come data collection for agricultural management improvement (2020). RDA, Jeonju, Korea. 

  15. Seo H.J., B.W. Oh, H.C. Kim, S.J. Sin, and I.H. Seo 2020,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 exposed to farm workers in the broiler houses. J Korean Soc Agric Eng 62:27-37. (in Korean) doi:10.5389/KSAE.2020.62.5.027 

  16. Seo H.J., H.C. Kim, and I.H. Seo 2022, Monitoring of working environment exposed to particulate matter in greenhouse for cultivating flower and fruit. J Bio-Env Con 31:79-89. (in Korean) doi:10.12791/KSBEC.2022.31.2.079 

  17. Statistics Korea 2020, http://www.kosis.go.kr. Accessed 12 August 2021. 

  18. Yoo D.H., H.A. Kim, Y. Heo, J.H. Sung, H.K. Lee, and Y.G. Park 2003, Concentration of dust and endotoxin in swine confinement building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13:45-5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